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4, 2019년, pp.23 - 39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This study included 316 married employees who live in Seoul and have children attending junior high or lower grade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가족건강성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권안나, 2012) 단일 차원이 아닌 가족건강성에서 볼 수 있는 지지적 기능을 하위 요인별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일-가정갈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입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1명 이상이 있으며 막내자녀가 중학생 이하인 자녀를 둔 근로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최종 316명을 조사하였다.
  • 이에 맞벌이 기혼남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해 봄으로써 보다 행복한 사회 조건을 구성하는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그들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을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으로 구분하여 상호간의 영향을 살펴보겠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일-가정 갈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어은주와 유영주(1996), 오은지(2016)는 가족건강성의 구성요인을 가족 간의 유대관계,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가치체계공유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건강성의 구성요소를 가족 간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가치체계공유, 가족 간의 유대로 하여 구성하여 살펴보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건강성이란 무엇인가? 가족 건강성이란 가족구성원들이 문제나 위기에처했을 때 그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다음세대가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자라나도록 밑거름이되어주는 역할을 의미한다(정현숙·유계숙, 2001).가정의 지지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자원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가족문제를예방하고 치료하며 가정건강성을 유지 발전시키는것은 행복한 삶에 실제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유계숙, 2004).
일-가정 갈등의 경향은 어떠한가? 첫째, 일-가정 갈등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맞벌이기혼남녀의 ʻ가정→일 갈등ʼ이 ʻ일→가정 갈등ʼ 수준보다 더 높게 나타나 가정일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한 일에 대한 갈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해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갈등은 상대적으로 중간값 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가족건강성에서는 중간값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 가정갈등의 연구에서 행복한 사회 조건을 구성하는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가족건강성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권안나, 2012) 단일 차원이 아닌 가족건강성에서 볼 수 있는 지지적 기능을 하위 요인별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통해 맞벌이 기혼남녀의 행복감 증진에 필요한 조건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맞벌이 기혼남녀에게 적합한 가족복지정책 및 가족서비스 지원개발에 필요한 학술적·실천적 유용성을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맞벌이 기혼남녀의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해 봄으로써 보다 행복한 사회 조건을 구성하는 필요한 근거자료로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163-186. 

  2. 곽금주.민하영.김영은.최지영.전숙영(2011). 중년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가족외 관계 및 직무만족이 행복심리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3), 115-133. 

  3. 곽인숙(2013).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1), 1-18. 

  4. 국민대통합위원회(2014).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 3. 

  5. 권안나(2012). 가정에 대한 인식과 가정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성인 남.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7. 김경미(2018).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민경(2012). 남녀대학생의 강점, 가족건강성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4), 47-68. 

  9. 김성국.박수연.이현실(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67-275. 

  10. 김세련(2010).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소정(2016).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의 통합적 접근. 사회복지연구, 47(3), 161-185. 

  12.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노성숙.한영주.유성경(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14. 류현주(2012). 직장인의 일과 가족의 균형 및 갈등과 삶의 질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박미석(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16. 박영신.김의철(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1), 161-195. 

  17. 박영신.김의철(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3), 399-429. 

  18. 백경숙.박주현(2015). 가족 건강성, 이성교제 만족도 및 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3), 503-524. 

  19. 서종수.조희금(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95-104. 

  20. 서하진(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송인숙(2012).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안소희.최정숙(2014).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 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5, 65-94. 

  23. 양순미(2004). 성별에 따른 농촌부부의 행복정도와 가족건강성 변인의 효과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53-172. 

  24.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25. 오은지(2016).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이 의미 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27. 윤대혁(2008). 맞벌이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 87-109. 

  28. 이상숙(2009).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 특성,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과 심리적?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숙정(2011),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학연구, 21(2), 81-112. 

  30. 이숙현.서혜영(2002). 기혼 남성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직업 및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4(2), 3-30. 

  31.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이자명(2013).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적 사고 차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9(3), 531-548. 

  34. 이주희.이은희(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287-303. 

  35. 이지언(2012). 가족친화제도, 조직문화, 일-가정 양립갈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장해진(2015). 청소년의 자기복합성과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전미영.김난도(2011). 재화소비와 경험소비에서 나타나는 소비자행복 수준비교.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2), 55-75. 

  38. 정상미(2013).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중년기 부부의 직업,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 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40. 정현숙.유계숙(2001).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39-47. 

  41. 조미영(2000). 여성의 우울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최규현(2013). 가정-직장갈등이 맞벌이 근로자의 행동과 승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최수찬.고수연.이지연.이희종(2015). 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직무디스트레스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293-303. 

  44. 통계청(2018).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45. 하오령.권정혜(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과 역할 만족도: 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3), 675-696. 

  46. Byron, K.(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47. Campbell, J. D.(1990).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3), 538-549. 

  48. DeFrain, J. & Stinnett, N.(2002). ?Family strengths?.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rriage and family (2nd ed., Edited by: Ponzetti, J. J. 637-642.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Group. 

  49.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2. 

  50.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51. Gutek, B. A., Searle, S., & Klepa, L.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 

  52. Judge, T. A., Ilies, R., & Scott, B. A. (2006).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s: Effects at work and at home. Personnel Psychology, 59(4), 779-814. 

  53. Koivumaa-Honkanen, H., Honkanen, R., Viinamaeki, H., Heikkilae, K., Kaprio, J., & Koskenvuo, M. (2001). Life satisfaction and suicide: A 20-year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3), 433-439. 

  54. Kopelman, R. E., Greenhaus, J. H., & Connolly, T. F. (1983). A model of work, family, and interrole conflict: A construct validation stud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98-215. 

  55.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56. Mesmer-Magnus, J. R., & Viswesvaran, C. (2005). Convergence between measures of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A meta-analytic examin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215-232. 

  57.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 V., Yoo, S. K., Cinamon, R. G., & Han, Y. J.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461. 

  58. Olson & DeFrain(2003). Marriage and the family-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 (New York: McGrawhill Company) 

  59. Veenhoven, R.(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