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천시 광포만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Flora and Naturalized Plants in Gwangpo Bay, Sacheon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3, 2021년, pp.369 - 392  

이민숙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정수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삼봉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갑자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송진헌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곽칠식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봉규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추갑철 (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광포만의 관속식물, 염생식물, 침입외래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이 목적이다. 광포만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93과 299속 466종 3아종 41변종 10품종으로 520종이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중 LC등급은 검팽나무, 새박, 모새달 등의 3분류군, VU등급은 세뿔석위 1분류군, CR등급은 왕벚나무 1분류군, EN등급은 왕둥굴레가 출현하였다. 한국 특산식물해변싸리, 오동나무, 병꽃나무 등의 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4분류군으로 V등급은 왕벚나무 1분류군, IV등급은 산복사나무, 등나무, 검양옻나무, 갈사초 등의 4분류군, III등급은 바위손, 세뿔석위, 참조팝나무 등의 10분류군, II등급은 방기, 개산초, 새박 등 6분류군, I등급은 실고사리, 잣나무, 가래나무 등 23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침입외래식물은 돼지풀, 가시박, 털물참새피 등 6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염생식물은 갯장구채, 나문재, 해홍나물 등 2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생태계교란종은 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특히, 돼지풀, 가시박, 털물참새피 등은 자생식물의 생육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인위적인 방제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flora management of vascular plants, halophyt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Gwangpo Bay area in Sacheon city, Gyeongsangnam-do. The flora found in this area incorporated 520 taxa, including 93 families, 299 genera, 466 species, 3 subspecies, 41...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9)

  1. An, H.C., Kim, J.S., Choo, G.C., Park, S.B., An, J.B., Park, J.G., Ha, H.W., Kim, J.J. and Kim, B.G. 2015. Vegetation of specific islands located in eastern area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gricultural Life and Science Research 49(4): 6-7. 

  2. Beon, M.S. and Park, J.M. 2002. A study on flora and biotope conservation of the sand dune in Ui-island,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Forest Recreation 6(4): 93-101. 

  3. Cho, K.J. 2010. A study of methods for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resent state of the coastal wetlands as protected area: Focused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2): 130-138. 

  4.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3): 264-288. 

  5. Choi, D.S., Son, D.C., Park, B.K. and KO, S.C. 2015. Flora of Mt. Hambaek-san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5(1): 72-95. 

  6. Hong, S.K., Kim, H.E., Oh, K.H. and Ihm, H.S. 2013. Ecological value of tidal-flat island in Jeonnam Province and its validity for designating provinci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1): 41-52. 

  7. Kariyama, S. and Kobatake, H.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etin Kurashiki Museum Natural History 3: 31-40. 

  8. Kim, C.S. et al. 2018. Exotic Weeds Flora in Crop Fields in Republic of Korea. Weed and Turfgrass Science 7(1): 1-14. 

  9. Kim, E.G. 2013.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10. Kim, J.S., An, H.C., Park, S.B., Ha, H.W., Kim, J.J., Kim, B.G., Jang, K.H. and Choo, G.C. 2014.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five specific islands (Sochi-do, Jang-do, Sejon-do, Sol-seom, Hak-seom) located in eas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4): 109-123. 

  11. Kim, H.I., Park, S.B., Lee, U.J., Song, J.H., Hwang, J., Park, J.G., An, J.B., Kim, B.G. and Choo, G.C. 2019. The vegetation analysis of Namgang riverside, Jinju C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3(2): 39-64. 

  12. Koh, K.S., Kang, I.G., Suh, M.H., Kim, J.H., Kim, K.D., Kil, J.H., Rhu, H.I., Kong, D.S., Lee, E.B. and Chun, E.S.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74.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main/Main.do 

  14.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 

  1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16. Lee, C.B. 2014.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17. Lee, J.S., Park, S.B., Park, J.G., An, J.B., Song, J.H., Hwang, J., Kim, B.G. and Choo, G.C. 2019.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for the floristic and naturalized plants of Yeongcheon river in Jinj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8(4): 492-511. 

  18. Lee, S.H., Lee, K. and Jeong, J. 2014. The vegetation anaysis of northern region at Jungnang riverside -Between two bridges of Wallgae 1 and Sangdo-.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4): 315-322. 

  19. Lim, J.C. and Kim, T.S. 2018.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amjin-river estuarine ecosyte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0(2): 181-189. 

  20. Lim, D.O., Choi, H.W. and Hwang, I.C. 2010. Wind alley and flora plant species diversity of the Wando Jeongdo-ri windbreak forest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03-518.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Guidelines of Korea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pp. 10-36.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21.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https://kias.nie.re.kr/home/main/main.do. 

  23. Nam, B.M., Kim, J.Y., Jeong, S., Lee, J.H., Nam, M.J., Oh, B.U. and Chung, G.Y. 2015.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Bonghwa-gun, Andong-si).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8(5): 616-634. 

  24. Oh, H.K. and Beon, M.S. 2009. Analysis on community and flora of Jakeundang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181-182. 

  25. Park, K.H., You, J.H. and Song, B.G. 2010.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4): 395-405. 

  26. Park, S.H. 2009. Naturalized plants in Korea. Ilchokak. 

  27. Sacheon City. 2018. Gon-yang Local History. https://www.sacheon.go.kr/intro/01167/01194.web 

  28. Shin, Y.U., Han, S.W., Lee, S.W., Hwang, I.S. and Park, C.Y. 2019. Characteristics of waterbird community at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4(1): 160-169. 

  29. Soh, M.S., Lee, J.W., Kim, M.K., Lee, Y.S., Lee, L.S. and Oh, H.K. 2013. The flora and alien species of forest roa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4(2,3): 7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