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표에 의한 관리와 직무순환이 신입사원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agement by Objective and Job Rotation on Newcomer Turnover Rat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22 - 35  

이환우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유건재 (홍익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두 개별 인사제도의 효과성과 그 제도 간 상호작용이 3년 미만 근속자(신입사원)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전략적 인사관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온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동기부여나 조직전체의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은 이미 많은 연구에 의해 검증되었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개별 인사제도의 영향력과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에 관련하여서는 알려진 것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인사제도 중 목표에 의한 관리(MBO)와 직무순환이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작동되는 메커니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지지된 가설에 의하면, MBO, 직무순환은 개별적으로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MBO를 실시하는 기업은 직무순환도 같이 실시 할 때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을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더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MBO와 직무순환이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 효과도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성과작업시스템 내 특정 인사제도 간 개별적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이해는 전략적 인사관리 연구자뿐만 아니라 실무자에게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tilizing fit theory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wo HR practices on newcomer turnover rates. Whil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identifying the linkage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HPWS) and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h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회사 차원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중 신입사원(3년 미만 근속자)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두 개별 인사제도(MBO와 직무순환) 효과와 그 상호작용의 효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은 이론적 측면에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성과 측정 수준의 다양화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채용과 이직에 따른 회사의 비용부담을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사용으로 줄일 수 있을 지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을 수 있다.
  • 예를 들면, 전략적 경영분야에서 인수합병(Merger and Acquisitions), 리더십 분야에서 리더-부하 정합(Leader-Follower Fit), 모집분야에서의 사람-조직 정합(Person-Organization Fit),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수평, 수직 정합(Horizontal and Vertical Fit) 등이 있다. 본 논문은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의 수평정합, 즉 인사제도간 정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MBO와 직무순환으로 검증한다.
  •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개별 인사제도 고유의 영향력과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의 영향력간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한다. MBO와 직무순환이라는 두 개의 인사제도는 개별적으로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 감소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두 제도가 상호작용하여 이직률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인사제도 중 MBO와 직무순환이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지지된 가설에 의하면, MBO, 직무순환 각각의 개별제도가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
  •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성과가 아닌 신입사원의 이직률을 성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려 한다. 종업원을 모집하여 채용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든다.
  •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관련한 두 가지 문제를 연계시켜 고성과작업시스템내의 특정 인사제도의 개별 효과와 상호작용이 어떻게 3년 미만 근속자 (신입사원)의 이직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한국 기업에 있어서 회사, 근로자 모두에게 좋지 않은 조기이직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 본 연구는 위의 이론적 배경에 의해 고성과작업시스템내의 개별 인사제도 중 하나인 MBO와 직무순환(Job Rotation)이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신입사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아래의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한다. 가설 1은 MBO를 실시하는 기업의 이직률은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직률 보다 낮을 것을 예상한다.
  • 목표에 의한 관리(MBO): HCCP 데이터의 본사 설문지 중 MBO는 실시 여부와 현재 실시 중인 경우 실질적인 활용 정도 두 가지 데이터를 모두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MBO를 실시하고 있는 지 여부(0 =실시하지 않음, 1 = 실시)를 가지고 MBO를 측정하였다.
  • 즉, 직무순환을 통해 종업원은 기존 직무를 오래 수행함으로 인한 지루함을 탈피할 수 있고, 새로운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지식 습득의 동기부여가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순환을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개별적 인사제도 중 하나로써 그 효과성을 측정하는 바, 고성과작업시스템 전체의 종업원 동기부여,조직몰입도에 대한 긍정적 효과에 비추어 직무순환이 종업원 이직률, 특히 젊은 세대의 이직률 방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 세 번째는 효과적 보완(Efficient Complementarities)으로 개별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도 높고 개별 인사제도 각자의 영향력도 높은 상태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전략적 인사관리 연구에 있어 중요하며,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개별인사 제도 중 MBO와 직무순환 사이에 효과적 보완이 실재하는지에 대해 검증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위의 이론적 배경에 의해 고성과작업시스템내의 개별 인사제도 중 하나인 MBO와 직무순환(Job Rotation)이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신입사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아래의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한다. 가설 1은 MBO를 실시하는 기업의 이직률은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직률 보다 낮을 것을 예상한다. MBO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은 이미 많은 연구에 의해 알려졌다[23].
  • 가설 2는 직무순환을 실시하는 기업은 이직률 방지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을 예상한다. 사실 직무순환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그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혼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적 인사관리란 무엇인가? 전략적 인사관리란 조직목표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계획된 인사관리 제도의 전개와 실행으로 정의될 수 있다[2]. 전략적 인사관리 학문 분야는 풍부한 이론적 바탕위에서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보편적(Universalistic), 배치적(Configurational), 의존적(Contingency)관점의 도입은 전략적 인사관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 이유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때문이다[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종업원의 동기부여 수준을 높이고[6], 영업성과를 증가시키며[7], 궁극적으로 높은 기업 성과를 달성하게 해 준다[8]. 따라서,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보상제도, 까다로운 선발절차, 유연근무제도와 같은 고성과작업시스템에 속하는 인사제도를 실제로 채택하여 기업경쟁력을 높이고 있다[9].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인사제도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은?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 내의 개별 인사제도 고유의 영향력과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의 영향력간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한다. MBO와 직무순환이라는 두 개의 인사제도는 개별적으로 3년 미만 근속자 이직률 감소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두 제도가 상호작용하여 이직률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이러한 개별효과와 시너지 효과의 동시성은 채드윅이 제시한 효과적 보완, 즉 개별 인사제도 간 상호작용도 높고 개별 인사제도 각자의 영향력도 높은 상태가 MBO와 직무순환 인사제도 간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E. Delery and D. H. Doty, "Modes of Theorizing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ests of Universalistic,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4, pp.802-835, 1996. 

  2. D. P. Lepak and J. Shaw, "Strategic HRM in North America: Looking to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9, No.8, pp.1486-1499, 2008. 

  3. G. G. Dess and J. D. Shaw, "Voluntary Turnover,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4, pp.446-456, 2001. 

  4. L. Dyer and T. Reeves, "Human Resource Strategies and Firm Performance: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Need to Go?,"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6, No.3, pp.656-670, 1995. 

  5. M. A. Huselid,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Turnover, Productiv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3, pp.635-672, 1995. 

  6. M. Subramony,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Bundles and Firm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48, No.5, pp.745-768, 2009. 

  7. G. Messersmith, P. Patel, and D. Lepak, "Unlocking the Black Box: Exploring the Link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 No.6, pp.1105-1118, 2011. 

  8. I. H. S. Chow, "The Roles of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HR-Performance Link,"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3, No.15, pp.3114-3132, 2012. 

  9. J. Park and S. Kim, "Team Manager's Implementatio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Intensity, and Performance: A Multilevel Investigation. J. of Management, Vol.44, No.7, pp.2690-2715, 2016. 

  10. P. Mali, MBO updated: A Handbook of Practices and Techniques for Managing by Objectives, John Wiley & Sons, 1986. 

  11. C. Chadwick, "Theoretic Insights on the Nature of Performance Synergies in Human Resource Systems: Toward Greater Precis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20, No.2, pp.85-101, 2010. 

  12. 조봉순, 이경환, 이명주, "인사제도의 실행의 일관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 인적자본기업패널 학술대회, pp.27-50, 2016. 

  13. H. Lee, S. Werner, and T. Y. Kim,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nd Organization Attr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Vocational Interests," Employee Relations, Vol.38, No.5, pp.682-702, 2016. 

  14.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6/03/02/2016030201360.html. 

  15. P. M. Wright and G. C. McMahan,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J. of Management, Vol.18, No.2, pp.295-320, 1992. 

  16. N. Venkatraman, "The Concept of Fit in Strategy Research: Toward Verbal and Statistical Corresponde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3, pp.423-436, 1989. 

  17. P. Cappelli and D. Neumark, "Do "High-Performance" Work Practices Improve Establishment-Level Outcome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Vol.54, No.4, pp.737-775, 2001. 

  18. K. Jiang, D. Lepak, J. Hu, and J. Baer, "How Does Human Resource Management Influence Organizational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Mediating Mechanis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 No.6, pp.1264-1294, 2012. 

  19. R. A. Posthuma, M. C. Campion, M. Masimova, and M. Campion, "A High Performance Work Practices Taxonomy: Integrating the Literature and Directing Future Research." J. of Management, Vol.39, No.5, pp.1184-1220. 2013. 

  20. D. K. Datta, J. Guthrie, and P. Wrigh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Labor Productivity: Does Industry Mat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1, pp.135-145, 2005. 

  21. G. N. Theriou and P. Chatzoglou, "The Impact of Best HRM Practices on Performance-Identifying Enabling Factors," Employee Relations, Vol.36, No.5, pp.535-561, 2014. 

  22. A. S. Tsui J. L. Pearce, L. W. Porter, and A. M. Tripoli,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Does Investment in Employees Pay Off?,"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0, No.5, pp.1089-1997, 1997. 

  23. 우정희, 김중화, "목표관리과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호작용공정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제28권, 제1호, pp.89-107, 2008. 

  24. 신철우, "한국기업의 연봉제 실패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43권, 제1호, pp.751-771, 2004. 

  25. D. McGregor,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McGraw-Hill Pub, 1960. 

  26. E. Locke, G. Latham, and M. Erez, "The Determinants of Go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No.1, pp.23-25, 1988. 

  27. 권나경, 김혜린,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쟁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8호, pp.431-441, 2018. 

  28. Hewitt Associate, How the TOP 20 Companies Grow Great Leaders, Hewitt Research Insitute, 2005. 

  29. J. Nonaka and T. Hirotaka,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장은영 역 (1998), 지식창조기업, 세종서적(주), 1995. 

  30. B. Fredrickson,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pp.218-226. 

  31. L. Cheraskin and M. A. Champion, "Study Clarifies Job Rotation Benefits," Personnel Journal, Vol.75, No.11, pp.31-36, 2006. 

  32. P. C. Morrow, J. C. McElroy, K. S. Laczniak, and J. B. Fenton, "Using Absenteeism and Performance to Predict Employee Turnover: Early Detection Through Company Records," J. of Vocational Behavior, Vol.55, No.3, pp.358-374, 1999. 

  33. J. D. Shaw, J. E. Delery, D. Jenkins, and N. Gupta, "An Organizational-Level Analysis of Voluntary and In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1, No.5, pp.511-525, 1998. 

  34. J. B. Arthur, "Effects of Human Resource System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1, pp.670-687, 1994. 

  35. J. Jensen, P. Patel, and J. Messersmith,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Job Control: Consequences for Anxiety, Roled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Management, Vol.39, No.6, pp.1699-1724, 2013. 

  36. T. Ng and D. C. Feldman, "Re-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Voluntary Turnover," J. of Vocational Behavior, Vol.74, No.2, pp.283-294, 2009. 

  37. 김초롱, 오세일, "대기업 청년 퇴사자의 진정성과 자기계발: 신자유주의 시대, '개인화된 자아' 구성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제51권, 제1호, pp.103-139, 2017. 

  38. 이한나, 김정민, 한정원,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도적적 평가와 방해적 평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학회, 제18권, 제10호, pp.373-381, 2017. 

  39. 문동원, 라세림, 김윤호, "첨단기업 근로자 직무순환 경험특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무순환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4호, pp.357-368, 2018. 

  40. C. Vandenberghe and M. Tremblay, "The Role of Pay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urnover Intentions: A Two-Sample Study," J.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2, No.2, pp.275-286, 2008. 

  41. 전인, 안성인, 오선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운영성과 간 관계: 다수준분석을 통한 종업원성과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제19권, 제1호, pp.65-10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