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참꽃나무 잎 추출물 유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Rhododendron weyrichii Leav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5 no.4, 2019년, pp.341 - 351  

김정은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조성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참꽃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참꽃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 및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n-hexane (Hex), EtOAc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ursolic acid (1), corosolic acid (2), asiatic acid (3), astragalin (4), isoquercetin (5). 분리된 화합물 1-5는 모두 참꽃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화합물 4, 5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화합물 3은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UPLC 분석을 통해 참꽃나무 잎에서 분리된 astragal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에서 8.1 mg/g, EtOAc 분획물에서 34.8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꽃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Rhododendron weyrichii leave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creened for the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Potent scavenging activities were appeared from the extract, ethyl acetate (EtO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알려진 참꽃나무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활성[11]이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 이들 활성과 관련된 유효 성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꽃나무 잎 추출물 및 극성별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능을 확인하고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단일물질 분리 및 구조 동정을 진행하여 천연 화장품 원료 등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weyrichii) 잎 추출물의 활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만, 유효 성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꽃나무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균 효능을 검색하고 활성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단일물질 분리 과정을 진행하여 유효 성분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서 유래된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방향족 고리(aromatic ring)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에 대략 8000여 종이 존재하고 항산화, 항암 등의 기능성을 지니고 있다[3].
참꽃나무 생리활성 연구는? 제주의 꽃으로 지정되어 있는 참꽃나무는 진달래나 철쭉에 비해 꽃이 크고 높게 자라나 남성적인 느낌이 든다고 하여 이름이 붙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참꽃나무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활성[11]이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 이들 활성과 관련된 유효 성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꽃나무 잎 추출물 및 극성별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능을 확인하고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단일물질 분리 및 구조 동정을 진행하여 천연 화장품 원료 등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활성산소들의 산화적 손상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피부의 항산화를 위한 방안은? 이러한 활성산소들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생체 방어 기구로는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catalase 등의 항산화 효소가 존재하여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지만, 산화적 스트레스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피부는 그 항산화성 방어망의 불균형이 일어나 산화 생성물 및 과산화지질 등이 축적되어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 이에 필요 이상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외부 항산화제를 보충하여 항산화 네트워크를 회복시켜 피부 조직을 보호할 수 있게 해줄 필요가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H. You, J. S. Moon,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extract, J. of Korean Oil Chemists'Soc., 33(4), 762 (2016). 

  2. C. H. Shin,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haracter in the ethyl acetate extractions of Rumex crispu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2), 592 (2001) 

  3. M. B. Kim, S. H. Hyun, J. S. Park, M. A. Kang, Y. H. Ko, and S. B. Lim,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of Extracts by Pressurized Organic Solvent from Natural Plants in J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91 (2008). 

  4. S. H. Park, J. E. Kim, and N. H. Lee, Iso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 of Ficus erectavar. sieboldiiKing leaves, J. Soc. Cosmet. Sci. Korea, 42(4), 321 (2016). 

  5. C. N. Collier, J. C. Harper, J. A. Cafardi, W. C. Cantrell, W. Wang, K. W. Foster, and B. E. Elewski, The prevalence of acne in adults 20 years and older, J. Am. Acad. Dermatol., 58(1), 56 (2008). 

  6. J. C. Harper, An update on the pathogenesis of acne, J. Am. Acad. Dermatol., 51, 36 (1995). 

  7. A. Koreck, A. Pivarcsi, A. Dobozy, and L. Kemeny, The role of innate immunity in the pathogenesis of acne, Dermatology, 206(2), 96 (2003). 

  8. H. S. K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2011). 

  9. M. S. Kang, H. J. Oh, H. C. Lee, and J. S O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39(1), 11 (2009). 

  10. J. E. Kim,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6). 

  11. T. H. K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Ang Univ., Seoul, Korea (2015). 

  12.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11), 966 (1981). 

  13. F. B. Davis, E. Middleton, P. J. Davis, and S. D. Blas, Inhibition by quercetin of thyroid hormone stimulation in vitro of human red blood cell $Ca^{2+}$ -ATPase activity, Cell Calcium, 4(2), 71 (1983). 

  14.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15.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xo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9-10), 1231 (1999). 

  16. W. Seebacher, N. Simic, R. weis, R. Saf, and O. Kunert, Complete assignments of $^{1}H\;and\;^{13}C$ NMR resonances of oleanolic acid, 18 ${\alpha}$ -oleanolic acid, ursolic acid and their 11-oxo derivatives, Magn. Reson. Chem., 41(8), 636 (2003). 

  17. L. L. Li, J. X. Pu, W. L. Xiao, and H. D. Sun, Triterpenes from Isodon xerophilus, Chinese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10(4), 307 (2012). 

  18. W. N. He, J. G. Dai, M. Ye, L. J. Wu, and D. A. Guo, Microbial transformation of asiatic acid by Alternaria longipes, J Asian Nat Prod Res, 12(9), 760 (2010). 

  19. J. H. Lee, C. H. Ku, N. I. Baek, S. H. Kim, H. W. Park, and D. K. Kim,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Diodia teres, Arch. Pharm. Res., 27(1), 40 (2004). 

  20. J. Fernandez, R. Reyes, H. Ponce, M. Oropeza, M. R. Vancalsteren, C. Jankowski, and M. G. Campos, Isoquercitrin from Argemone platyceerasinhibits carbachol and leukotriene D4-induced contraction in guinea-pig airways, Eur. J. Pharmacol., 522(1-3), 10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