$\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애약쑥 (Artemisia argyi H.)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241 - 249  

이해진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  임미혜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증류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세포에서의 독성평가로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은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세포외 티로시나아제, 멜라닌 합성저해 및 미백관련 전사인자 감소로 평가하였다.그 결과 50, 100, 200 ㎍/㎖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의 200 ㎍/㎖ 농도에서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45.0%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AAE는 1.3%로 미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37.2%, AAE 24.6% 감소되었다.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의 경우 200 ㎍/㎖ 농도에서 AAD 49.2%, AAE는 35.6% 감소되었다. 또한 tyrosinase, TRP-1, TRP-2 전사인자 각각은 AAD 63.0%/AAE 58.0%, AAD 60.0%/AAE 56.0%, AAD 59.0%/AAE 53.0%로 감소되었다. 추출물 모두 미백활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AAD가 AAE에 비하여 미백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 후 미백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써 응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hitening activity using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Seomaeyakssuk was extracted from hot DW (AAD) and 70% ethanol (AAE). And confirmed safety through assessment of cytotoxicity. Also, whitening activities were measured through changes in the levels of ex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멜라닌 생성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로 tyrosinase, TRP1 및 TRP2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진 천연물 중심으로 많은 후보물질이 발굴되고 있다[2]. 본 연구에서 AAD와 AAE 는 tyrosinase, TRP1 및 TRP2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 결과는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크게 나타내는 바라고 사료된다.
  • Tyrosinase는 tyrosine를 melanin 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24], tyrosinase inhibitors들은 피부의 과색소침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어 피부 미백제(skin-lightening agents)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25]. 본 연구에서 AAD와 AAE는 이러한 tyrosinase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멜라닌 감소와 부합되는 결과로서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후보물질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을 증류수와 70%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생리활성 중 미백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추출 용매에 따른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Melanin)이 과잉되면 어떠한 문제가 생기는가? 멜라닌(Melanin)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생체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로서 피부보호 기능이 있으나 과잉되면 피부에 기미 및 주근깨와 같은 과색소 침착이 형성되며, melanin 전구물질은 세포사멸, 피부 노화 촉진 및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멜라닌합성(Melanogenesis)은 자외선을 비롯하여 외부의 자극에 의해 표피 기저층의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의 활성화로 시작되며, melanin의 생합성에 필요한 tyrosinase, tyrosianse related protein (TRP-1), dopachrome tautomerase (TRP-2) 등의 합성이 촉진되어 최종적으로 색소침착이 유발된다[2].
멜라닌(Melanin)이란 무엇인가? 멜라닌(Melanin)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생체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로서 피부보호 기능이 있으나 과잉되면 피부에 기미 및 주근깨와 같은 과색소 침착이 형성되며, melanin 전구물질은 세포사멸, 피부 노화 촉진 및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멜라닌합성(Melanogenesis)은 자외선을 비롯하여 외부의 자극에 의해 표피 기저층의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의 활성화로 시작되며, melanin의 생합성에 필요한 tyrosinase, tyrosianse related protein (TRP-1), dopachrome tautomerase (TRP-2) 등의 합성이 촉진되어 최종적으로 색소침착이 유발된다[2].
섬애약쑥에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jaceosidin과 eupatilin의 효과로는 무엇이 있나? 섬애약쑥에는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jaceosidin과 eupatil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져 있는데 이는 국내 다른 약쑥에 비해 eupatilin은 약 2배, jaceosidin은 약 20%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5]. 또한 jaceosidin과 eupatilin은 항염증, 항산화, 항암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6-18], 섬애약쑥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은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9]. 섬애약쑥은 생리활성 및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며 기초자료를 토대로 한 다양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J. Chun, S. G. Hwang, J. S. Lee, S. H. Baek, B. H. Jeon, W. H. Woo, "Inhibitory Effects of Butyl Alcohol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kor. J. Pharmacogn., Vol.33, No.2 130-136, (2002). 

  2. K. Tsukamoto, I. J. Jackson, K. Urabe, P. M. Montague, V. J. Hearing, "A second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2, is a melanogenic enzyme termed DOPAchrome tautomeras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Vol.11, 519-526, (1992). 

  3. S. Ando, O. Ando, Y. Suemoto, Y. Mishima,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ic inhibitors", J. Invest. Dermatol., Vol.100, No.2 S150-S155, (1993). 

  4. K. Tomita, N. Oda, M. Kamel, T. Miyaki, T. Oki,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 Vol.12, 1601-1605, (1990). 

  5. J. Cabane, S. Chazara, C. F. Garcia,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Vol.46, 982-985, (1994). 

  6. S. W. Jeong, N. K/ Lee, S. J. Kim, D. S. Han,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27, 891-896, (1995). 

  7. J. S. Hwang, H. J. Shin, H. S. Noh, H. J. Choi, S. M. Ahn, D. S. Park, D. H. Kim, B. G. Lee, I. S. Chang, H. H. Kang, "The inhibitory effects of 3,4,5-Trimethoxy cinamate thymol ester(TCTE, Melsolv(R)) on Melanogenesis", Soc. Cosmet. Sci. Korea., Vol.28, 135-149, (2002). 

  8. H. J. Lee, Y. I. Hwang, E. J. Park, S. U. Choi, "Antihepatotox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herb tea composed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J. Kor. Soc. Food Sci. Nutr., Vol.40, 78-83, (2011). 

  9. R. J. Kim, M. J. Kang, C. R. Hwang, W. J. Jung, J. H. Shin,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J. Life Sci., Vol.22, 844-851, (2012). 

  10. A. H. Al-Mustafa, O. Y. Al-Thunib,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Jordanian medicinal plants used traditionally for treatment of diabetes", Pak. J. Biol. Sci., Vol.11, 351-358, (2008). 

  11. C. K. Lee, J. J. Seo,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J. Kor. Soc. Food Sci. Nutr., Vol.32, 1227-1232, (2003). 

  12. S. Ntutela, P. Smiyh, L. Matika, J. Mukinda, H. Arendse, N. Allie, D. M. Estes, M. Mabusela, P. Folb, M. Steyn, Q. Johnson, W. R. Folk, J. Syce, M. Jacobsb, "Efficacy of Artemisia afra phytotherapy in experimental tuberculosis", Tuberculosis (Edinb), Vol.89, S33-S40, (2009). 

  13. J. Y. Shin, J. R. Kang, J. H. Shin, W. T. Seo, H. U. Byun, J. S. Choi, M. J. Kang, "Effe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Vinega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6, No7 779-789, (2017). 

  14. D. G. Kim, J. R. Kang, J. H. Shin, M.-J. Kang,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J. Life Sci., Vol.29, No.11 1241-1250, (2019). 

  15. C. R. Hwang, W. T. Seo, W. Y. Bae, M. J. Kang, J. H. Sh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J. Life Sci., Vol.24, No.4 377-385, (2014). 

  16. G. J. Ha, D. S. Lee, T. W. Seung, C. H. Park, S. K. Park, D. E. Jin, N. K. Kim, H. Y. Shin, H. J. Heo, "Anti-amnesic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Artemisia argyi H. (seomae mugwor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Vol.47, 380-387, (2005). 

  17. S. W. Min, N. J. Kim, N. I. Baek, D. H. Kim, "Inhibitory effect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on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in mice", J. Ethnopharmacol., Vol.125, 497-500, (2009). 

  18. E. K. Park, B. M. Kwon, I. K. Jung, J. H. Kim,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jaceosid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 Nutr. Health, Vol.10, 313-320, (2014). 

  19. H. J. Lee, B. Y. Sim, J. W. Bak, D. H. Kim, "Effect of Gami-sopungsan on Inflammation and DNCB-induced Dermatitis in NC/Nga in Mic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Vol.28, No.2 pp 146-153, (2014). 

  20. H. Ando, Y. Niki, M. Ito, K. Akiyama, M. S. Matsui, D. B. Yarosh, M. Ichihashi, "Melanosomes Are Transferred from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through the Processes of Packaging, Release, Uptake, and Dispersion", J. Invest. Dermatol., Vol.132, No4 1222-1229 (2012). 

  21. J. Y. Hwang, T. S. Park, J. H. Son,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Diospyros kaki calyx", Journal of Life Science, Vol.23, No.3 383-388, (2013). 

  22. H. S. Yoon, K. W. Yang, J. E. Kim, J. M. Kim, N. H. Lee, C. G. Hyun, "Hypopigmenting Effects of Extracts from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3, No5 705-711, (2014). 

  23. K. S. Kang, H. J. Lee, B. Y. Sim, J. W. Bak, H. J. Choi, D. H. Kim,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nus officinalis Fruit Extract for Potential of Cosmetic Ingredient", Kor. J. Aesthet. Cosmetol., Vol.13, No.4 461-468, (2015). 

  24. Y. S. C. Bae-Harboe, H. Y. Park, "Tyrosinase: a central regulatory protein for cutaneous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Vol.132, No.12 2678-8260, (2012). 

  25. A. Slominski, D. J. Tobin, S. Shibahara, J. Wortsman,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Vol.84, No.4 1155-122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