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시 영천강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와 관리방안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for the Floristic and Naturalized Plants of Yeongcheon River in Jinju City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493 - 512  

이재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삼봉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정근 (거제시청)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송진헌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황준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김봉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추갑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진주시 영천강변의 식물상조사를 통해 귀화식물의 분포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영천강 수변지역의 식생관리방안 도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전체 90과 282속 425종 1아종 38변종 6품종으로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종)의 약 9.62%에 해당하는 총 470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벼과가 77분류군(16.38%)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국화과 56분류군(11.91%), 콩과 33분류군(7.02%), 사초과 25분류군(5.32%), 장미과 22분류군(4.86%) 등의 순이었다. 지표식물(Ch)은 20분류군(4.25%)이 출현하였으며, 일년생식물과 반지중식물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상식물은 대교목 23분류군(4.89%), 관목 17분류군(3.61%), 아교목 14분류군(2.97%)이 출현하였고, 수생식물은 36분류군(7.65%)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낙지다리, 새박, 쥐방울덩굴, 창포, 애기등, 목련 등의 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구계학적특정식물은 26과 34속 34종 1변종의 총 3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6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은 18과 53속 68종 3변종 총 71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귀화율은 15.1%, 도시화지수는 22.1%였다. 생태계 교란종은 4과 8속 8종 1변종으로 9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생태계교란종의 64%에 해당하는 종이 출현하였다. 특히, 강의 하류로 갈수록 생태교란종의 출현빈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생태교란 식물중 돼지풀가시박은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야생동식물의 서식지 파괴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이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the Yeongcheon River area by presen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flora present in the Yeongc...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영천강과 같이 농경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수변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귀화식물의 분포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천강을 대상으로 식물상 및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조사하여 그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천강이란 무엇인가? 영천강(潁川江)은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永吾面)에서 발원한 영오천과 고성군 대가면(大可面)에서 발원한 영천이 만나 형성된 강이다. 영천강은 문산읍(文山邑)과 진주시를 거쳐 금산면 속사리(束沙里), 속사교 아래에서 남강(南江)으로 합류한다.
하천변 식생 지대의 역할은 ? 하천변 식생 지대는 유역 생태계와 육상 생태계를 연결해주는 전이대(ecotone)로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생물이 이동하는 생태통로(eco-corridor) 역할을 한다(Song and Song, 1996). 하천생태계는 수질, 천의 형태, 수심, 유속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로 인하여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심하다.
영천강 주변 서식하고 있는 생물은 ? 영천강 주변에는 비옥한 농토가 형성되어 있어 시설원예를 비롯한 다양한 경작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하천 정비와 제방을 만들면서 강의 본래의 모습은 대부분 없어졌지만, 금곡교에서 문산교까지는 다양한 크기의 하중도(河中島)가 형성되어 있고, 고마리⋅마름⋅검정말⋅물수세미⋅자라풀⋅나사말⋅애기가래 등의 다양한 수생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영천강의 연안대(沿岸帶)는 안정화된 지대가 있어 다양한 생물이 자라고 있어 종의 다양성이 높다(Jinju City,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W.C. 2009. A flora of the Hwangryong river in Gwangju area, M.S. Thesis,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 Jinju City. 2017. Website of Jinju City. http://www.jinju.go.kr/. 

  3.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1): 163-198. 

  4. Kim, H.I., Park, S.B., Lee, U.J., Song, J.H., Hwang, J., Park, J.G., An, J.B., Kim, B.G. and Choo G.C. 2019. The vegetation analysis of Nagang riverside, Jinju C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3(2): 39-64. 

  5. Kim, K.H. 2009. Assessment of physical stream disturbances by river improvement -Case studies of Nam river and Yougncheon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3): 83-97. 

  6. Kim, Y.M. 2013.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by urbanization degree of Mangyeonggang river vegetation in Jeollabuk-do.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7. Ko, J.G. and Jo, Y.H. 2003. A study on the flora of the lower basin of the Nakdong river. The Journal of The Basic Science Research Institute 7(2): 45-65.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main/Main.do. 

  9. Lee, C.B. 2014.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10. Lee, S.H., Lee, K. and Jeong, J. 2014. The vegetation anaysis of northern region at Jungnang riverside -Between two bridges of Wallgae 1 and Sangdo-.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4): 315-322. 

  11. Lee, Y.H. 2008. Flora list of Taehwa river and its tributaries: Map showing study site in Taehwa river. M.S. Thesi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12. Lee, Y.M., Park, S.H. and Jung, S.S. 2002.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2): 271-286. 

  13.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14.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15. Lim, D.O., Park, Y.K. and Ryu, Y.M. 2004a. Flora of Dongbok stream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4): 346-359. 

  16. Lim, D.O., Ryu, Y.M. and Hwang, I.C. 2004b.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3): 288-296.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Guidelines of korea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pp. 10-36.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Information of Korea alien species. http://kias.nie.re.kr/home/main/main.do. 

  20. Oh, H.K., Kim, Y. and Beon, M.S. 2005. Vegetation and distribution situ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waterworks protection area, Jeongup strea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9(2): 47-55. 

  21. Park, S.H. 2009. Naturalized plants in Korea. Ilchokak. 

  22.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press, Oxford. 

  23. Ryu, Y.M. 2003. Flora of the Youngsan river in Gwangju area. M.S. Thesis.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24. Sax, D.F. and Brown, J.H. 2000. The paradox of invasion. Global Ecology and Geography 9(5): 363-371. 

  25. Song, J.S. and Song, S.D. 1996.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9(5): 431-451. 

  26. You, J.H., Park, K.H. and Yoon, Y.C. 2010. Distru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96-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