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638 - 649  

원지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기 진로에 대한 의식 및 태도의 발달은 성인기 진입과 함께 정서 사회 경제적 자립을 성취하는데 주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Youth Panel 2007) 데이터 중 1차시기와 3차시기 고등학생, 5차시기 대학생으로 유형 분류된 456명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 시기 가구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대학 재학 시기까지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가구 소득이 청소년의 진로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등학생 시기 진로지도 및 상담의 경험이 청소년의 대학 진학 이후까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중등교육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이 계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career knowledge and career attitude in adolescence is significant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changes in career maturity during the transition from 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까지 선행연구들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들의 진로 성숙 수준에 격차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세습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8][9].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과 가구 소득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진로지도 및 상담과 가구 소득이 청소년의 진로 성숙 과정에 어떻게 이바지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진로 교육이 가정환경에 따른 청소년 진로 성숙의 격차를 완화하는 잠재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지도 및 상담이 청소년들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동시에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과 가구 소득과의 상관관계 안에서 진로지도 및 상담이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자녀의 진로 성숙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을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또한 Flours와 Buchanan이 영국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진로성숙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39]. 따라서 본 연구는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에서 대학생 시기에 걸친 청소년의 진로 성숙 변화가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과 고등학생 시기부터 대학교 진학 이후까지의 진로 발달 변화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는 진로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교를 포함한 공식적인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 도 및 상담 경험과 함께 가고 소득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들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들의 진로 성숙 수준에 격차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세습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8][9].
  • 본 연구는 가구의 소득 수준과 청소년 자녀의 진로지 도 및 상담 경험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 패널 중 고등학생 대상자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공식적 서비스로서의 진로지도 및 상담과 부모의 가구소득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진로 지도 및 상담과 가구소득이 청소년의 진로 성숙 과정에 어떻게 이바지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9%(8,113명)로 나타났다[48]. 본 연구에서는 전체 표본 중 1차시기와 3차시 기 고등학생, 5차시기 대학생으로 유형 분류된 456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 시기 가구소득과 진 산장도 및 상담 경험이 진로 성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여기서 결정성은 자신이 갖고자 하는 진로 및 직업이 어느 정도 결정되었는지를 의미하고, 확신 은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서의 성공에 대한 개인적 믿음과 확신 정도를, 준비성은 진로 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 해와 준비 정도를, 독립성은 자신의 진로 문제를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얼마나 주체적으로 결정하는지를 의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성숙 수준을 계획성, 독립성, 준비성, 결정성 등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로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과 고등학생 시기부터 대학교 진학 이후까지의 진로 발달 변화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는 진로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교를 포함한 공식적인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 도 및 상담 경험과 함께 가고 소득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 청년고용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청소년들이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우려는 방안으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는 물론 지역사회 내 다양한 청소년 이용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다. 청소년 시기의 진로 발달은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고 자기성찰과 이해를 바탕으로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직업은 경제적 욕구 충족뿐 아니라 심 리·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청소년 시기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3-6].
  • 특히, 본 연구는 진로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변인으로 중등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지도 및 상담의 효과성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진로지 도 및 상담의 궁극적인 목적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정하고 준비하여 노동시장 진입 시의 여러 움을 감소시키고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하는데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장기적으로 진로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변화 경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설 설정

  • 가구 소득에 관계없이 청소년들은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 면에서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진 산장도 및 상담에 대한 접근 가능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에 반하는 것이다. 이는 진로지도 및 상담이라는 공식적 서비스가 주로 학교 교육과정 중에 집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김충기, 김현옥, "청소년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직업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143-160, 1989. 

  2.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3. 이승구, "고등학생의 취업목표와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4 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pp.646-679, 2014. 

  4. J. O. Crites,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McGaw-Hill Book Co, 1981. 

  5.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Careers, Prentice-Hall, 1973. 

  6. 김영태,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광운대학교대학원논문집, 제34권, 제2호, pp.81-105, 2005. 

  7. 통계청, e-나라지표: 취학률 및 진학률, 201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0, 2018. 7. 10. 

  8. 노법래, "후기청소년의 진로발달 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171-193, 2013. 

  9. 노혁,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수준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6호, pp.305-327, 2006. 

  10. 최윤미, 이문희, "진로성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청소년상담연구, 제19권, 제2호, pp.171-187, 2011. 

  11. D. E. Super,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57, pp.151-163, 1955. 

  12.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and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pp.197-261, Jossey-Bass, 1990. 

  13. M. L. Savicka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Vocational Behavior: Career Patterns, Salience, and The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Vol.1, pp.49-57, 2001. 

  14. 문은식, "중학생의 또래애착,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제22권, 제1호, pp.21-35, 2015. 

  15. 손연아, 신수지, 손은령,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109-125, 2014. 

  16. 신선아, 전종설,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3호, pp.111-136, 2015. 

  17. 이경희, 윤미현,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175-199, 2011. 

  18. E. J. Porfeli and B. Lee, "Career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Vol.134, pp.11-22, 2012. 

  19. 강현구, 송지나, 정수지, 이순형, "초기 청소년기 진로결정 수준과 대학 및 전공 만족도가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8권, 제3호, pp.57-88, 2015. 

  20. A. K. Korman,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Abilities and Vocational Cho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1, No.1, pp.65-67, 1967. 

  21. 신효정, 이문희, "진로성숙발달에 관한 4년 종단 연구-스트레스, 공격성, 우울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7호, pp.139-161, 2011. 

  22. 어윤경, "청소년의 희망직업 지위와 진로 기대감 변화추이," 교육학연구, 제46권, 제4호, pp.81-108, 2008. 

  23. 이자형,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변화 영향 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진로계획성과 진로관심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289-316, 2015. 

  24. 조명희, 이혜연, 이현우, "고교생의 진로발달,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pp.91-122, 2013. 

  25. 허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과 성별, 자아존중감 및 부모애착 시간효과의 구조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193-209, 2012. 

  26. 김봉환, 김아영, 차정은, 이은경, "청소년용 진로발달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8권, 제2호, pp.583-602, 2007. 

  27. 임언, 정윤경, 상경아,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8. 안재진,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유형이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9권, 제1호, pp.85-107, 2017. 

  29. J. O. Crites, Administration and Use Manual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2nd ed.), CTB/McGraw-Hill, 1978. 

  30. 최인재, 김봉환, 황매향, 허은영,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개발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27-53, 2011. 

  31. 김희수, 김옥희, "진로성숙의 변인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0권, 제4호, pp.57-68, 2007. 

  32. 박미란, 이지연, "진로성숙에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학교교육의 효과 검증,"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65-88, 2010. 

  33. 이제경, 이승구, "취업 청소년의 진로기대 및 취어준비행동," 진로교육연구, 제20권, 제8호, pp.121-137, 2007. 

  34. A. Lareau, Unequal Childhoods: Class, Race, and Famil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5. S. F. Reardon, "The widening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New evidence and possible explanations," In G. J. Duncan and R. J. Murname (eds.), Whither Opportunity?: Rising Inequality, Schools, and Children''s Life Chances, pp.91-115, Russell Sage Foundation, 2011. 

  36. M. Vuolo, J. T. Mortimer, and J. Staff, "Adolescent Precursors of Pathways from School to Work,"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24, No.1, pp.145-162, 2015. 

  37. 김현주, 김준영, "청소년의 진로 이행과 청소년, 부모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2호, pp.23-52, 2010. 

  38. 임현정, 김양분, 김난옥, "대학 입학전후 진로성숙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제18권, 제3호, pp.27-56, 2015. 

  39. E. Flouri and A. Buchanan, "The role of work-related skills and career role models in adolescent career maturit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1, pp.36-43, 2002. 

  40. 김소라, 황영준, "진로체험과 프로그램평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167-190, 2016. 

  41. 김신영, 최은실, "진로체험학습에서 학생.교사의 주도성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pp.71-93, 2014. 

  42. 장현진, 윤형한, 김민경, 류지영, 이지은, 유미애, 진로교육 현황조사,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43. 김소영, 홍세희,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고등학교에서 받은 진로지도의 관련성 검증," 조사연구, 제14권, 제1호, 2013. 

  44. 조효정, 황매향, "직업체험중심 진로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진로성숙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285-312, 2014. 

  45. 송인발, 강혜영,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140-149, 2016. 

  46. 김종운, 이태곤,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9-349, 2014. 

  47. 박효미, 이혜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04-312, 2015. 

  48. 장현진, 학교 진로체험 현황 및 효과 분석 조사 통계 브리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49. 김기헌, 유홍준, 오병돈, "진로체험의효과: 진로성숙도와학업성취도,"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19-36, 2014. 

  50.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괄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54-164, 2015. 

  51. F. Meijers, M. Kuijpers, and C. Gund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ies, career identity, motivation and quality of choice,"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 and Vocational Guidance, Vol.13, pp.47-66, 2013. 

  52. 최윤정, 김지은,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및 진로교육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81-106, 2012. 

  53. 한국고용정보원, User's Guide: YP2007 1-9차 조사자료, 2018. 

  54. 장현진, 정윤경, 김민경, 류지영,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 지원: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55. 이화정, 강석봉, "청소년패널자료 분석에서의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활용한 잠재성장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1409-141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