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기반 융합연구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Convergence Research based on Social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135 - 146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태연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광희 (한국연구재단 인재양성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학제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학술적 연구를 넘어 융합연구 전반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에서 융합연구와 관련하여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약 10년간 게시된 글과 제목 등 약 150,000건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간별로 워드클라우드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 기간별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분야는 2009년과 2010년에는 친환경, 2011년과 2012년에는 스마트, 2013년과 2014년에는 정보통신, 2015년과 2016년에는 로봇, 2017년과 2018년에는 인공지능이다. 또한 약 10년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분야는 문화, 디자인, 화학, 나노, 바이오, 로봇, IT, 정보통신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간별 융합연구 동향을 파악하므로 써, 융합연구를 기획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rends in the entire convergence research beyond academic research through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at a time whe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is emphasized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about 150,000 cases of texts...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연구는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융합연구는 다학제적 융합연구, 학제간 융합연구, 초 학제적 융합연구,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3]. 다학제적 융합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분야가 협력하지만 각자의 분야에 해당하는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연구활동을 말한다[4].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점점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단일학문 분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분야와 인문사회분야의 융합과 소통을 강조하면서 융합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09년 한국연구재단은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여러 학문분야들이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융합연구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1][2].
다학제적 융합연구는 무엇인가? 융합연구는 다학제적 융합연구, 학제간 융합연구, 초 학제적 융합연구,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3]. 다학제적 융합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분야가 협력하지만 각자의 분야에 해당하는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연구활동을 말한다[4]. 학제간 융합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을 결합하여 새로운 접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연구활동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경정운, 김영우, 한승환, "융합연구의 새로운 발전 방향 모색: NSF의 환경 속의 생명복합성과 NRF의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사업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5권, 제1호, pp.151-177, 2011. 

  2. 노영희, 이광희, 정대근,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성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667-678, 2018. 

  3. 오현석, 배형준, 김도연,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의 융합연구 입문과 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pp.297-335, 2012. 

  4. D. H. Kim, "Analysis of Perception Difference in R&D Planning and Evaluation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Researcher: Focused o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Majors and Areas," The Journal of Transdisiplinary, Vol.2, No.1, pp.5-28, 2018. 

  5.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27-538, 2014. 

  6. 오효정, 윤보현, 최남현, 유철중, 김용, "소셜 빅데이터 내용 분석 기반 사용자 그룹별 선호지역 및 이동패턴 시각화,"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95-203, 2014. 

  7. 이수진, 전유나,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 인식 조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18권, 제1호, pp.83-109, 2016. 

  8. T. M. Joo and C. E. Teng, "Impacts of Social Media (Facebook) on Huma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 View on Behavioral Change and Social 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Vol.7, No.4, pp.27-50, 2017. 

  9. 김대경, 이현수,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55권, 제6호, pp.801-810, 2016. 

  10. 서운채, 김형중,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평판 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정보 제공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4호, pp.295-305, 2016. 

  11. 오효정, 안승권, 김용, "소셜 빅데이터 기반 사회적 이슈 리스크 유형 분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1-9, 2016. 

  12. 박성건, 이수원, 황영찬, "소셜 빅데이터 기반 2016리우올림픽 축구 관련 이슈 및 인물에 대한 연관단어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56권, 제2호, pp.303-320, 2017. 

  13. 나경식, 이지수, "신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본 국내 정보화의 경향과 도서관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4-33, 2018. 

  14. 김종범, "융합연구사업과 항공우주기술,"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제12권, 제2호, pp.3-9, 2014. 

  15. 이태희, 정영철, 의료분야에서의 정보기술 융합 연구 동향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014. 

  16. 최하영, 장재혁, 윤장혁, "NRF 연구제안서 분석을 통한 한국의 융합 R&D 동향 분석,"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986-989, 2016. 

  17. 장재혁, 윤장혁, "한국의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동향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326-2332, 2017. 

  18. 이재익,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기술 디자인 융합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8권, pp.519-529, 2014. 

  19. 경정운, 김영우, 한승환, "융합연구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NSF의 환경 속의 생명복합성과 NRF의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사업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5권, 제1호, pp.151-177, 2011. 

  20. 손주연, 이장재, 김시정, "녹색성장 정책의 변화: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3호, pp.516-538, 2015. 

  21. 김은미, 김예란, 임영호, 김경모, "블로그 뉴스의 속성과 이용자의 반응," 방송통신연구, 제74호, pp.9-4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