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필댐 하류사면 자생식물의 습생지수 결정
Determination of Hydrophyte Index of Native Plant on the Downstream Slope of Earth Fill Dam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1 no.1, 2019년, pp.131 - 144  

김현수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류범희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박승기 (Departmen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hygrophyte index of each plant(HIP) considering the moisture environment condition (MEC) of the native plants on the downstream slope of the fill dam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which to develop a method to search for leaks and saturated zones of the fill...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업용 저수지의 정밀안전진단은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하기 위하여 시설의 구조적 안정성 및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 측정 및 평가하여 보수, 보강 등의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밀안전진단에서 제체 누수현상은 외관조사, 전기 비저항 탐사의 결과로부터 누수 취약구간을 추정하여 시추조사 및 추적자시험 등으로 누수범위와 유동경로를 확인한다(KRC, 2011).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주요 식물종에 대하여 개별식물종의 수분환경조건을 고려한 개별 식물의 습생지수를 결정하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정밀안전진단이 실시된 신흥 저수지의 식생조사 결과와 개별 식물의 습생지수를 사용하여 신흥 저수지 조사구 식생의 습생지수를 구하여 누수구역 판단에 적용하였으며 조사구 식생의 습생지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농업용 저수지의 안전과 기능유지를 위하여 실시하는 정밀안전진단의 상태평가에서 필댐의 누수구역 또는 포화대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필댐 하류사면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특성을 수분환경조건을 고려한 개별 식물의 습생지수를 결정하고 식생조사 결과를 적용하여 조사구 식생의 습생지수를 구하여 누수구역 판단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누수구역 판단하는 기법의 적용에 고려하여야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필댐으로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의 안전과 기능유지를 위하여 실시하는 정밀안전진단의 상태평가에서 필댐 하류사면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넓은 범위의 수분 스펙트럼위에서 다양한 폭의 내성을 가지고 생육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누수 및 포화구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필댐 하류사면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수분환경조건(MEC)을 고려한 개별 식물의 습생지수(HIP)를 제시하고 누수 및 포화구역을 탐색하기 위한 지표로 조사구의 평균 HIP와 조사구 식생의 습생지수(HIV)적용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필댐의 특성은 무엇인가? 0%이상이 필댐이다. 필댐은 지형, 재료 등 조건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축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누수와 파이핑, 월류, 침식 등에 의하여 파괴될수 있는 취약성을 지니고 있으며 ICOLD(1995)는 필댐에서 나타나는 파괴원인으로 누수 47%, 월류 44%, 기타 9%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준공연도는 50년 이상 된 저수지가 12,305개로 약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장마,태풍, 국지성 호우 등의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다(MAFRA and KRC, 2017).
저수지의 누수현상은 보통 어떠한가? 그러나 저수지의 누수는 저수위조건, 계절적 특성, 식생상태, 선행강우 조건, 제체재료의 특성, 시공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 누수구역과 누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Kim, 2017). 저수지의 누수현상은 제체 전면에 걸쳐 일어나기 보다는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제체의 파괴나 대규모 누수 등에 의한 재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침투수는 층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수맥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Park et al., 2005).
습생지수의 이용성은 무엇이 있는가? 습생식물의 자생유무에 따라 농업용 저수지의 누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KRC(2011)는 누수지표종으로 갈대, 쇠뜨기, 머위, 이끼류 등의 습생식물 자생유무로 제체의 습윤 포화된 상태를 파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KISTEC(1996, 2013)은 누수점검기술로 습기가 있거나 포화된 지역에서는 초목성장이 주변지역에 비하여 짙은 초록색을 띠고 왕성한 성장을 보이는 점을 지적하고 누수에 대하여 정밀한 조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un-Blanquet,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2. Choung, Y., W. T. Lee, K.Y. Joo, B. M. Min, J. O. Hyun, and K. S. Lee,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in Korean). 

  3.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logy 32: 476-498. 

  4.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 glieder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 kunde. In: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 136. Stuttgart. 

  5. Guh, J. O., C. S. Kim, D. J. Lee, I. B. Im, O. D. Kwon, Y. I. Kuk, S. U. Chon, and S. U. Han, 2002. Weed flora of Korea, Korea Agricultural Systems Association, Seoul, Korea (in Korean). 

  6. ICOLD(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s), 1995. Dam failures statistical analysis, Bulletin 99. 

  7. Kim, H. S., 2017. A Research for leakage detection of earth dam using hydrophyten indice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8. Kim, H. S., N. H. Kim, B. H. Ryu, and S. K. Park, 2018. Determination of hygrophyte index of each plant(HIP). The 2018 KSAE Annual Conference, 01-02 Nov. 2018, 276 (in Korean). 

  9. Kim, J. W., 2013. An illustrated guide to ecology of Korean Flora 1, Nature and state. Seoul, Korea (in Korean). 

  10. Kim, J. W., 2016. An illustrated guide to ecology of Korean Flora 2, Nature and state. Seoul. Korea (in Korean). 

  11. KISTEC(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1996. Safety diagnosis of dam (in Korean). 

  12. KISTEC(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2013. Study on safety assessment and maintenance.reinforcement of small dam and reservoir (in Korean). 

  13.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Accessed 15 Nov. 2018. 

  14. KRC(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1. Irrigation facilities precision safety diagnosis executive (in Korean). 

  15. KRC(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4. Sinheung reservoir of precision safety diagnosis repor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in Korean). 

  16. Lee, C. B., N. S. Jung, S. K. Park, and S. O. Jeon, 2015. A study on the typology of agricultural reservoir for effective safety inspection systems.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5): 89-99 (in Korean). doi:10.5389/KSAE. 2015.57.5.089. 

  17. Lee, Y. R., 2007. An Original colors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Kyohaksa. 

  18. MAFRA(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2. The design criteria for planning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Fill dam edition) (in Korean). 

  19. MAFRA and KRC(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2016 (in Korean). 

  20. MOLEG(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1995. Special act on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in Korean). 

  21. Park, G. J., and G. Spatz, 1986. Vegetation mapping and fodder value of plant communities at the natural gras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6(2): 91-96 (in Korean). 

  22. Park, S. G., J. H. Kim, and G. W. Seo, 2005.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technique to maintenance of embankments. Geophysical exploration 8(2): 177-183 (in Korean). 

  23. Park, S. K., H. S. Kim, N. H. Kim, J. B. Lee, and N. S. Jung, 2017.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slope vegetation for judging the leakage z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2): 87-86 (in Korean). doi:10.7851/Ksrp.2017.23.2.087. 

  24. Son, H. J., Y. S. Kim, N. Y. Kim, H. B. Lee, S. C. Kim, H. B. Lee, and W. G. Park, 2015. Plants species diversity and flora of wetlands in the forest of Gangwon Province. Korean J. Plant Res. 28(4): 419-440 (in Korean). doi:10.7732/kjpr.2015. 28.4.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