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 영업업무 분류와 산업군의 구분에 따라서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alespersons' Work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Sales Work and the Industrial Categ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305 - 316  

김종윤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영업업무의 분류 및 산업군의 구분에 따라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88명의 소비재, 산업재, 금융업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창의성과 업무성과는 정적인 선형관계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창의성과 업무성과의 기울기에서는 단순영업과 수정영업의 업무 분류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업군 별 구분에서는 산업재 영업사원의 창의성이 다른 산업군, 특히 소비재 영업사원에 비해 업무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은 영업사원의 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역량이며, 산업재 영업을 담당하는 직원에 대해서는 다른 산업군보다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집중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work performance of salespersons, and underst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s creativity and their work performance changed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sales business and the industrial category. An on-line survey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영업업무의 분류 및 산업군의 차이가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갖게 하는 지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고자 한다.
  • 다음으로는 기업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영업사원의 업무성과를 어떤 한 개념만으로 접근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성과를 행동을 통하여 만들어낸 결과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행동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라는 개념으로 업무성과를 바라본 연구는 다양하게 찾을 수 있었다[22-2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업무성과란 업무 중 구체적으로 제시된 행동을 통하여 이루어진 결과로 정의하고자 한다[24].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영업업무의 분류 및 산업군의 차이가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갖게 하는 지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는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와 ‘영업 업무의 분류 및 산업군의 구분은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업사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업사원의 업무성과 관련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런 시장의 변화에서 맞추어 어떤 요인들이 영업사 원들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영업사원의 업무성과 관련 요인은 영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해당직원의 기술 수준, 동기 수준, 개인 성향, 조직 관련 환경요인, 그리고 개인 역량으로 밝혀졌다[1][2]. 위와 같은 요인 중 영업사원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변인 중 하나가 창의성이다[3].
단순영업을 하는 영업사원보다 수정 영업을 맡고 있는 영업사원들의 업무성과가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영업업무의 분류에서 단순영업과 수정 영업은 창의성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성 수준과는 상관없이 수정 영업을 맡고 있는 영업사원들이 단순영업을 하는 영업사원들보다 일정수준 높은 업무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단순영업과 수정 영업을 구분하는 기준이 영업사원 본인이 본인의 업무를 어떻게 받아들이나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본인의 업무가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줄 수 있는 활동이라고 생각하는 영업사원은 그렇지 않은 영업사원보다 더 높은 업무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단순영업과 수정영업의 구분이 영업사원들의 직업가치관과 연관이 있다는 유추를 뒷받침해준다.
산업군 중 창의성이 업무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산업군은? 창의성과 업무성과의 기울기에서는 단순영업과 수정영업의 업무 분류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업군 별 구분에서는 산업재 영업사원의 창의성이 다른 산업군, 특히 소비재 영업사원에 비해 업무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은 영업사원의 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역량이며, 산업재 영업을 담당하는 직원에 대해서는 다른 산업군보다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집중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 Walker, G. Churchill, and N. Ford,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 Industrial Selling: Present Knowledge and Needed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4, No.2, pp.156-168, 1977. 

  2. G. Churchill, N. Ford, S. Hartley, and O. Walker, "The determinants of salesperson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2, No.2, pp.103-118, 1985. 

  3. 차동옥, 김정식,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몰입,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권, 제1호, pp.171-198, 2011. 

  4. J. Singh, W. Verbeke, and G. Rhoads, "Do organizational practices matter in role stress processes? A study of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for marketing-oriented boundary spanner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3, pp.69-86, 1996. 

  5. T.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 No.1, pp.123-167, 1988. 

  6. 배창권, 개인창의성이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손태원, 홍길표, 정명호, 김영수, "창의성경영의 구성차원과 영영성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제26권, 제3호, pp.273-301, 2002. 

  8. Y. Gong, J. Huang, and J. Farh,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4, pp.765-778, 2009. 

  9. 정종식, 영업직원의 솔로션지향성이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프로세스,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0. 박찬욱, 석진홍, 조아라, "영업의 유형과 조직문화와의 적합성이 영업사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6권, 제1호, pp.1-22, 2014. 

  11. M. W. Johnston and G. W. Marshall, Sales force Management: Leadership, Innovation, Technology, New York, NY: Routledge, 2013. 

  12. B. L. Spiro, W. J. Stanton, and G. A. Rich, Management of a sales force, 12th ed. McGraw-Hill/Irwin New York, 2008. 

  13. B. Joo, G. Mclean, and B. Yang, "Creativit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Vol.12, No.4, pp.390-421, 2013. 

  14. T. Amabile, Cread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15. B. K. Joo and G. N. Mclean, "Best employer studies: A conceptual model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Vol.5, No.2, pp.228-257, 2006. 

  16. N. King, Innovation at work: the research literature, in West & Farr(1990),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New York, NY: Wiley, 1990. 

  17. R. Rosenfeld and J. Servo, Facilitation innovation in large organisations, in M. A. West & J. L. Farr (Eds.),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pp.3-13,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990. 

  18. R. Woodman, J. Sawyer, and R. Griffin,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2, pp.293-321, 1993. 

  19.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20. G. Oldham and A. Cummings,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3, pp.607-634, 1996. 

  21. D. Behrman and W. Perreault,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salespers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0, No.3, pp.355-370, 1982. 

  22. 윤승기, 영업사원의 암묵적지식과 고객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3. R. Boyatzis,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NY: John Wiley & Sone, 1982. 

  24. L. Williams and S.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25. J. Campbell, R. McCloy, S. Oppler, and C. Sager, A theory of performance.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CA: Jossey-Bass, 1993. 

  26. B. Babin and J. Boles, "Employee behavior in a service environment: A model and test of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he Journal of Marketing, Vol.1998, pp.77-91, 1998. 

  27. 김종윤, "영업사원의 학습목표지향성, 창의성, 업무방법, 업무강도, 업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90-107, 2018. 

  28. M. Runco, J. Plucker, and W. Li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13, No.3&4, pp.393-400, 2001. 

  29. 이병희, 창의적 행동의 영역일반 구조모형 검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0. H. Sujan, B. Weitz, and N. Kumar, "Learning orientation, working smart, and effective selling," The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3&4, pp.39-52, 1994. 

  31. 김두섭, 김남준,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나남,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