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민가 오량가(五樑架) 종단구성의 규모와 부재치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and Dimensions of member of Sectional structure for Five-Purlin Houses from Joseon Era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8 no.1, 2019년, pp.7 - 16  

김재웅 (조선이공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existing structures of private homes from Joseon Era. Focusing on one hundred twenty five-purlin hous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structure from style, size, proportion and roof pitch, and measurements of key parts, and...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민가의 가구에 관한 통계적 분석으로 오량가를 중심으로 규모와 변작, 물매 등 가구구성에 대한 특성과 차이점을 종단구성별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주요부재의 단면치수를 분석하여 종단구성별 차이점을 살피고, 나아가 시대별 변화도 살펴, 조선시대 민가의 조명에 일조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민가의 가구에 관한 통계적 분석으로 오량가를 중심으로 규모와 변작, 물매 등 가구구성에 대한 특성과 차이점을 종단구성별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주요부재의 단면치수를 분석하여 종단구성별 차이점을 살피고, 나아가 시대별 변화도 살펴, 조선시대 민가의 조명에 일조하고자 한다.
  • 가 꼽힌다. 조사보고서의 실측치를 토대로 비례와 상관관계를 통계 분석한 것으로 영조규범의 규칙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사찰, 유교, 관아건축 중 단층 73동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민가는 변화양상이 다양하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량가는 종단구성에 따라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조선시대 민가 오량가는 종단구성에 따라 홑집, 홑전퇴집, 홑후퇴집, 홑전후퇴집, 양통집, 양통전퇴집, 세겹집으로 분류된다. 홑집 형식이 89채(73%)로 주를 이루고, 홑집 형식 중에서는 홑전퇴집이 47채(39%)로 가장 많다.
전통한옥사례DB구축으로 무엇이 가능해졌는가? 그러나 근자에 이루어진 ‘한옥기술개발 R&D’ 사업1)의 성과로 ‘전통한옥사례DB구축’이 이루어져 연구의 길이 열렸다. 가구에 관한 수치 자료를 토대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통계적 분석은 민가 종단구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전국적인 빈도와 시대별 비중을 파악할 수 있고, 종단구성의 규모와 변작, 물매의 범위와 평균치를 파악하여 상관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종단구성에 따른 규모의 차이 검정도 가능하다.
t검정(T-test)이란? 종단구성과 시대별 차이의 분석, 규모와 부재단면 치수와의 상관성은 통계패키지 ‘SPSS 18’을 이용하였다. t검정(T-test)은 두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파악할 때 이용하는 통계기법으로 규모와 변작, 물매, 부재치수 등 종단구성에 따른 차이의 분석에 부합된다.3) 또한 상관관계분석(Corelation Analysis)은 변수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기둥높이, 측면길이, 변작, 등 여러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는데 부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2002 

  2. 국가한옥센터 한옥기술개발 R&D(http//hannokkorea.auric.kr) 

  3. 김왕직,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 

  4. 김정언, 전통주거건축 가구구성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6호, 2002 

  5. 박찬, 전남지방 전통주택 가구구성의 공통치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권, 3호, 2017 

  6. 성대철, 한국전통목구조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 이영수, 조선시대 살림집의 기둥상부 결구형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 이윤기, 韓國木造建築에 있어서 拱包營造의 規範: 柱心包 樣式을 中心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9. 이윤석, 朝鮮中期 多包係佛殿 包作의 分數에 關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10. 장기인, 목조, 보성각, 1998 

  11. 조성기, 울산삼척지방의 ㅁ자형집의 4량구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권, 12호, 1995 

  12. 주남철,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