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1, 2019년, pp.57 - 73  

김보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오현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relationship to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300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P and A elementary sch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중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만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게다가 현재 스마트폰 사용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중시함으로써 부모교육 및 가족내 관계 개선을 위한 상담에 구체적인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본 연구는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 학교적응,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동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개방적이고 촉진적으로 지각할수록 아동의 우울, 불안,비행은 감소하며(노성향, 1995), 또래와 원만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김영미, 심희옥, 2000),상호간에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노윤옥, 전미경, 2006). 여기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 변인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전술하였듯이,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는 경우 학습태도(박석규, 이은영, 2015)와 학교에서의 대인 관계(노원경 등, 2013)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특히,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높은 스마트폰 의존도 치료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개발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학교적응, 그리고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부모-자녀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아버지-자녀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의 경우 표 3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학교적응, 그리고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높은 스마트폰 의존도 치료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개발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의 특징은? 학교는 학생들이 지식과 올바른 행동경향을 습득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장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김미숙, 2001). 그리고 학교는 아동이 사회 환경 속에서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차유림, 2001) 성인 이후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학교생활은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매체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어떤 역기능적 문제가 생기는가? 초등학생들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행동과 태도의 준거가 되는 가치를 쉽게 내면화하고, 외부 자극상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이에 가상과 현실 세계의 경계를 혼동하거나 디지털 미디어 매체가 낳은 가상세계 안에서의 가치를 무조건적으로 모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매체의 과도한 사용으로 나타나는 역기능은 일반 청소년들이나 어른들에게 나타나는 역기능적 문제보다 어린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위험요소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 2008).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조사에서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최근 스마트폰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59.3%로 나타났다(한국미디어 패널조사연구팀, 2015). 초등학생들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행동과 태도의 준거가 되는 가치를 쉽게 내면화하고, 외부 자극상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강균호 (2017).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상미 (2000).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재수 (2014).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6), 140-151. doi:10.5392/JKCA.2014.14.06.140 

  4. 권윤희, 김정남 (2004).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충동성, 공격성 및 감성지능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3), 460-470. 

  5. 권혁찬, 안귀여루 (2015).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과사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 통제를 매개 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22(5), 255-274. 

  6. 길경숙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47-164. 

  7. 김미숙 (2001).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대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9(1), 1-25. 

  9. 김소영 (2016).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진, 김혜숙 (201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0(2), 203-222. 

  11.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12. 김연화 (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영미 (201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대처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223-242. doi:10.18398/kjlgas.2015.29.1.223 

  14. 김영미, 심희옥 (2000).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15. 김영순, 신효정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학교 적응의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사회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0(3), 253-275. 

  16. 김인경, 박상욱, 최혜미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637-648. doi:10.5762/KAIS.2017.18.1.637 

  17. 김지선, 백지숙 (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3(1), 53-64. 

  18. 김지성, 김화수 (2012).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한부모가정학, 5(1), 25-35. 

  19. 노성향 (199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부적응.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노원경, 김태은, 정은주, 김의정 (2013).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과 학급차원의 지원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221-247. doi:10.24211/tjkte.2013.30.3.221 

  21. 노윤옥, 전미경 (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1-16. 

  22. 도금혜 (2008).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61-872. 

  23. 류세인, 조인숙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6180-6189. doi:10.5762/KAIS.2015.16.9.6180 

  24. 민하영 (1991).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석규, 이은영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7(2), 576-588. doi:10.13000/JFMSE.2015.27.2.576 

  26. 박수빈 (2013). 중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순이 (2016).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정아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2012).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의 이중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3), 529-544. doi:10.16983/kjsp.2012.9.3.529 

  30. 배진영 (2012). 청소년의 뉴미디어 의존실태와 관련변인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백혜원, 신윤미, 신경민 (2014).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신경정신의학, 53(5), 320-326. doi:10.4306/jknpa.2014.53.5.320 

  32.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한국언론학회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33. 서윤정, 이동훈 (2011). 중학생의 자아상태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학교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이론 관점에서. 상담학연구, 12(6), 2123-2144. doi:10.15703/kjc.12.6.201112.2123 

  34.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 동기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석말숙, 구용근 (2014).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9(4), 905-928. doi:10.13049/kfwa.2014.19.4.905 

  36. 선명숙 (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손은경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송두리 (2013).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심보현 (2013). 청소년의 거절 민감성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오윤정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부모감독의 조절효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윤명숙, 김남희, 박완경 (2014). 중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게임 및 가족, 여가요인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21(4), 309-337. 

  43.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 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doi:10.15703/kjc.12.2.201104.577 

  44. 이경미, 김완일 (201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6), 2627-2644. doi:10.15703/kjc.15.6.201412.2627 

  45. 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 (2008).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4), 111-133. 

  46. 이미경 (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수진, 문혁준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87-598. doi:10.5934/kjhe.2013.22.6.587 

  48. 이신애, 방윤이, 임윤미, 민혜영, 박효정 (2018).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6), 188-196. doi:10.5762/KAIS.2018.19.6.188 

  49. 이연미, 이선정, 신효식 (2009).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29-43. 

  50. 이은영 (2010).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재연 (2013).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학교생활 적응,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지은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중독실태에 대한 고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임금옥, 강길현, 박희서 (2015).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청소년 비행의 인과경로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 247-254. doi:10.9708/jksci.2015.20.1.247 

  54. 임미림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임정아, 김명식 (2018).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395-405. doi:10.14400/JDC.2018.16.3.395 

  56. 장성화, 조경덕 (2010).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285-293. doi:10.5392/jkca.2010.10.11.285 

  57. 장영애 (2008).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 영향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1), 87-99. 

  58. 정연호, 류점숙, 신효식 (2005).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145-158. 

  59. 정은다 (201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충동성 및 사회성 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주은, 정옥분 (2004).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1(3), 135-155. 

  61. 조하나, 백용매 (2009). 아동, 청소년상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2), 1035-1049. doi:10.15703/kjc.10.2.200906.1035 

  62. 지선화 (201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지효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과 성취동기 및 자아존중감 관계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21, 75-96. 

  64. 차유림 (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최경순 (1993).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4(2), 115-135. 

  66. 최선우, 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65-383. doi:10.16983/kjsp.2015.12.3.365 

  67.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연구팀 (2015). 2015년 미디어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6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6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70. 한현지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 황연덕, 이진숙 (2012).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1), 223-236. doi:10.5723/kjcs.2012.33.1.223 

  72. 황희숙, 김은희, 주희진 (2012).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지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409-430. 

  73. Kardefelt-Winther, D. (2014).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ritique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Towards a model of compensatory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51-354. doi:10.1016/j.chb.2013.10.059 

  7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75.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series in psychology) (Vol. 3). New York: McGraw-Hill. 

  76.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m, M., & Wilson, M. (1985). Family inventories.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77. Satir, V.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78. Wong, T. Y., Yuen, K. S. L., & Li, W. O. (2015). A basic need theory approach to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Frontiers in Psychology, 5, 1562. doi:10.3389/fpsyg.2014.01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