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Factors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Korean Clinic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3, 2019년, pp.221 - 236  

이병엽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간호과) ,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identify factors relevant to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Methods: These was no limit on year of publication. Articles related to Korean clinical nurses were retrieved from computerized database using a man...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마다 사회문화적 환경과 의료 환경의 차이가 있으므로 한국문화에 적합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자본의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에 대한 의미 있는 요인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고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국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색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각 관련 요인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여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통합적인 결론과 추후 긍정심리 자본의 향상을 위한 전략 및 간호 인력관리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연구 중에서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추출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보고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들과의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처음으로 긍정심리자본의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요인은 나이,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위,임상경력 및 근무형태이었고, 조직 관련 요인은 소진,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장 내 괴롭힘 및 이직의도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심리자본이란 무엇인가? 최근 조직의 인력관리는 구성원의 강점을 개발하고 긍정적 동기부여에 초점을 두고 있어, 긍정심리자본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긍정심리자본은 긍정심리학의 조직적 적용인 조직행동연구와 그 발전으로부터 파생된 개념으로 구성원의 복합적인 긍정적 심리상태를 의미한다[1]. 이러한 긍정적인 심리상태는 관리 가능하고, 개발 및 개선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긍정적인 심리상태의 이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긍정적인 심리상태는 관리 가능하고, 개발 및 개선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수준이 높다고 평가받은 인간의 긍정적 심리적인 속성들인 희망,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력을 자본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는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다[2]. 긍정심리자본은 개인의 강점에 초점을 둔 긍정심리학을 조직 현장에 접목하여 긍정적인 개인의 강점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긍정조직행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2].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조직에서도 직무소진이나 직무 스트레스 등 간호업무로부터 발생되는 간호사의 부정적인 심리상태와 태도를 개선하고 부정적 영향인 간호 질 저하나 이직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긍정심리자본은 간호사가경험하는 부정적인 직무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도, 직장 내 괴롭힘 등[6]에 예측요인으로 밝혀지고 있어 효율적인 간호조직관리를 위해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심리 자본은 임상 실무에서 미래 간호조직의 발전을 도모하고 유능한 간호인력 보유를 위한 핵심전략이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uthans F, Youssef CM.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2007;33(3):321-349.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0814 

  2. Luthans F, Avolio BJ, Avey JB, Norman S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2007;60(3):541-572.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3. Lee SN, Kim JA. Concept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81-190.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81 

  4. Lee DS, Choi YD. 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s. Korean Management Review. 2010;39(1):1-28. 

  5. Youssef-Morgan C,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theory: Toward a positive holistic model. In: Baker AB, editor. Advances in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Bingley, UK: Emerald; 2013. p. 145-166. 

  6. Ko JO, Park SK, Lee MH.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304-314.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304 

  7. Laschinger HK, Fida R. New nurses burnout and workplace wellbeing: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Research. 2014;1(1):19-28. https://doi.org/10.1016/j.burn.2014.03.002 

  8. Kim IS, Seo YB, Kim BN, Min AR.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1):10-19.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0 

  9. Jeong E, Jung MR. Influence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3):246-255.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246 

  10. Park SJ.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mong perioperative nurses. Korea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ses. 2016;24:192-205. 

  11. Kwon YJ. Effects of verbal abus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ost traumatic stress among perioperative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7. p. 1-82. 

  12. Cheon KJ. The influence the degree of workplace bullying as new nurses recognized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8. p. 1-54. 

  13. Han KS. A study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Gwangju: Nambu University; 2015. p. 1-65. 

  14. Yang SK, Jeong E. Convergenc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leadership in clinical nurse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6):329-337. https://doi.org/10.14400/JDC..2017.15.6.329 

  15. Lim MR, Park YS.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483-494. 

  16. Jung MR, Jeong 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clinical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2): 277-285. https://doi.org/10.14400/JDC.2018.16.2.277 

  17. Avey JB, Reichard RJ, Luthans F, Mhatre KH. Meta-analysis of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1;22(2):127-152. https://doi.org/10.1002.hrdq.20070 

  18. Peng J, Jiang X, Zhang J, Xiao R, Song Y, Feng X, et al.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burnout of Chinese nurses: The Mediator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LoS One. 2013;8(12):e8419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84193 

  19. Cassidy T, McLaughlin M, McDowell E. Bullying and health at work: The mediating roles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Work & Stress. 2014;28(3):255-269. https://doi.org/10.1080/02678373.2014.927020 

  20. Lee MY, Kim K.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66-175.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166 

  21. Kang JM, Kwon JO. A convergenc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work engagement of medium and smal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4):89-99. https://doi.org/10.15207/JKCS.2017.8.4.089 

  22. Cha KJ. Study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jective well-being and nurs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2017;8(3):973-990. https://doi.org/10.22143/HSS21.8.3.52 

  23. Mullen B, Hu LT. Perceptions of ingroup and outgroup variability: A meta-analytic integration.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9;10(3):233-252. https://doi.org/10.1207/s15324834basp1003_3 

  24.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2009;6(7):e1000097.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25. Cummings G, Lee H, Macgregor T, Davey M, Wong C, Paul L,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nursing leadership: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008;13(4):240-248. https://doi.org/10.1258/jhsrp.2008.007154 

  26.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Hoboken, NJ: Wiley; 2009. 

  2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Psychology Press; 1988. 

  28. Sutton AJ, Duval SJ, Tweedie RL, Abrams KR, Jones DR. Empirical assessment of effect of publication bias on meta -analysis. BMJ. 2000;320:1574-1577. https://doi.org/10.1136/bmj.320.7249.1574 

  29. Oh SS.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002. 

  30. Lee Y, Kang J. Rel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8;30(1):1-17. https://doi.org/10.7475/kjan.2018.30.1.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