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20년 운영 과정 분석: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20-years' Operating Process of the Centers for Teaching & Learning in the Korean Universities : Application of Neo-institutional Isomorphism Theo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 2019년, pp.43 - 53  

김기범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  장덕호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내 대학 소속 교수학습개발센터(CTL)의 운영과정을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제도주의자들은 조직의 구조와 행동이 조직의 자율적, 합리적 선택이라기보다는 사회에서 인정되는 가치와 규범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광범위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그리고 동형화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CTL의 도입 및 확산, 제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 CTL의 도입 및 확산 과정에서는 정부 주관의 강제적 동형화와 대학 간 상호 모방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작동하였다. 또한 전문협의체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는 규범적 동형화의 직접적인 주체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즉, 국내 대학 CTL은 환경에 대한 외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고, 특히 대학은 정부의 평가 기준에 순응 및 동조하면서 조직 형태를 동형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급변하는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CTL이 주도적으로 대학교육 발전의 엔진이 될 수 있도록 고유한 가치와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explored the trajectory of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the CTLs in the Korean universities by using isomorphism theory of neo-institutionalism. Neo-institutional theorists believe tha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behavior reflects the norms and values recognized in the society 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급격한 확산과 성장을 이루기까지를 둘러싼 사회·문화·정치적 환경과 맥락이 조직의 성장과 확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렇게 대학 CTL과 같은 공적 조직이 확산되는 원인에 대해서 Strang과 Meyer[3]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실천 양식이 퍼져 나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CTL이라는 하나의 조직이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 어떠한 요인들을 통해 새로운 지역에 공식적 조직으로 이식되는지 밝혀 보고자 한다. 조직의 이식 과정은 새로운 제도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CTL가 한국 대학사회에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확산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신제도주의 동형화(isomorphism) 이론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 조직의 이식 과정은 새로운 제도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도화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환경적, 맥락적 요소를 살핌으로서 CTL의 제도화 과정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보다 발전적인 CTL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신제도주의에서의 한 분파인 동형화(isomorphism)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조직 속에 제도적 요소들이 어떻게 포섭되는지를 이해함과 동시에 제도를 둘러싼 사회적 행위주체들이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 제도의 향배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4].
  • 또한 정부와 대학을 매개하는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가 있다. 이러한 정부, 대학,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등 제도화 주체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어떤 동형화 촉진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해 국내 대학 CTL의 전국적 확산에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CTL가 한국 대학사회에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확산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신제도주의 동형화(isomorphism) 이론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장덕호[4]가 여러 선행연구들[7,20-23]에서 추출한 동형화 분석의 틀을 토대로 국내 대학 CTL의 동형화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대학 CTL의 확산과 동형화에 관여하는 주체는 국내 고등교육에 깊이 개입하고 있는 정부가 있고, 정부의 방향성에 동의한 대학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학 CTL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내 대학 CTL은 20년 동안 교수자 및 학습자의 역량촉진 뿐 아니라 대학의 교육 비전과 운영 기능, 나아가 대학교육의 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2]. 또한 대학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교수-학습의 개선에 기여한 점은 한국 대학 교육의 괄목할 만한 성장에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대학 CTL의 현재 문제는 무엇인가? 또한 대학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교수-학습의 개선에 기여한 점은 한국 대학 교육의 괄목할 만한 성장에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운영에 있어 교수자 커뮤니티 구축이 활발하지 않은 점, 세미나와 워크숍 위주의 일회성 프로그램이 대다수인 점, 다양한 대상들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점에 대해서는 향후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1].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특징은 제도의 문화적·인지적·상징적 측면에 초점을 둔 것이기 때문에, 선택보다 당연한 것으로 인지되는 대상에 관심을 갖는다.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에서의 제도는 매우 넓은 폭을 지니며, 공식적·비공식적 규칙과 더불어 상징과 인지(cognitions) 등의 물리적인 실체가 아닌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 Y. Kim, H. R. Min, M. W. Nam, J. W. Woo & J. A. Kim. (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assessment of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6(3), 227-257. 

  2. S. H. Song, J. H. Lee & T. J. Park. (2016).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Contribution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4), 677-705. 

  3. D. Strang & J. Meyer. (1993).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diffusion, Theory and society, 22, 487-511. 

  4. D. H. Jang.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 Application of the Isomorphism Theories of Neo-institutionalis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7(3), 121-144. 

  5. Y. S. Ha. (2003). Institutional Analysis. Dasanbooks. 

  6. S. S. Yoon. (2005).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7. W. Powell & P. DiMaggio. (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2), 147-160. 

  8. J. W. Lee. (2013). A Study on the Isomorphism of cyber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9. B. M. Kim. (2005). Analyzing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rocess into the Point of view of New Institutionalism.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6(2), 43-63. 

  10. H. S. Bu. (2012). Reinterpreting the curricular standardization phenomenon in Korea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9(4), 35-60. 

  11. H. H. Kim, C. K. Shin, S. E. Oh & H. R. Choi. (2011). Isomorphism of Vision and Development Goals in Development Plan of Korean Universiti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4), 357-393. 

  12. E. J. Kim. (2001). Status and challenges of suppor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 Based on the U.S. and Korea. Yonsei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4(1), 225-242. 

  13. S. H. Song & K. B. Kwon. (2006). The Role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From Cases of USA.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2(3), 167-185. 

  14. H. H. Jeong. (2012). A study of the statu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in cyber university'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1), 193-229. 

  15. J. Y. Kim. (2018). A Case Study on the Extra-curriculum of University : Focused on the Program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1), 93-120. 

  16. E. S. Park, E. S. Rhee & J. A. Yoo.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Effect on the Long Run and Short Run CTL Programs in the Universities and the Manag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CTL Program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8(3), 153-174. 

  17. M. R. Eom, W. J. Choi & Y. H. Song. (2018). Exploring the Educational Needs of Learning Supporting Program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Important Competenci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175-181. 

  18. C. W. Pyo & W. Y. Eom. (2014). A needs analysi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earning Support programs of Junior College CTL,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8(2), 109-129. 

  19. S. K. Jeon. (2012).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University Students' Motivating Factors and Intentions in their Use of the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9(3), 59-83. 

  20. W. Powell & P. DiMaggio. (1991).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In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F. Dobbin, B. Simmons & G. Garrett. (2007). The global diffusion of public policies: Social construction, coercion, competition, or learning? The annual review of sociology, 33, 449-472. 

  22. C. S. Choe. (2008). Legitimacy as A Goal of Administrative Reform: A Case Analysis from the Nee-institutional Isomorphic Perspective.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9(3), 1-23. 

  23. C. K. Lee. (2008). Analyzing Contending Mechanisms of Global Isomorphism in Public Sector Reform: Downsizing Information Law, and Privatization.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6(4), 1-26. 

  24.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05). General Report on the 2nd Annual University Evaluation for the 2005 General Evaluation. Seoul. 

  25. Ministry of Education. (2010). A Basic Plan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Competence in 2010. Seoul. 

  26. J. Han & S. H. Kim. (2017). How Rankings Change Universities and Academic Fiel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51(1), 1-37. 

  27. Korean Association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2018). KATCTL Rules. https://www.kactl.org 

  28. M. Choi & H. Roh. (2015). A study about a convergence development plan of MOOCs based e-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9-21. 

  29. S. Y, Park & K. Lim. (2012). Suggestions for Building 'Smart Campus' Based on Cas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s with Smart-Pad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3),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