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RIL 집단의 내탈립성 변이 탐색 및 유망계통 선발
Variation in Pod Shattering in a RIL Population and Selection for Pod Shattering Tolerance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4, 2019년, pp.414 - 421  

서정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강범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김현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김홍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최만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오재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신상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백인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  곽도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의 내탈립성은 성숙기 수량 손실의 주요인이며 기계수확 시 장애요인으로서 개량되어야 할 불량형질로 간주된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된 '대원콩'은 성숙기 탈립에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어 현재까지도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콩 품종이다. 향후 육종 프로그램에서는 '대원콩' 수준의 내탈립성을 가지면서도 수량성, 품질 등이 개선된 품종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원콩' 유래의 내탈립성에 대한 변이 양상을 조사하고, '대원콩' 수준의 유색콩 및 단기성 콩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원콩'을 모본으로 하고, 감수성인 검정콩 품종 '다원콩'과 단기성 콩 품종인 '새올'을 각각 부본으로 하는 두개의 고세대 RIL 집단을 활용하여 '16년부터 '18년 3년간 실내 내탈립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건조 시간별, 연차별 내탈립성 변이가 두 집단에서 모두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계통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대원콩'의 내탈립성은 기존 보고와 같이 소수의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고 특히 가장 강하게 관여하는 유전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원콩' 유래의 내탈립성은 연차 간에 안정적인 형질이었으며, 건조 시간이 오래될수록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건조 72시간 후의 터진 협의 비율을 지표로 성숙기 탈립에 저항성인 총 47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생육조사 결과와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내탈립 유색콩 및 단기성콩 6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다. 선발된 6개 계통은 '대원콩' 수준의 내탈립성을 가지면서도 성숙기가 빠르고, 경장, 마디수, 협수 등이 높아 추후 육종프로그램에서 내탈립성인 유색콩, 단기성콩 품종개발의 모본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d shattering during the maturing stage causes a serious yield loss in soybean. It is the main limiting factor of soybean cultivation and mechaniz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eties suitable for mechanical harvesting and to develop energy-efficient agricultural machinery to save labor and 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원콩’ 유래의 내탈립성에 대한 변이 양상을 조사하고, ‘대원콩’ 수준의 유색콩 및 단기성 콩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원콩’을 모본으로 한 고세대 RIL 집단을 육성하여 집단 내에 내탈립성 변이를 조사하고, ‘대원콩’ 수준의 내탈립 특성을 가지는 유색콩, 단기성콩 유망계통을 선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 향후 육종 프로그램에서는 ‘대원콩’ 수준의 내탈립성을 가지면서도 수량성, 품질 등이 개선된 품종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숙기 탈립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14). 하지만 작물로서 콩이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성숙기 탈립 문제는 종자 수확 시에 심각한 수량손실의 원인이며, 수확작업의 제한요인이 되어 입모관리와 함께 중요한 콩 재배기피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농촌 인구 고령화와 농업 인구수 감소로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화 재배에 맞는 콩 품종이 요구되면서 콩의 성숙기 탈립 문제는 식물체의 쓰러짐과 함께 가장 해결되어야 할 불량 형질로 간주되고 있다.
대원콩, 다원콩, 새올의 실내 내탈립성 검정 결과는 어떠한가? 건조 시간별 실내 내탈립성 검정 결과 저항성 품종인 ‘대원콩’은 3년간 건조 후 모든 건조 시간에 개열한 협의 비율이 0%로 저항성을 나타내는 반면, 부본인 ‘새올’은 모든 건조 시간에 개열한 협의 비율이 100%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다원콩’은 24, 48시간에 중도 저항성(30, 40%)을 나타내었으나, 72시간 후 3년 평균 개열한 협의 비율이 80%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Fig. 1). 건조기에서 24, 48, 72시간 후 개열한 협의 비율이 0%인 저항성 계통은 ‘대원콩’ב다원콩’ 조합에서 각각 57, 39, 26계통이었으며, ‘대원콩’ב새올’ 조합에서 각각 52, 35, 21계통이었다(Table 1). ‘다원콩’보다 ‘새올’이 초기 시간대에 더 탈립에 약한 특성을 나타내었고(Fig. 1), 각 집단 간 건조 시간별 탈립률을 비교하였을 때 ‘대원콩’ב새올’ 집단이 초기 시간대(24, 48시간)에 탈립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탈립에 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건조 72시간 후의 탈립률은 두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2). 건조 72시간 후의 두 집단에서 탈립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점과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저항성인 계통과 감수성인 계통의 차이가 뚜렷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건조 72시간 후 개열한 협의 비율이 0%인 계통을 지표로 저항성인 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다(Table 1).
‘대원콩’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원콩’(Kim et al., 1998a)은 1997년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수량이 낮고 쓰러짐이나 불마름병 등 병해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성숙기 탈립에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어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는 우량품종이다. 따라서 향후 콩 육종 프로그램은 ‘대원콩’ 수준의 탈립성을 가지면서 수량성, 내병성, 품질 등의 형질이 보완된 품종을 개발하여 ‘대원콩’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k, I. Y., D. C. Shin, S. T. Kang, S. B. Song, S. O. Hur, Y. H. Kwack, and M. S. Lim. 1998. A new early maturity, good seed quality and high yielding soybean variety "Saeolkong". Korean J. Breed Sci. 30 : 397. 

  2. Bailey, M. A., M. A. R. Mian, T. E. Carter Jr, D. A. Ashley, and H. R. Boerma. 1997. Pod dehiscence of soybean: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J. Hered. 88: 152-154. 

  3. Dong, Y., X. Yang, J. Liu, B. H. Wang, B. L. Liu, and Y. Z. Wang. 2014. Pod shattering resistance associated with domestication is mediated by a NAC gene in soybean. Nat. Commun. 5 : 3352. 

  4. Fuller, D. Q. 2007. Contrasting patterns in crop domestication and domestication rates: recent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e Old World. Ann. Bot. 100 : 903-924. 

  5. Funatsuki, H., M. Ishimoto, H. Tsuji, K. Kawaguchi, M. Hajika, and K. Fujino. 2006.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linked to a major QTL controlling pod shattering in soybean. Plant Breed 125 : 195-197. 

  6. Funatsuki, H., M. Ishimoto, H. Tsuji, K. Kawaguchi, M. Hajika, and K. Fujino. 2008. Confirmation of the location and the effects of a major QTL controlling pod dehiscence, qPDH1, in soybean. Breed Sci. 58 : 63-69. 

  7. Funatsuki, H, M. Suzuki, A. Hirose, H. Inaba, T. Yamada, M. Hajika, K. Komatsu, T. Katayama, T. Sayama, M. Ishimoto, and K. Fujino. 2014. Molecular basis of a shattering resistance boosting global dissemination of soybean. Proc. Natl. Acad. Sci. USA. 111 : 17797-17802. 

  8. Hancock, J. F. 2004. Plant evolution and the origin of crop speci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9. Hong, E. H., S. D. Kim, Y. H. Lee, Y. H. Hwang, Y. H. Moon, H. S. Kim, E. H. Park, Y. G. Seong, Y. H. Kim, W. H. Kim, Y. H. Ryu, and R. K. Park. 1992. A good quality, semi-dwarf, high density-adaptable and high yielding new soybean variety "Sinpaldalkong". RDA J. Agric. Sci. 34 : 20-25. 

  10. Kang, S. T., H. K. Kim, I. Y. Baek, M. G. Chung, W. Y. Han, D. C. Shin, and S. H. Lee. 2005. Genetic analysis of pod dehiscence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50 : 281-285. 

  11. Kang, S. T., M. Kwak, H. K. Kim, M. G. Choung, W. Y. Han, I. Y. Baek, M. Y. Kim, K. Van, and S. H. Lee. 2008. Populationspecific QTLs and their different epistatic interactions for pod dehiscence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Euphytica 166 : 15-24. 

  12. Kim, S. D., K. Y. Park, H. T. Yun, Y. H. Lee, S. H. Lee, Y. K. Seung, E. H. Park, Y. H. Hwang, and C. J. Ryu. 1998. A new soybean variety for soypaste with large seed and disease resistant "Daewonkong". RDA J. Crop Sci. 40 : 107-111. 

  13. Kim, S. D., K. Y. Park, Y. H. Lee, H. T. Yun, S. H. Lee, Y. H. Kim, Y. K. Seung, E. H. Park, H. S. Kim, Y. H. Ryu, Y. G. Son, and Y. S. Kim. 1998. A black seed coat soybean variety with small seed and lodging resistant 'Tawonkong'. RDA J. Crop Sci. 40 : 102-106. 

  14. Lee, J. S., K. R. Kim, B. K. Ha, and S. T. Kang. 2017. Identification of SNPs tightly linked to the QTL for pod shattering in soybean. Mol. Breed 37 : 54. 

  15. Liljegren, S. J., G. S. Ditta, Y. Eshed, B. Savidge, J. L. Bowman, and M. F. Yanofsky. 2000. Shatterproof mads-box genes control seed dispersal in Arabidopsis. Nature 404 : 766-770. 

  16. Mitsuda, N. and M. Ohme-Takagi. 2008. NAC transcription factors NST1 and NST3 regulate pod shattering in a partially redundant manner by promoting secondary wall form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issue identity. Plant J. 56 : 768-778. 

  17. Ogawa, M., P. Kay, S. Wilson, and S. M. Swain. 2009. arabidopsis dehiscence zone polygalacturonase1 (ADPG1), ADPG2, l AND quartet2 are polygalacturonases required for cell separation during reproductive development in Arabidopsis. Plant Cell 21 : 216-233. 

  18.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Agricultural science technology standards for investigation of research. RDA. Jeonju, Korea. 

  19. Suzuki, M, K. Fujino, Y. Nakamoto, M. Ishimoto, and H. Funatsuki. 2010. Fine mapping and development of DNA markers for the qPDH1 locus associated with pod dehiscence in soybean. Mol. Breed 25 : 407-418. 

  20. Schmutz, J., S. B. Cannon, J. Schlueter, J. Ma, T. Mitros, W. Nelson, and J. Cheng. 2010. Genome sequence of the palaeopolyploid soybean. Nature 463 : 178-183. 

  21. Toker, C. 2004. Estimates of broad-sense heritability for seed yield and yield criteria in faba bean (Vicia faba L.). Hereditas 140 : 222-2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