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분석에서 EDR 기록정보의 채택에 관한 고찰
Study on Adopting EDR Report for Traffic Accident Analysis 원문보기

자동차안전학회지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12 no.3, 2020년, pp.52 - 60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교통과) ,  박정만 (서울과학수사연구소 이공학과) ,  이연섭 (서울과학수사연구소 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age of EDR(Event Data Recorder) report for traffic accident analysis is currently increasing due to government regulation of EDR data release. Nevertheless, a lot of investigators simply adopt by comparing the number of ignition cycles(crash) at event to the number of ignition cycles(download) wit...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절에서는 앞서 소개한 EDR 기록정보의 분석방법을 토대로 실제 사고사례에서 채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기아자동차의 차종에서 추출한 EDR 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된 수 천 건의 사고사례와 자체적으로 수행한 충돌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사고조사자들이 추출한 EDR 기록 정보가 사고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고자 하는 이벤트 데이터(Event data) 인지 혹은 아닌지의 채택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분석 방법과 분석 시 유의해야 할 부분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사고 발생 시 분석가들이 EDR 기록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교통사고 발생 시 분석가들은 사고 차량의 차종 및 연식을 바탕으로 CDR 장비, VCI 장비 혹은 각 제조사에서 별도로 갖추고 있는 EDR 기록정보의 추출 장비를 활용하여 사고차량에 장착된 ACU(Airbag Control Unit), ACM(Airbag Control Module) 등의 에어백 제어기에서 EDR 기록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고차량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가능할 경우 간단히 “Key On” 상태에서 OBDⅡ(On Board DiagnosticⅡ) 단자에 CDR 혹은 VCI 장비를 연결하여 EDR 기록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배터리로부터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어려울 경우 퓨즈 패널(Fuse Panel) 혹은 PDC(Power Distribution Centers)를 통해 강제로 에어백 제어기에 전원공급(Repowering or Back-powering)하여 추출할 수 있고, 파손으로 인한 통신 장애 시 에어백 제어기를 탈거하여 직접 진단 어댑터(Adapter)를 연결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교통사고 발생 시 PDOF가 사고상황 분석에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교통사고 발생 시 분석가들은 사고차량의 주충격력 작용방향(Principle Direction Of Force) 및 파손형태, 충돌 지점 및 최종위치, 사고현장의 흔적, 산출된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사고상황을 정확히 분석한다. 따라서 PDOF는 사고상황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EDR 보고서에 역시 PDOF를 확인할 수 있는 “진행방향 속도변화 누계” 및 “측면방향 속도변화 누계”가 표시된다.
시동장치의 원동기 작동위치 누적횟수란 무엇인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 56조의 2제2항 관련 사고기록장치 장착기준에 “시동장치의 원동기 작동위치 누적횟수”란 사고시점까지 시동장치의 원동기 작동위치 누적횟수를 말하며, “정보 추출 시 시동장치의 원동기 작동위치 누적횟수”는 정보 추출시점까지 시동장치의 원동기 작동위치 누적횟수를 말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고, Table 1과 같이 기록 간격・시간, 초당 기록횟수를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lnc., https://www.boschdiagnostics.com/cdr/ 

  2. J. C. Park, J. H. Kim, W. T. Oh, J. H. Choi, and J. J. Park, 2017, "Reliability Evaluation of EDR Data Using PC-Crash & Vbox", Transactions of KSAE, Vol. 25, No. 3, pp. 317-325. 

  3. G. O. Park, H. J. Kim, J. H. Song, Y. S. Hong, and H. B. Kwon, 2011, "Technical Trend of The Event Data Recorders",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1257-1261. 

  4. D. K. Yun, Y. H. Kim, and H. T. Lee, 2014, "Study on EDR Utilization for Traffic Accident Analysis", KSAE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1439-1444. 

  5. S. H. Lim, J. C. Park, J. H. Kim, W. T. Oh, J. H. Choi, and J. J. Park, 2019, "Analysis of Multi-Car Rear-End and Chain Reaction Collision Using EDR", Transactions of KSAE, Vol. 27, No. 2, pp. 101-108. 

  6. C. Wikinson, J. Lawrence, B. Heinrichs, and D. King, 2005, "The Accuracy and Sensitivity of 2003 and 2004 General Motors Event Data Recorders in Low-Speed Barrier and Vehicle Collisions", SAE 2005-01-1190. 

  7. H. C. Gabler, D. J. Gabauer, H. L. Newell, and M. E. O'Neill, 2004, "Use of Event Data Recorder (EDR) Technology for Highway Crash Data Analysis", Annual Research Report of NCHRP. 

  8. R. Brown, L. Lewis, B. Hare, M. Jakstis, R. Landis, H. Clyde, and R. Buetzer, 2012, "Confirmation of Toota EDR Pre-Crash Data", SAE 2012-01-0998. 

  9. Richard R. Ruth, Ada Tsoi, 2014, "Accuracy of Translations Obtained by 2013 GIT Tool on 2010-2012 Kia and Hyundai EDR Speed and Delta V Data in NCAP Tests", SAE 2014-01-0502. 

  10. Korea Automobile Importers & Distributors Association, Statistics Center, https://www.kaida.co.kr/ko/statistics/kaidaShareList.do, 2020. 

  11. J. J. Park, J. M. Park, and Y. S. Lee, 2019, "Case Study on Driver's Pedal Mal-operation in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Accidents", Transactions of KSAE, Vol. 27, No. 11, pp. 877-882. 

  12.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Statistics of Domestic Consumption, http://www.kama.or.kr, 2020. 

  13. Niehoff, P., H. Gabler, J. Brophy, C. Chidester, J. Hinch, and C. Ragland, 2005, "Evaluation of Event Data Recorders in Full Systems Crash Test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Paper Number 05-0271. 

  14. Gabler C., Thor C., and Hinch J., Aug. 2008, "Preliminary Evaluation of Advanced Air Bag Field Performance Using Event Data Recorder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Report No. DOT HS 811 015. 

  15. Tsoi A., Johnson N., and Gabler H., 2014, "Validation of Event Data Recorders in Side-Impact Crash Tests", SAE Int. J. Trans. Safety 2(1): 130-164, doi:10.4271/2014-01-0503. 

  16. Bortles W. and Hostetler R., 2019, "Performance of Event Data Recorders Found in Toyota Airbag Control Modules in High Severity Frontal Oblique Offset Crash Tests", SAE Technical Paper 2019-01-0633, doi:10.4271/2019-01-0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