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진정성 리더십, 자아존중감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uthentic Leadership, Self-Esteem, and Bullying in Nurses at Critical Care Uni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3, 2019년, pp.314 - 322  

심미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과) ,  유혜진 (서울아산병원) ,  김정연 (세브란스병원 간호팀) ,  김세라 (서울아산병원) ,  송유길 (서울아산병원)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bullying of intensive care nurses and to suggest a final structural model based on identified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uthentic leadership, self-esteem, and bullying in the workplace. Methods...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여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들의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은 간호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문헌고찰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진정성 리더십이 간호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 가설 2. 자아존중감이 간호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진정성 리더십이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 • 가설 4. 자아존중감이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간호조직문화가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 내 괴롭힘을 설명하는 억압이론의 내용은 무엇인가? 직장 내 괴롭힘을 설명하는 억압이론에 의하면, 조직 내에 서 타인으로부터 억압을 받는 사람은 낮은 자아존중감, 열등 감, 혐오 등을 내적으로 억제하고 있다가 조직에서 약한 위치 에 있는 사람에게 억압을 표출하게 된다[13]. 이는 직장 내 괴 롭힘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되는 악순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직장 내 괴롭힘의 결과로 이직의 증가, 부정적인 근무 환경, 불안정한 인간관계, 비협조적 분위기 등을 초래하여 결 과적으로는 환자 간호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6,13,14].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비율이 많은 이유는? 직장 내 괴롭힘은 병원 간호사의 직장 생활에 영향을 미치 는 중대한 문제로, 최근 간호사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다[1]. 간호사는 취업 후 선배 간호사로부터 업무에 대해 일대일로 집중적인 교육을 받는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선, 후배 간의 접촉 빈도가 다른 직종에 비해 많은 편이다. 이에, 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근로자에 대한 직장내 괴롭힘 실태 조사에서 가해자를 조직구성원으로 한정할 경 우, 간호직종의 객관적 피해자 비율이 41.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가?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업무 스트레스 증가, 업무 수행 및 직무 만족도 감소, 불안, 우울, 위축 등 신체적, 정 신적 증상을 모두 겪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3,4].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며, 개인적 요인으로는 연령, 근무 기간, 근무 부서, 자 아존중감 등이 있었고, 경력이 낮은 간호사들이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5,6]. 자아존중감은 피해자, 가해자 모두 에게 낮았으며, 특히 피해자의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h H, Uhm DC, Yoon YJ.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and lateral violence among clinical nurses in Korea: descriptive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3):327-335. https://doi.org/10.1111/jonm.12324 

  2. Gu MY, Cheon JY, Seo TJ, Jung SG. Prevention of workplace bullying among women workers: survey analysis and policy suggestion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5. p. 51-96. 

  3. Lee YJ, Lee MH, Bernstein K.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2):77-87.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2.77 

  4. Johnson SL.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a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56(1):34-40. https://doi.org/10.1111/j.1466-7657.2008.00679.x 

  5. McKenna BG, Smith NA, Poole SJ, Coverdale JH.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2(1):90-96.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583.x 

  6. Vogelpohl DA, Rice SK, Edwards ME, Bork CE.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3;29(6):414-422.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2.10.008 

  7. Matthiesen SB, Einarsen S. MMPI-2 configurations among victims of bullying at work.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1;10(4):467-484. https://doi.org/10.1080/13594320143000753 

  8. Yun S, Kang J.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in Korea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5):553-562. https://doi.org/10.7475/kjan.2014.26.5.553 

  9. Kang J, Lee M. The related factors to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4):399-414. https://doi.org/10.7475/kjan.2016.28.4.399 

  10.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Vickers MH.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2):173-181.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9.01035.x 

  11. Johnson SL, Rea RE. Workplace bullying: concerns for nurse leade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39(2):84-90.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195a5fc 

  12. Spence Laschinger HK, Wong CA, Grau AL.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newly graduated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burnout and retention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10):1266-127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5.012 

  13. Embree JL, White AH. Concept analysis: nurse-to-nurse lateral violence. Nursing Forum. 2010;45(3):166-173. https://doi.org/10.1111/j.1744-6198.2010.00185.x 

  14. Ceravolo DJ, Schwartz DG, Foltz-Ramos KM, Castner J. Strengthening communication to overcome lateral viol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5):599-606.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402.x 

  15. Kim KS. Amos 18.0: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ng model. Seoul: Hannarae Academy; 2010. p. 657-663. 

  16. Einarsen S, Hoel H, Notelaers G.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 Stress. 2009;23(1):24-44. https://doi.org/10.1080/02678370902815673 

  17. Nam W, Kim JW, Kim YK, Koo JW, Park C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NAQ-R) for nurses for the assessment of workplace bullying.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0;22(2):129-139. 

  1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p. 16-38. 

  19. Kim MS, Han SJ, Kim JH.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175-184. 

  20. Lee JH, Park HK.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authentic leadership effectiveness factor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3;26(11):2791-2814. 

  21. Avolio BJ, Gardner WL, Walumbwa FO.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Internet]. Menlo Park, CA: Mind Garden Inc.; c2005-c2019 [cited 2019 Sep 25]. Available from: http://www.mindgarden.com/69-authentic-leadership-questionnaire. 

  22. Kim D, Kim DK. The relationship among main factors of th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focusing on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ownership.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12;46(4):27-51. 

  23. Levine M, Thompson K. Identity, place, and bystander intervention: social categories and helping after natural disaste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004;144(3):229-245. 

  24. Choi JK, Lee B.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a Q methodology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9;49(5):562-574. https://doi.org/10.4040/jkan.2019.49.5.562 

  25. Han EH, Ha Y.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consequ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303-312.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303 

  26. Choi SE, Lee SS, Kim SD. Relationships of workplace bullying to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4):267-274. https://doi.org/10.5807/kjohn.2013.22.4.267 

  27. Lee YO, Kang J, Yun S, Lee Y, Kim BJ.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rizontal violenc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3;6(2):37-50. 

  28. Castronovo MA, Pullizzi A, Evans S. Nurse bullying: a review and a proposed solution. Nursing Outlook. 2016;64(3):208-214. https://doi.org/10.1016/j.outlook.2015.11.008 

  29. Lewis MA. Nurse bullying: organizational considerations in the maintenance and perpetration of health care bullying cultur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6;14(1):52-58. https://doi.org/10.1111/j.1365-2934.2005.0053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