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 학생의 전인간호 태도에 대한 이해 :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for Understanding Nursing Students' Holistic Nursing Attitud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 2019년, pp.361 - 370  

이영신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전인간호 태도와 문화역량을 확인하여 전인간호 태도 향상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인간호 태도는 전공만족도, 학과 성적 등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비과학적 중재라도 대상자가 원하면 제공하겠다고 응답한 경우와 학부교육과정에서 보완대체요법을 배우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 전인간호 태도 점수가 높았다. 전인간호 태도와 문화역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문화역량은 전인간호 태도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간호학생의 전인간호 태도에 대한 확인은 중요하며 그 수준에 따라 맞추어진 교육이 제공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to help improve the overall relation between Holistic nursing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by identifying general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tudy, Holistic nursing attitudes were related to general 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신체적 측면 뿐 아니라 정신적, 영적 측면 등 전인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인간 중심이라는 간호의 가치와 일치하기에 간호교육과정에서 다뤄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전인간호 태도, 문화역량을 파악하고 전인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간호 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학생의 전인간호 태도에 있어 전공에 대한 만족, 환자가 원하는 중재에 대한 수용, 환자에게 필요한 보완대체요법을 배울 의향이 관련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일반적 특성, 전인간호 태도와 문화역량을 파악하고 전인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전인간호 태도,문화역량의 수준을 확인하여 간호학부 교육에서 전인간호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전인간호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여 학생의 전인간호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들의 전인간호 태도를 일반적 특성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전인간호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전인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전공만족으로 확인되었다. 전인간호 태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므로 진로와 관련된 준비를 성실히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을 살펴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회귀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전공만족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35] 본 연구의 결과와 대조되는 맥락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회에서 내린 문화역량의 정의는 무엇인가? 즉 문화역량은 개별적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20]. 1992년 미국간호학회에서 내린 문화역량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보건의료제공자들이 다양한 배경의 문화집단에 대하여 적절한 지식과 이해, 기술을 토대로 만족스러운 문화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았다[21]. 이처럼 문화역량은 지속적인 관심을 토대로 많은 연구들을 통해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 이해되고 있다[14,19].
전인간호란 무엇인가? 전인간호(Holistic nursing)란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건강의 다차원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강조하는데, 신체적 측면과 정신·사회·영적 측면 즉,총체적인 측면에서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간호를 의미한다. 총체적이라는 것은 단순히 각 측면의 합이기 보다는 그 이상의 것이다.
전인간호의 사회적 정신적 안녕을 고려한 구체적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전인간호는 질병의 치료는 물론 사회적·정신적 안녕까지도 고려해야 한다[15]. 예를 들어 죽음에 임박한 말기 암환자에게는 신체적 문제를 다루는 의학적 중재는 병을 낫도록 하기 위한 항암치료가 아닌 통증을 경감시켜 남아있는 삶의 질을 보완하기 위한 중재를 제공한다. 즉, 신체적 측면에 대한 중재는 신체적 상태만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정신적·영적 측면의 안위를 고려한 중재가 선택 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W. Lee, J. H. Kim, E. H. Lee & M. S. Jung. (2009). Understanding Nursing Theory. Seoul : SooMoonSa. 

  2. M. L. Yoon. (2016). Nursing Missionary Elizabeth J. Shepping's Education and Holistic Care for Korean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7(1), 60-71. 

  3. M. Kim, K. S. Kim, M. S. Jo & Y. J. Hong. (2008). Understanding of health science. Seoul :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4. Chohen, B. S & Boni, R., (2018). Holistic Nursing Simulation: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36(1), 68-78. 

  5. Pei-Ling Cheng, Yu-Tsai Lin & Chih-Wen Chen. (2017). Nursing Experience Involving Providing Holistic Nursing Care to a Young patient with Terminal Stage of Hepatoma. VGH Nursing, 34(2), 207-214. 

  6. Y. B. Go. (2000). A Sociological dictionary. Institute of Social Culture. Name of Web Sit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1475&cid42121&categoryId42121 

  7. Kinchen, E. V & Loerzel, V. (2018).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use of holistic therapies for stress rellief. Journal of Holistic Nursing, First March 8. 

  8. M. J. Jung & Y. Eun. (201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Based on the ASSET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73-683. DOI :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73 

  9. E. J. Choi. (2015). Effects of the Spiritual Care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Science, 7, 143-150. 

  10. E. C. Shim, W. B. Jeon & D. K. Yang. (2008). Psychology and life. Seoul : SeoHyunSa. 

  11. J. R. Betancourt, A. R. Green, J. E. Carillo & O. Ananeh-Firempong. (2003). Defining cultural competence: a practical framework for addressing racial/ethnic disparities in health and healthcare. Public Health Report, 118: 293-302. 

  12. J. Glittenberg. (2004). A transdisciplinary, transcultural model for health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5, 6-10. 

  13. E. Calvillo, L. Clark, J.E. Ballantyne, D. Pacquiao, L. D. Purnell & A. M. Villarruel (2009). Cultural competency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ramscultrural Nursing, 20(2). 137-145. 

  14. H. M. Son, M. J. Jea & B. J. Lee. (2014). Integrative Review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e. Korean Journal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udies, 9(4), 25-47. 

  15. Abdellah, F. G., Beland I. L., Martin A. & Matheney R. V. (1970). Patiant-Centred Approaches to Nursing. New York; The Macmillan Co. Ed.2 

  16. S. C. Jeon. (1974). A study on the clinical analysis and performan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1-21 

  17. National Language Institute. Standard Korean Dictionary. Name of Web Site.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D%83%9C%EB%8F%84&rangeall 

  18. T. Cross, B. Bazron, K. W. Dennis & M. R. Issacs.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A monofraph oh effective services for minority children who are severely emotional disturbe Vol. 1,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enter. 

  19. M. J. Lee. (2016). Development and effect on the Cultural Compet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 C. R. Rho & J. H. Kim, (2001).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Competency Scale for Human Se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2), 207-231. 

  21. J. Giger, R. E. Davidhizar, L. Purnell, J. T. Harden, J. Phillips & O. Strickland. (2007). American Academy of Nursing Expert panel Report: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to Eliminate Health Pisparities in Ethnic Minorities and Other Vulnerable Populations. Journal Transcultural Nursing, 18(2), 95-102. 

  22. Y. S. Lee. (2018). Poster Titl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Holictic Nursing. 2018. Honkong : GHIA(The Global Healthcare Innovation Academy) 

  23. S. M. Schim, A. Z. Doorenbos, J. Miller & R. Benkert. (2003).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1(1), DOI : 10.1891/jnum.11.1.29.52062 

  24. Y. R. Cha & S. J. Yang. (2014). Factor Related to cultural Competence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Health & Nursing, 26(2), 13-14. 

  25. P. N. Park(2017). Relationship among Volunteer Activiti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17(11). 264-273.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264 

  26. Y. J. Kim. (2018).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ss on Depress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are behavio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18(17), 341-357. DOI : http://dx.doi.org/10.22251/jloci.2018.18.17.341 

  27. Korea Nursing Society. (1996). Nursing Dictionary. Seoul: Korea Nursing Society. 

  28. J. I. Sook. (2017). Convergence Research on the Studying Science Subjects before Entrance to Nursing department, the Score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Academic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17-125.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7.8.9.117 

  29. Y. M. Jung. (2018). A Longuitudinal Study on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Majo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18(18), 89-103. DOI :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18.89 

  30. K. J. Lee. (2008). Health Counseling Psychology. Seoul : EWha wonman's University Press. 

  31. S. R. Lee. (2007). Social Human nature. Seoul : Media-Sup. 

  32. Y. E. Lee, E. Y. Kim & S. Y. Park. (2017).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 Res, 23(3), 385-393. DOI :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85 

  33. J. K. Myung. (2016).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Nurses Working at Hospital. The Graduate School pf Public Policy Hanyang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34. M. L. Sim, J. Kim & S. K. Choi. (2017). Influence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4), 286-295. DOI : http://doi.org/10.7739/jkafn.2017.24.4.286 

  35. S. H. Han. (2018).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prepat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Ais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7), 379-389. DOI : http://dx.doi.org/10.21742/AJMAHS.2018.07.60 

  36. M. S. Lee & Y. M. Park. (2016). Cultural Competency by Multicultur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4(12), 657-665.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16.14.12.657 

  37. S. Y. Yun & M. S. Kim. (2014). A study on the relevance among Self efficacy, Major satisfaction, Nursing ethics calues in Nursing Students before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2(2), 363-372.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14.12.2.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