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 역학조사
Injuries in Female Elite Korean Field Hockey Athletes: an Epidemiological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4, 2019년, pp.163 - 171  

김찬우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기준 (강릉영동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orts inju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Korean female national field hockey athletes. METHODS: Eighteen female national field hockey athletes (two goal keepers, five forwards, six midfielders, and five defenders) wh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전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필드하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른 스포츠 손상 역학조사를 시행하지 않았기에 추가적이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지션에 따른 스포츠 손상 발생률과 스포츠 손상 위치 그리고 스포츠 손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각종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위하여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훈련하였던, 우리나라 국가대표 여자필드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지션에 따른 스포츠 손상 발생률과 스포츠 손상 위치 그리고 스포츠 손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선수 관리를 위해서는 스포츠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른 스포츠 손상 발생률과 스포츠 손상 위치 그리고 스포츠 손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의 특성을 이해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스포츠 손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 손상은 무엇인가? 스포츠 손상이란 선수가 스포츠 활동 중 발생된 손상으로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으로 하루 이상 스포츠 활동에 참가할 수 없으며, 의료진의 관찰이 필요한 경우를 말한다[5]. 이러한 스포츠 손상은 엘리트 선수들에게 성공적은 선수 생활에 악영향을 미치며, 경기력 저하와[6] 최악의 경우, 은퇴까지 이어진다[7].
장시간 필드하키 고된 훈련의 장, 단점은 무엇인가? 그에 따라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경기성적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으며, 선수들은 고도의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장시간의 고된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1]. 이러한 훈련은 선수들의 운동 수행능력을 높이지만[4], 스포츠 손상 발생률 역시 크게 높인다[1].
필드하키는 언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는가? 국제하키 연맹(International Hockey Federation: FIH)에 따르면 현재 5개 대륙에 총 137개국이 소속되어있다[2]. 필드하키는 1908년 런던올림픽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80년 모스크바올림픽대회에서 여자 필드하키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2]. 우리나라 여자 대학부 및 일반부는 각각 6개 팀으로 약 200여 명의 선수만이 등록되어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SW, Lee MH, Kim JH, et al. Analysis of Korea Woman Filed Hockey Players' Sports Injuries during the gam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3;15(3):414-8. 

  2. FIH. http://www.fih.ch/ Accessed Aug 16, 2019. 

  3. http://www.koreahockey.co.kr/ Accessed Aug 16, 2019. 

  4. McGuine TA. Sports injuries in high school athletes: a review of injury risk and injury prevention research. Clin J Sports Med. 2006;16:488-99. 

  5. Dick R, Agel J, Marshal SW.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Injury Surveillance System Commentaries: Introduction and Methods. J Athl Train. 2007;42(2):173-82. 

  6. Palmer GD, Fuller C, Jaques R, et al. The Injury/Illness Performance Project (IIPP): A Novel Epidemiological Approach for Recording the Consequences of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3;27:1-9. 

  7. Steffen K, Engebretsen L. More data needed on injury risk among young elite athletes. Br J Sports Med. 2010;44(7):485-59. 

  8. Soligard T, Steffen K, Palmer D, et al. Sports injury and illness incidence in the Rio de Janeiro 2016 Olympic Summer Games: A prospective study of 11274 athletes from 207 countries. Br J Sports Med. 2017;51(17):1265-71. 

  9. Engebretsen L, Soligard T, Steffen K, et al. Sports injuries and illnesses during the London Summer Olympic Games 2012. Br J Sports Med. 2013;47(7):407-14. 

  10. 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ttp://www.olympic.org/Documents/olympic_charter_en.pdf Accessed Aug 16, 2019. 

  11. Van Mechelen W, Hlobil H, Kemper HC. Incidence, severity, aetiology and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A review of concepts, Sports Med. 1992;14(2):82-99. 

  12. Dick R, Hootman JM, Agel J, et al. Descriptive epidemiology of collegiate women's field hockey injuries: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injury surveillance system, 1988-1989 through 2002-2003.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7;42(2):211-20. 

  13. Murtaugh K. Injury patterns among female field hockey playe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1;33(2):201-7. 

  14. Junge A, Langevoort, G, Pipe A, et al. Injuries in team sport tournaments during the 2004 Olympic Gam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6;34(4):565-75. 

  15. Kim YK, Hur S. Analysis of Moving Distance During Games, Time and Heart Rate for Hockey Games Using GPS by Positions in Korea National Female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14;25(2):354-63. 

  16. Ahn YD, Won YD, Kim JY. A Comparative Study of Hockey Player' Basic Technique According to Type of School. Korea sport research. 2005;16(3):439-46. 

  17. Junge A, Engebretsen L, Mountjoy ML, et al. Sports injuries during the Summer Olympic Games 2008. Am J Sports Med. 2009;37(11):2165-72. 

  18. Kim EK, Kang HY, Kim TG, Lee JH et al. Sports Injury Surveillance during Summer Asian Games 2010 in Guangzhou.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1;29:49-57. 

  19. John W. Powell, Kim D, et al. Injury Patterns in Selected High School Sports: A Review of the 19951997 Season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1999;34(3):277-84. 

  20. FOX N. Risks in field hockey. In: Sports Fitness and Sports Injuries. Boston: Faber & Faber. 1981. 

  21. MOORE S. Field hockey. In: Catastrophic Injuries in Sports: Avoidance Strategies. (2nd). Indianapolis. Benchmark Press Inc. 1987. 

  22. Murtaugh K. Injury patterns among female field hockey players. Med Sci Sports Exerc. 2001;33(2):201-7. 

  23. Yard EE, Comstock RD. Injuries sustained by pediatric ice hockey, lacrosse and field hockey athletes presenting to United States emergency departments, 1990-2003.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6;41(4):441-9. 

  24. Sherker S, Cassell E. Report No. 143: A review of field hockey injuries and countermeasures for prevention. Monash University Accident Research Centre, Clayton, Victoria, Australia. 1998. 

  25. Min SK, Lim ST, Song JH et al. The Analysis of Movement in Korean National Women's Field Hockey Players Regarding Positions Using Real-Time GPS Monitoring (2014 Incheon Asian Games prepar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15;26(3):634-42. 

  26. Park GH, Kim CS. Injuries Type According to Position in Male High School Hockey Players. Korea Coaching Development Center. 2009;6:1-10. 

  27. Reilly T, Seaton A. Physiological strain unique to field hockey. J. Sportsmed. Phys. Fitness 1990;30:142-6. 

  28. Lee KT, Kim JS, Choi BO. Analysis of Seasonal Injuries i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 J Korean Orthop. Sports Med. 2006;5(2):135-40. 

  29. Woods C, Hawkins RD, Maltby S, et al. The Football Association Medical Research Programme: an audit of injuries in professional football-analysis of hamstring injuries. Br J Sports Med. 2004;38:36-41. 

  30. Arnason A, Gudmundsson A, Dahl HA et al. Soccer injuries in Iceland. Scand J Med Sci Sports. 1996;6:4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