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고기록장치 자료를 이용한 감속도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Deceleration Using Event Data Recorder Dat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8 no.6, 2019년, pp.31 - 42  

김윤진 (도로교통공단 전북지부) ,  은주오 (전라북도지방경찰청) ,  윤일수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고기록장치(Event data recorder, EDR)에 기록된 운행정보 중 차량의 사고 이전 속도정보는 사고차량 운전자의 처벌, 가해자·피해자 구분, 사고회피 가능성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EDR 자료를 분석하면 사고차량의 감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분석에서 사고차량 운전자의 전방주의의무 이행 여부, 사고회피 가능성 등을 판단하는 주요요소인 정지거리 산출에 적용 가능한 적정 감속도 값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제동실험 결과와 교통사고차량의 EDR에서 추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의 ABS 장착차량 제동실험을 분석 결과, 차량의 평균 감속도는 0.79g~0.94g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안전도평가 제동실험에서는 감속도 값이 0.92g~0.94g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수행된 EDR 자료 분석을 통해서는 0.55g~0.71g의 감속도 값이 산출되었으며, 선행연구의 제동실험에서 측정된 감속도 값보다 작은 값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recorded in the event data recorder (EDR),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efore the traffic accid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unishment of the driver of the accident vehicle, the identification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and the poss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EDR자료의 감속도 값과 선행연구 감속도 값을 비교하여 정지거리 산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정적 감속도 값을 제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의 실험값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감속도 값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분석에서 사고차량 운전자의 전방주의의무 이행 여부, 사고회피 가능성 등을 판단하는 주요요소인 정지거리 산출에 적용가능한 적정 감속도 값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제동실험 결과와 교통사고차량에서 추출한 EDR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감속도 값과 실제 EDR에 기록되어있는 감속도 값을 비교하여 실험값과 실제 사고기록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고차량의 정지거리 산출에 적용할 수 있는 감속도 값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52g이다. 24km/h에서 0.52g의 감속도로 0km/h까지 감속하여 정지하였다고 가정하면,
  • EDR을 차량의 속도가 0km/h가 될 때까지 속도를 기록하지 않고, 충돌 이후 0.25∼0.3초 동안 자료를 기록하기 때문에 충돌 이전 감속도가 계속 유지되었다고 가정하여 제동구간에서 평균 감속도를 산출하였다.
  • 사고차량의 EDR자료는 수집된 사고기록자료 중, 운전자가 전방에 위험을 인지하고 제동하였으나 완전히 정지하지 못하여 발생한 사고기록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고차량의 충돌 이전 감속도가 계속 유지되었다고 가정하여 제동구간에서 평균 감속도를 산출하였다. EDR자료 분석 결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지거리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경우는 무엇인가? 정지거리는 도로구조의 설계, 교통안전표지의 설치지점 선정, 자동차 안전성능의 기준설정 등에 사용되며, 교통사고분석에서는 주로 교통사고 회피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즉, 사고차량이 사고도로를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하였을 경우 사고를 회피할 수 있었는지, 일정거리에서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을 발견하고 제동하였으면 정지할 수 있었는지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정지거리는 사고 차량의 속도, 운전자의 인지 반응 시간, 차량의 감속도(견인계수×중력가속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실제 사고분석에서는 개별차량의 감속도를 정확히 특정할 수 없어 선행연구에 의한 실험값을 사용하고 있다(Kim, 2019).
사고기록장치란? 사고기록장치(Accident data recorder, ADR)란 교통사고에서 차량의 사고 이전 움직임을 기록하는 장치를 총칭하는 말로, 대표적으로 영상기록장치인 차량용 블랙박스(video data recorder, VDR), 사업용 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digital tacho graph, DTG), 에어백 작동 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ACU(airbag control unit)에 설치된 사고기록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등이 있다.
정지거리는 어떠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가? 즉, 사고차량이 사고도로를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하였을 경우 사고를 회피할 수 있었는지, 일정거리에서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을 발견하고 제동하였으면 정지할 수 있었는지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정지거리는 사고 차량의 속도, 운전자의 인지 반응 시간, 차량의 감속도(견인계수×중력가속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실제 사고분석에서는 개별차량의 감속도를 정확히 특정할 수 없어 선행연구에 의한 실험값을 사용하고 있다(Kim,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utomobile Management Act, 2019. 

  2. Baek S. R.(2015), Study on the In-depth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Using Accident Data Recorder, Master Thesis, Gachon. 

  3. Do C. W.(2009), Princilpes of Traffic Engineering, Chung Moon kak. 

  4. Fricke L. B.(1990),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Northwestern Traffic Institute. 

  5. Han C. P., Park K. S. and Choi M. J.(2007), "An Estimate of Vehicle Velocity of Braking Starting Point,"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5, no. 5, pp.1173-1179. 

  6. Jung W. T.(2012), Development of Pre-braking Speed Estimation Model for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7. Kim K. N., Ok J. K., Kim M. S., Mun W. K., Park S. J. and Yoo W. S.(2007), "Calculation of Brake Onset Velocity for Non-Abs Vrhicle on Dry Asphalt Pavement,"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4, no. 2, pp.109-114. 

  8. Kim Y. J.(2019),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Stopping Distance Using Event Data Recorder,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9. Korea Road Traffic Authority(2001),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Manual: Engineering Section 1 Step. 

  10.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2017), Practical Manual for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Science. 

  11. Oh M. H.(2016), Case Study on Foreign and Domestic Technology fod Vehicle Accident Recorder,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2016. 

  12. Park G. O., Kim H. J., Song J. H., Hong Y. S. and Kwon H. B.(2011), "Technical Trend of The Event Data Recoders,"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ub-Comprehensive Academic Conference, vol. 5, no. 5, pp.1257-1261. 

  13. Park J. C., Kim J. H., Oh W. T., Choi J. H. and Park J. J.(2017), "Reliability Evalution of EDR Data Using PC-Crash &Vbox,"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25, no. 3, pp.317-325. 

  14. Rivers R. W. and Lofgren M. J.(1998), Technical Traffic Accident Investigators Handbook, Charles C Thomas.Publisher, p.184, p.201. 

  15. Ryu T. S., Jeon J. W., Park H. H. and Lee S. B.(2009), "Realationship Beteen Pre-Skidding and Pre-Braking Spe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7, no. 1, pp.43-51. 

  16. Traffic Safety Act, 2019. 

  17. Yun D. K., Kim Y. H. and Lee H. T.(2014), "Study on EDR Utilization for Traffic Accident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Academic Conference, vol. 11, pp.1439-14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