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기반 사회적 이슈 리스크 유형 분류
Social Issue Risk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Social Bigdat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8, 2016년, pp.1 - 9  

오효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안승권 ((주)바른교육)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셜미디어의 정치사회적인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셜빅데이터 기반 온라인 동향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 특히 여론 형성의 악영향을 끼치는 부정적 이슈 탐지를 위해 사회적으로 파장이 큰 이슈 중 공공여론이 부정적으로 형성될 이슈를 '리스크'로 정의하고 세부 유형을 분류한다. 리스크 유형 정의를 위해 뉴스 문서집합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슈 분야 즉 도메인별 특성을 파악하여 세부 유형을 정의한다. 또한 뉴스와 같은 공적미디어를 통해 정의된 리스크 유형이 개인화된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리스크 유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수행한다. 조사 결과에 따라 6개의 도메인별로 58개의 세부 유형을 정의하고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자동 분류 학습 모델을 구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 리스크를 자동으로 탐지, 분류가 가능함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political and social utilization of social media, demands on online trend analysis and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social bigdata are also increasing rapidly. In this paper, we define 'risk' as issues which have probability of turn to negative public opinion a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사건은 이슈가 미치는 사회적 파장이 크고 특정 이슈 대상에 부정적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사건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이슈 리스크를 다양한 소셜 미디어로부터 자동으로 탐지, 분류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부나 기업체에 미래 위험요소로 작용할 이슈를 미리 감지하여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탐지된 리스크의 위험 강도를 측정하고 향후 방향을 예측하여 리스크 대상에게 알림(alert)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다양한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 리스크를 자동으로 탐지, 분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을 자질로 활용하여 기계학습 기반 분류 모델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부나 기업체에 미래 위험요소로 작용할 이슈를 미리 감지하여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탐지된 리스크의 위험 강도를 측정하고 향후 방향을 예측하여 리스크 대상에게 알림(alert)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웹에서 의미하는 이슈는? 여기서 분석 대상으로 한 소셜 빅데이터는 뉴스와 같은 공공미디어 뿐 아니라 블로그, 게시판, 트위터 등 개인미디어를 포함한다. 또한 소셜웹에서의 ‘이슈’란 시간/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주제 또는 사건을 의미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선제적 대응 매체로 활용한 연구의 예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선제적 대응 매체로 활용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히 진행 중인데, 특히 개인, 기업 차원을 넘어서 국가 차원에서의 활용 방안도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RAHS(Risk Assessment Horizontal Scanning)[5] 프로젝트, 영국의 호라이즌 스캐닝 센터(The Foresight Horizon Scanning Center)[6] 등이 그 예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여론 수렴 및 대응책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그 밖에도 범국가 차원에서 EU는 금융위기 극복과 사회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FutureICT와 불확실한 미래 탐구를 위한 iKnow 프로젝트를 추진, 과거 단순한 데이터 분석 위주에서 최근 SNS와 결합한 미래 예측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 중이다[7].
소셜빅데이터 기반 온라인 동향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이유는? 소셜미디어의 정치사회적인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셜빅데이터 기반 온라인 동향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 특히 여론 형성의 악영향을 끼치는 부정적 이슈 탐지를 위해 사회적으로 파장이 큰 이슈 중 공공여론이 부정적으로 형성될 이슈를 '리스크'로 정의하고 세부 유형을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지영, "'빅데이터 분석 소셜 분석'이 된 까닭," bloter.net, 2012. 

  2. 윤미영, 권정은,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 한국정보화진흥원 IT & Future Strategy, 2012-제6호, 2012. 

  3. 백인수, 데이터 강국을 위한 국가정보화사업 추진 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05. 

  4. G. H. Kim, S. Trimi, and J. H. Chung, "Big-data applications in the government sector,"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7, No.3, pp.78-85, 2014. 

  5. W. J. Sutherland, M. J. Bailey, I. P. Bainbridge, T. Brereton, J. T. Dick, J. Drewitt, and P. M Gilder, "Future novel threats and opportunities facing UK biodiversity identified by horizon scanning," Journal of Applied Ecology, Vol.45, No.3, pp.821-833, 2008. 

  6. 한국정보화진흥원, "이슈 스캐닝(Horizon Scanning) 기반 국가미래전략 수립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IT & Future Strategy, 2013-제5호, 2013. 

  7. 이충희, 허정, 오효정, 김현진, 류법모, 김현기, "소셜 빅데이터 이슈 탐지 및 예측분석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8권, 제1호, pp.62-71, 2013. 

  8. 이상지, 장동혁, 박성운, 조원희, 이기철, "객체식별아이디 이포지션 기반의 LBSNS 앱이 19대 총선 후보 지지율의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171-179, 2013. 

  9. 허정, 이충희, 오효정, 윤여찬 김현기, 조요한, 옥철영,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기반 이슈 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제3권, 제12호, pp.553-564, 2014(12). 

  10. Y. J Choi, H. K Kim, and C. K. Lee, "Balanced Korean word spacing with structural SVM," Proc. of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EMNLP), pp.875-87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