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1, 2019년, pp.159 - 179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pproach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to describe the differences with other literacies along with the redefined concept of data literacy. Also, it is tried to find out why and how to use data literac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Research has shown that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비쥬얼 리터러시, 통계 리터러시 등 각기 다른 리터러시들이 학문 주제별로 또는 초점이 되는 교육 내용의 다양성에 따라 발전해왔으며 데이터 리터러시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주제의 리터러시처럼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학문 주제별, 교육내용별 다양성에 따라 그 초점이 다르게 이해될 수 없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빅데이터를 필두로 하는 정보기술의 변화와 해당 기술의 이해 및 활용이 우리 사회에 주는 영향력으로 인해 나타난 다른 리터러시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차점에 있는 개념으로 이해한다.태생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의 변화와 사회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품고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기 때문이다.
  •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며,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왜 그리고 어떻게 적용 및 활용해야 하는가 등이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한 네 가지 연구질문이다.
  • 태생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의 변화와 사회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품고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 관련 기술 역량의 습득을 넘어 기술 및 사회적 맥락의 데이터를 이해하는,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문제를 객관적이고 통찰력을 가지고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능력으로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삶의 기술, 생애능력으로 이해하는 것을 제안한다.
  • 먼저, 본 연구는 “데이터”의 개념에 대한 재정리를 통해 이제는 우리가 이야기하는 데이터의 개념을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시작했다.
  • 본 연구는 가장 먼저 최근 몇 년 사이에 활발한 연구 이슈로 자리잡고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에 대한 재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이후 각종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를 정리하고, 데이터 리터러시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적용해야 할 이유에 대한 고찰 및 정보 서비스 방향을 고민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대량의 데이터가 매초 생성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기술(IT)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질문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 본 연구에서 도출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은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어떻게 활용해야하느냐라는 연구 질문의 해답을 위해 이후 3장에서 이루어질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개념을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모두 포괄하는, 즉, ‘디지털 기기(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를 통해 인지할 수 있는 디지털화된(digitalized) 데이터(문서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등)와 현실세계에서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중 디지털화되지 않은 데이터로 사람의 행동, 촉감 등을 포괄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문학작품에 대한 감성, 물질에 대한 촉감 등을 표현하는 움직임, 언어, 표정 등)’ 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음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들은 각각 다른 서비스들로 설명되었을 뿐 이런 서비스들이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적인 필요조건에 대한 고민은 제시되지 못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맥락에서 데이터의 해석능력, 이를 바탕으로 하는 부가가치가 부여된 지식의 창출 등이 바로 데이터 리터러시가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별성이라는 것을 이해할 때 여기 제시된 정보서비스를 위한 필요조건이 바로 데이터 리터러시를 통해 채워져야 할 사서의 역량임을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많은 부분 실험적인 아이디어와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핵심은 데이터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강조를 통해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존 개념에 대해 재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 제시된 교육의 구성항목들은 표준적인 제안으로, 실제로 진행될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있어서는 각각의 이용자에 따라 수준별 교육으로 유연하게 운영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에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교육지원 서비스 보다 다양하고 많은 사전 준비 작업까지 포함한 서비스로 제시하고자 했다. 학술 연구 데이터의 질 관리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과, 큐레이션 작업이 추가된 학술연구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본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 김지현(2018)의 연구는 가장 최근의 연구 중 하나로서 이 연구의 본문은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의 영역을 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그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대학 도서관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정보 리터러시 교육에서 확장된 것으로 보고 각 대학 도서관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연구데이터를 생성, 수집, 기술, 관리, 평가, 보존, 이용 및 재활용하는 능력으로 보고 연구자나 데이터를 다루는 실무자의 능력으로 데이터 리터러시를 해석하였다.
  • 후자의 경우 디지털화되지 않았으나 해당 데이터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보다 중요한 배경이 되는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어디까지 포함하고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에서부터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데이터의 기술적 요소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상황 및 맥락에 적합한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데이터에 근거해 사회적 문제를 객관적이고 통찰력을 가지고 해석할 수 있게 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장 먼저 최근 몇 년 사이에 활발한 연구 이슈로 자리잡고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에 대한 재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이후 각종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를 정리하고, 데이터 리터러시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적용해야 할 이유에 대한 고찰 및 정보 서비스 방향을 고민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리터러시는 문자화된 기록물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19세기까지만 해도 일반 대중이 아닌 특권 계층에서만 리터러시 능력을 취득할 수 있었다.
도서관은 무슨 기관이고 그로 인해 어떠한 의무를 지녀야 하는가? 도서관은 해당 사회의 문화를 전승하는 중요한 공익 기관으로서 해당 사회의 건강한 유지를위해 사회구성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커다란 의무를 지고 있다. 도서관 정보서비스 차원에서 교육은 단순한 정보의 전달과 획득 차원을 넘어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사회 구성원들의 성향, 행동양식, 견해)등을 파악해 나가는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권성호 2002).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의 중요성이 증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은 빅데이터 분석 등에 따른 정보기술의 변화와 해당 기술의 이해와 활용이 우리 사회에 주는 영향력으로 인해 나타나게 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단순한 데이터 활용 기술에서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 및 의사결정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측면으로 확대해가기 때문인 것이다.따라서 지금의 데이터 리터러시란 데이터 관련 기술적 측면의 지식 습득이라는 협의의 의미를 넘어 기술 및 사회적 맥락의 데이터를 이해하는, 데이터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보다 통합적인 능력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