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가정생활 우선도와 일·가정 양립제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근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성별 차이를 보이는 산업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Influence of Work and family life priority and Recognition Differenc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on Satisfaction of Working Condition Using Path Analysis Model : Focused on Industrial Groups Showing Gender Differenc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3, 2019년, pp.43 - 74  

박민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일생활균형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work and family life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o form a policy approach that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work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we wanted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appeared in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가정 양립제도에는 어떤 제도들이 있는가? 일·가정 양립(work and family balance) 지원 정책은 남녀 근로자가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충돌을 완화하고자 도입된 정책으로 근로자의 임신, 출산, 자녀 양육기의 모성보호와 경력단절을 방지하여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자녀 양육기의 가족생활을 보장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다(박종서, 2017). 관련 제도에는 임신-출산 근로자 보호제도, 육아-보육 지원제도, 근로시간 단축 지원제도, 일가정 양립 기업 문화 확산 지원제도 등이 있다.
일·가정 양립지원 정책은 무엇인가? 일·가정 양립(work and family balance) 지원 정책은 남녀 근로자가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충돌을 완화하고자 도입된 정책으로 근로자의 임신, 출산, 자녀 양육기의 모성보호와 경력단절을 방지하여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자녀 양육기의 가족생활을 보장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다(박종서, 2017). 관련 제도에는 임신-출산 근로자 보호제도, 육아-보육 지원제도, 근로시간 단축 지원제도, 일가정 양립 기업 문화 확산 지원제도 등이 있다.
성별 분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다만, 사회학적 시각은 여성과 남성의 경력 과정에 성별 차이를 유발하는 메커니즘으로써 성별의 분리를 인식한다는 점에서 경제학과 다르다(Reskin & Bielby, 2005). 성별 분리란, 특정 직업, 산업 및 동일 직업 내에서의 직급, 직무에 특정성별이 집중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성별의 구성 비율이 소수 집단에 대한 차단과 배제를 형성하고 차별적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구조로써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성별 분리는 특정성별이 집중됨 뿐 아니라 고용의 측면에서 소수 집단에게 불이익이 집중되는 수직적 불평등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획득하는 성과에 대해서도 제한된 평가를 유도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고용노동부(2018). 고용보험통계연보. 

  2. 권태희(2010). 유연근로가 여성 관리자의 직장-가정양립에 미치는 효과 여성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3, 5-30. 

  3. 금재호(2000). 비정규직 함정은 존재하는가?. 한국노동연구원, 분기별 노동동향, 2000년 4/4분기. 

  4. 김근주(2017).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유형과 체계. 노동리뷰, 2017(2), 9-22. 

  5. 김기헌(2005).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 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교육사회연구, 15(3), 51-77. 

  6. 김성국(1997), 조직과 인간행동, 서울: 명경사. 

  7. 김애실(2004). 직종분리와 직종별, 성별 임금격차. 한국여성경제학회학술발표논문집. 

  8. 김은주.한인수(2015).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436-446. 

  9. 김일경(2013). 가족친화제도의 활용 용이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일.가정 양립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섭.이상준(2005).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분석. 노동정책연구, 5 (2), 1-29. 

  11. 김혜정(2011). 일.가정양립 정책에 대한 젠더 비평적 분석. 여성학연구, 21(2), 113-152. 

  12. 남호순(2001). 국공립과 사립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강남 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미래창조과학부(2017). 10년후 대한민국, 미래일자리의 길을 찾다. 

  14. 민경률.박성민(2013). 유연근무제가 조직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5, 1211-1249. 

  15. 박광표.김동철(2019).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9(1), 59-91. 

  16. 박성재.반정호(2007). 청년층의 하향취업 원인과 노동시장 성과. 사회보장연구, 23 (4), 1-28. 

  17. 박성준.황상인(2005). 청년층 과잉학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경제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28(3), 1-37. 

  18. 박세영(2011).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 (2), 331-353. 

  19. 박수연.박정애(2000). 교육조직론. 서울:교육과학사. 

  20. 박재춘(2017). 직무만족, 생활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 생활만족의 매개효과와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7(1), 27-54. 

  21. 박종서(2017). 일.가정 양립 정책 추진 현황과 개선 방향, 보건복지포럼, 249, 18-33. 

  22. 사람인 (2019.5.23.). 사상 최악의 취업난에도 조기퇴사자 늘어. http://www.saramin.co.kr/zf_user/help/live/view?idx98044&listTypenews 

  23. 사명철(2015). 성별 직종분리의 변화와 임금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송영선.이희수(2013).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조직화를 위한 구성원의 다문화 수용성 탐색: 무형식 학습과 집단지성의 연계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9(2), 1-22. 

  25. 신선미, 김종숙, 임후남(2011).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녹색성장관련 전공과 기타 전공 간 비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 

  26. 오선균(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2), 35-59. 

  28. 유수현(2013).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찬영(2008).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하향취업 행태. 직업능력개발연구, 11(3), 49-69. 

  30. 장지연(2001). 비정규노동의 실태와 쟁점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 151, 68-96. 

  31. 정기선.장은미(2005). 가족친화적 정책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가족문화, 17(1), 59-84. 

  32. 조은미(2009).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조혜선(2002). 성별 분리와 가치 차별에 대한 다층분석. 노동정책연구, 2(3), 1-29. 

  34. 통계청(2017). 사회조사보고서. 

  35. 통계청(2019). 4월 고용 통향. 

  36. 허은(2013). 노동시장 계층별 성별직업분리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지, 47(2), 241-266. 

  37. 황수경(2003), 내부자(Insiders) 노동시장과 외부자(Outsiders) 노동시장의 구조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3(3), 49-86. 

  38. Alan L. Saltzstein, Yuan Ting & Grace Hall Saltzstein(2001).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Attitudes of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52-67. 

  39. Alba-Ramirez, A(1993). Mismatch in the Spanish Labour Market : Overeduc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27, 259-278. 

  40. Allen, Jim & van der Velden, R.(2001). Educational mismatches versus skill mismatches: Effects on wages, job satisfaction and on-the-job search. Oxford Economic Paper, 3, 434-452. 

  41. Anker, R.(1997). Theories of occupational segregation by sex: An overview.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6(3), 315-339. 

  42. Baxter & Wright(2000). The Glass Ceiling Hypothes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Australia. Gender & Society, 14(2), 275-294. 

  43. Bellas. M. L.(1994). Comparable Worth in Academia: The Effects on Faculty Salaries of the Sex Composition and Labor-Market Conditions of Academic Disciplin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9(6), 807-821. 

  44. Bielby, William T. & Baron, James N.(1986). Men and Women at Work: Sex Segregation and Statistical Discrimin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4), 759-799. 

  45. Blau, F. D., Brummund. P. & A. Yung-Hsu Liu.(2013). Trends in Occupational Segregation by Gender 1970-2009: Adjusting for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Occupational coding System. Demography, 50, 471-492. 

  46. Blau, F. D., Ferber, M. A. & A. E. Winkler (2010). The economics of women, men, and work(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47. Buchel, F. & F. Mertins(2004). Overeducation and Skill Endowments: The role of school achievement and vocational training 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5(2), 150-166. 

  48. Cohen, Lisa, Joseph Broschak, & Heather Haveman(1998). And Then There Were Mor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ex Composition on the Hiring and Promoting of Manager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711-727. 

  49. Dolton, P. & Vignoles, A.(2000). The Incidence and Effects of Overeducation in the U.K. graduate Labour Market.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9, 179-198. 

  50. Gorman, E. H. & J. A. Kmec.(2009). Hierarchical Rank and Women's Organizational Mobility: Glass Ceilings in Corporate Law Firm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4(5), 1428-1474. 

  51. Hackman, J. R. & Oldham, G. R.(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 159-170. 

  52. Hackman. J. R. & Oldham, G. R.(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 250-279 

  53. Hartog, Joop.(2000). Over-education and Earnings: Where are we, Where should We Go?.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9(2000): 131-147. 

  54. Heilman, M. E.(2001). Description and prescription: How gender stereotypes prevent women's ascent up the organizational ladder. Journal of Social Issues, 57(4), 657-674. 

  55. Hoppock, R.(1935).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and Brother. 

  56. Johnson, A. A.(1995). The Business Case for Work-Family Program. Journal of Accountancy, 180, 53-62. 

  57. Judge, T. A., Locke, E. A., & Durham, C. C. (1997). The dispositional causes of job satisfaction: A core evaluations approach,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9, 151-188. 

  58. Kossek, E. E., & V. Nichol.(1992). The Effects of On-site Child Care on Employee Care on Employee Attitudes and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45(3), 485-509. 

  59. Konrad, A. M. & Pfeffer, J.(1991). Understanding the Hiring of Women and Minori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ociology of Education, 64(3), 141-157. 

  60. Levanon, J. Y., England. P. & P. Alison (2009). Occupational Feminization and Pay: Assessing causal Dynamics using 1950-2000 U.S. Census Data. Social forces, 88, 865-981. 

  61.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62. McCormick, E. J. & J. Tiffin(1974).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63. Miskel, C. G.(1977). Bureaucratic Structure, Organizational Processes & Three Dimensions of Effectivenes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area at New York. 

  64. Nieva, V. G. & Gutek, B. A.(1980). Women and Work :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Praeger. 

  65. Peterson, T., & Saporta I.(2004). The opportunity structure for discrimin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4), 852-901. 

  66. Pincus, J. D., & Rayfield, R. E.(1989).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 meta research perspective. Communication Science, 25(2), 1-12. 

  67. Porter, L. W., R. M. Steers, R. T. Mowday & P. Boulian.(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68. Porter, L.W.,& Lawler,E.E.(1968). Managerial attitudes and performance, R.D. Irwin (Homewood, III). 

  69. Price, J. L., & Mueller, C. W.(1990). Wilford Hall Medical Center retention survey. TX: Lackland Air Force Base 

  70. Reskin BF, & Bielby DD.(2005). A sociological perspective on gender and career outcome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005(19), 71-86. 

  71. Reskin, Barbara F., Debra B. McBrier, & Julie A. Kmec.(1999). Th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Sex and Race Composition. Annual Review Sociology, 25, 335-361 

  72. Reskin, B., & Padavic, I.(1994). Women and men at work. Thousand Oaks, CA: Sage. 

  73. Sackett, P. R., DuBois, C. L. & Noe, A. W.(1991). Tokenism in performance evaluation: The effects of work group representation on male-female and White-Black differences in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2), 263-267. 

  74. Schneider, B., Goldstein, J. R., & Smith, D. B.(1995). The ASA framework: An update. Personnel Psychology, 48(4), 747-773. 

  75.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Skokie, IL: Rand-McNally. 

  76. Spreitzer, G. & C. Porath(2012). Creating sustainabl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90(1), 92-99. 

  77. Steers, R. M. & Porter, L. W.(1975). Motivation & Work Behavior,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78. Stier, H. & Yaish, M.(2008).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i wome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4(3). 363-377. 

  79. Stier, H. & Yaish, M.(2014). Occupational segreg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job quality: a multi-level approach.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8(2), 225-246. 

  80. Tomaskovic-Devey, D.(1993). Gender and Racial Inequality at Work: Th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Job Segreg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ILR Press. 

  81. Tomaskovic-Devey, D.(2014), The Relational Generation of Workplace Inequalities, Social Currents, 11(1), 51-73. 

  82. Weiss, H. M. (2002). Introductory comments: Antecedents of emotional experiences at work. Motivation and Emotion, 26(1), 1-2. 

  83. Zheng, X., Zhu, W., Zhao, H. & C. Zhang (2015). Employee well-being in organizations: Theoretical model, scale development, and cross-cultural valid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6, 621-64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