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리적 자본이 공기업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 Employe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 2019년, pp.293 - 303  

김성종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공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직무수행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수행을 종속변수로 하고 심리적 자본을 구성하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성, 복원력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4가지 하위 개념들이 회귀분석에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 특성이 직무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교육훈련을 통해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변수 '복원력'은 모든 유형의 직무수행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수행과정에서 오는 난관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복원력 강화에 대한 후속 연구와 교육훈련에 적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한계분석을 통해 근속기간에 따른 직무 수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년차에서 20년차 사이의 구성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맥락수행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조직의 중간관리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job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 employe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ree types of job performance are identified, which are behavioral responses to the demands from job environment. They are named as task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조직 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직무수행의 개념이 확장되어 조직목표의 달성을 위해 환경의 요구에 대한 적절한 대응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을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규명하여 인적자원 관리측면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개인의 성격적 특성에 대해서는 일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직무수행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공기업에서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조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심리특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공공부문의 인적자원관리 및 성과관리 측면에서 중요성이 있다.
  • 특히 조직 환경의 불확실성 증가와 업무수행 관련 기술의 변화는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 변화로 나타나고 있어 조직구조 변화에 같은 하드웨어적 접근만으로는 효과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요인과 조직행동의 관련성의 연장선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3-1: 낙관성은 과업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자기효능감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희망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낙관성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복원력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낙관성은 개인의 기질적 특성에서 나오지만 조직의 개입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조직행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변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0]. 낙관성이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도전에 대해 적절한 책임감과 책무를 수용하는 긍정적 특성의 기반이 되고 자기통제 범위에서 자신을 인식하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수행이란 무엇인가? 직무수행은 조직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주어진 과업의 수행을 의미한다. 최근 조직 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직무수행의 개념이 확장되어 조직목표의 달성을 위해 환경의 요구에 대한 적절한 대응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적응수행에서 강조되는 점은 무엇인가? 비일상적 과업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동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역량이 필요하게 된다. 적응수행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불확실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직무처리 상황, 과업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습득 및 절차의 수용, 대인관계 및 문화적 적응성 발휘, 신체적 적응성 발휘 및 직무스트레스 해결, 응급상황및 위기 발생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 공통적으로 강조된다[9].
Borman & Motowildlo(1993)이 제시한 맥락수행과 관련된 행동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7] Borman & Motowildlo(1993)은 맥락수행과 관련된 행동을 판단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신의 직무에 공식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자발적으로 조직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하거나 공식적 직무 이외의 행동을 한다. 둘째, 자신의 과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기대를 넘어서는 수준까지 부가적 노력을 한다. 셋째, 동료를 돕거나 자발적으로 협력한다, 넷째, 조직의 규정과 절차를 준수한다, 다섯째, 조직 목표에 동의하고 지지하며 수호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이해윤,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신황용, 이희선, "공공조직 조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직동기, 신분불안,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0권, 제1호, pp.1-35, 2012. 

  3. 유태용, 이채령, "성격이 과업수행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무가공의 매개효과와 리더 임파워링 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4호, pp.609-630, 2016. 

  4. 김태홍, 한태영,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목표성향: 실책관리 풍토 및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의 영향," 인사조직연구, Vol.17, No.3, pp.117-159, 2009. 

  5. J. A. LePine, A. Erez, and D. E. Johnson, "The Nature and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1, pp.52-65, 2002. 

  6. P. R. Murphy and S. E. Jackson, "Managing Work Role Performance: Challenges for Twenty-first Century Organizations," in D. R. Ilgen & E. D. Pulakos (Eds.), The Changing Nature of Work Performance, pp.325-365,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7. 유태용, 김도영, "기업장면에서의 맥락수행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제8권, pp.61-91, 2002. 

  8. W. C. Borman and Motowidlo,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in Schmitt, N. and Borman, W.C.(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1993. 

  9. C. L. Pulakos, S. Arad, M. A. Donovan, and K. E. Plamondon,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No.4. pp.612-624, 2000. 

  10.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6, No.1, pp.57-72, 2002. 

  11.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2. 이동섭, 조봉순, 김기태, 김성국, 이인석, 최용득, "긍정심리학의 응용을 통한 인사조직 연구의 새로운 접근,"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pp.307-339, 2009. 

  13. C. R. Snyder, Handbook of Hope, San Diego, ACA: Academic Press. 2000. 

  14. C. Carver and M. Scheier, Optimism. In C. R. Snyder & S.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231-243.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27-239, 2001. 

  16. L. J. Williams and E. S.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p.601-617, 1991. 

  17.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