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리빙랩 프로젝트의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
A Performance Indicators of Living Lab Project in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5, 2019년, pp.193 - 207  

이재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정보시스템학) ,  이정훈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조경환 (대구테크노파크 모바일융합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Digital Social Innovation has been emerging at home and abroad and new solutions are being proposed by the perspective of User us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city. In addition, Living Labs which is an innovative tools and space enable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단계들이 일련의 순서대로 진행됨에 따라 개별 단계들의 중요성의 구분은 무의미하다는 연구 근거(Rho et al., 1989)에 의해 AHP 분석을 통한 지표들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은 진행하지 않았지만 연구가 심화됨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으로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 설정이 필요하다는 가능성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
  • 위와 같이 공공기관(지자체) 주도형 리빙랩의 프로젝트는 중점을 두는 목표에 따라 활동이 상이하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지역 사회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방식의 문제 해결형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사회혁신에서 리빙랩 프로젝트 운영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초기 문헌 연구를 시작으로 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한 검증을 통해 지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리빙랩 활동으로부터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표를 연구하는 것이고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어떤 조직을 관리하는데 있어 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표가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리빙랩의 적합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며 지표 개발을 통해 향후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은 순차적으로 논리성을 가진 인과관계이다. 이후 각 구성요소에 따라 측정항목 및 세부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빙랩 운영 절차는 크게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리빙랩 운영 절차는 크게 기획 및 준비 단계, 공동창출(Co-creation) 단계, 실증 단계, 사업화 단계 4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Schuurman et al., 2016), 디지털 사회혁신 관점에서 기획 및 준비 단계에서 사용자(시민)들의 구성이 중요하고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이후 프로토타이핑을 실시한다(Mulgan, 2006).
디지털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사회혁신이란 “사회 및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수요자)들의 참여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협력과 집단 혁신 촉진을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이다(European Commission, 2017). 또 시민사회가 핵심 영역으로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사회혁신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기술한다(Eckhardt et al.
리빙랩의 프로젝트 유형 중 수요 탐색형 방식은 어떠한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첫 번째, 초기 R&D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점차 최종 사용자인 시민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나가는 수요 탐색형 방식이 있다. 이미 개발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시민)들이 실험과 실증을 통해 기술을 보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획 및 준비 단계에서는 사용자(시민) 중심으로 수요 영역을 탐색하고 실증을 위한 여러 그룹을 구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 성과 지표", 2014. 

  2. 김은지, "리빙랩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 리빙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3. 김종선, 송위진, 성지은, 김정원, 정서화, 한규영, "디지털 사회혁신의 활성화 전략 연구", 조사연구, 2016, 1-133. 

  4. 김종선, 송위진, 성지은, 김지혜, "국내 디지털 사회 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STEPI Insight, 제192호, 2016, 1-36. 

  5. 박동완, 이정훈, 김재민, "U-City 전략 성과 참조모델로서의 운영성과 측정 지표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3호, 2010, 25-44. 

  6. 송위진, 정서화, 한규영, 성지은, 김종선,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2호, 2017, 458-486. 

  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 타당성조사 수행 세부지침", 2018. 

  8. Banwet, D.K. Jyoti, and S.G. Deshmukh, "Evaluating Performance of National R&D Organizations Using Integrated DEA-AHP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Vol.57, No.5, 2008, 370-388. 

  9. Bremser, W.G. and N.P. Barsky, "Utilizing the Balanced Scorecard for R&D Performance Measurement", R&D Management, Vol.34, No.3, 2004, 229-238. 

  10. Bria, F., "Growing a Digital Social Innovation Ecosystem for Europe", Dsi Final Report, 2015, https://doi.org/10.2759/448169. 

  11. Cao, Q. and J.J. Hoffman, "A Case Study Approach for Developing a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29, No.2, 2011, 155-164. 

  12. Chiesa, V., F. Frattini, V. Lazzarotti, and R. Manzini, "Performance Measurement in R&D : Exploring the Interplay between Measurement Objectives, Dimensions of Performance and Contextual Factors", R&D Management, Vol.39, No.5, 2009, 488-519. 

  13. Chroneer, D., A. Stahlbrost, and A. Habibipour, "Towards a Unified Definition of Urban Living Labs", ISPIM Innovation Symposium,?Manchester :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rofessional Innovation Management (ISPIM), 2018, 1-13. 

  14. Dell'Era, C. and P. Landoni, "Living Lab : A Methodology between User-Centred Design and Participatory Design",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Vol.23, No.2, 2014, 137-154. 

  15. Eckhardt, J., C. Kaletka, and B. Pelka, "Observations on the Role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for Inclusion",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29, No.4, 2018, 183-198. 

  16. Eriksson, M., V. Niitamo, N. Oyj, and S. Kulkki, "State-of-the-Art in Utilizing Living Labs Approach to User-Centric ICT Innovation -a European Approach", https://pdfs.semanticscholar.org/2edd/5e0fef9f7f9fd0262dea937cb997b3ab8d5f.pdf, 2005, 1-13. 

  17. European Commission, "What Next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2017. 

  18. European Commission, "EUROPE 2020-A European Strategy for Smart, Sustainable and Inclusive Growth-", 2016. 

  19.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2017. 

  20. Franz, Y., "Chances and Challenges for Social Urban Living Labs in Urban Research", Conference Proceedings of Open Living Lab Days, 2014, 1-206. 

  21. Franz, Y., K. Tausz, and S.-K. Thiel, "A Comparison of Different Living Lab Concepts", Proceedings of ISPIM Conferences, 2015, 1-12. 

  22. Geisler, E., "Key Output Indicators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47, No.2, 1994, 189-203. 

  23. Haxeltine et al.,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s : A Sustainability Transitions Perspective on Social Innovation", The next edge of social innovation research, at GCU's London Campus on 14 th and 15th November 2013, 11-12. 

  24. Katzy, B.R., "Designing Viable Business Models for Living Lab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Vol.2, No.9, 2012, 19-24. 

  25. Leminen, S., A.G. Nystrom, and M. Westerlund, "A Typology of Creative Consumers in Living Labs",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Vol.37, 2015, 6-20. 

  26. Leminen, S., M. Westerlund, and A.G. Nystrom,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Vol.2, No.9, 2012, 6-11. 

  27. Leven, P. and J. Holmstrom, "Consumer CoCreation and the Ecology of Innovation : A Living Lab Approach", In : Public systems in the future : possibilities, challenges and pitfalls, 2008, 5-6. 

  28. Mulgan, G., "The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Innovations :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Vol.1, No.2, 2006, 145-162. 

  29. New York City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 NYCEDC Innovation Index, 2011. 

  30. Olson Jr, M., "Social Indicators and Social Accounts",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Vol.2, No.2-4, 1969, 335-346. 

  31. Rho, W., P.P. Analyses, and J. Kim, 노화준, "정책분석론", 서울 : 박영사, 1989. 

  32. Schuurman, D., "Knowledge Exchange for Innovation Development in Open Innovation Systems?: Living Labs as Innovation Intermediaries and Knowledge Brokers Aligning User and Stakeholder Input", In The Hamburg Innovation Symposium (THIS) 2014 on Open and Collaborative Innovation in the Digital Era. 

  33. Schuurman, D., B. Lievens, L. De Marez, and P. Ballon, "Innovation from User Experence in Living Labs : Revisiting the 'Innovation Factory'-Concept with a Panel-Based and User-Centered Approach", ISPIM Conference Proceedings, Manchester :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rofessional Innovation Management (ISPIM), 2012, 1-11. 

  34. Schuurman, D., L. De Marez, P. Ballon, and S. Johnson, "The Impact of Living Lab Methodology on Open Innovation Contributions and Outcomes",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Vol.6, No.1, 2016, 7-17. 

  35. The Alcotra Innovation Consortium, "How to Set up Cross-Border Living Labs", The Alcotra Innovation Experience Handbook, 2013, 1-61. 

  36. Velicer, W.F. and J.L. Fava, "Affects of Variable and Subject Sampling on Factor Pattern Recovery", Psychological Methods, Vol.3, No.2, 2016, 231-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