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 Focused o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2 no.3, 2019년, pp.261 - 273  

전제응 (제주대학교 초등교육과) ,  고상훈 (제주하원초등학교) ,  고아라 (제주한라초등학교) ,  신애경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 글쓰기 과제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으로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가 줄어들고, 과제가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5~6학년군 과학 글쓰기 과제가 글과 그림으로 제시되어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과제를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학년군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 하위 요소에 치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5~6학년군에서 가장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반영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using the presented form and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이 과학 글쓰기를 할 때 국어과에서 학습한 글의 구성 요소를 접목시켜 글을 쓰도록 교사가 유도한다면 과학 글쓰기를 통해 국어과 글쓰기에서 학습한 내용을 통합시켜 교사가 지도하고 학생들이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기 위해 국어과 글쓰기의 구성 요소에 대해 우선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과학 글쓰기와 국어 글쓰기의 상생의 ‘접점’을 찾기 위한 첫 걸음으로 2007, 2009, 2015 개정 초등 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도서에 제시된 형태 분석 및 국어과에서 논의되는 글쓰기 구성 요소를 이용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및 실험관찰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과학 글쓰기는 2007 개정 과학 교과용 도서에 처음 등장 하였고, 현재 적용 중인 2015 개정 과학 교과용 도서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글쓰기’를 과학과 국어의 교과 통합적인 관점으로 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 과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각 교육과정별 과학 글쓰기 과제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및 실험관찰에 나타난 빈도, 과학 글쓰기 과제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 과제가 제시된 위치와 크기 및 특징 등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도서에 제시된 형태 분석 및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을 통하여 통합교과 쓰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및 실험관찰 48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과학 글쓰기 과제가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과제 분석틀을 이용하여 각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 1차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모두 모여 교과서와 실험관찰을 펼쳐 글쓰기 과제 하나 하나를 살피면서 1차 분석 결과에 대해 동의하는 경우 다른 과제로 넘어가고, 동의하지 않은 경우는 서로 논의를 거쳐 결과를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 결과에 대한 분석자간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과란? 과학교과는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과학 글쓰기는 과학 학습에 있어서 지식과 개념을 배우는 것을 넘어, 그 지식을 생활환경과 사회문제에 연관시켜 생각하는데 매우 타당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과학적 소양을 촉진하는데 적합하다.
과학 글쓰기가 주는 긍정적이 효과는? 그러나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등을 고려하였을때,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는 과학적 대상에 대한 글쓰기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교육부, 2015b). 과학 글쓰기는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 증가, 과학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과학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며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김순식과 이용섭, 2017; 김은혜와 박재근, 2017; 이은아와 김용권, 2014; 이호진, 2005; 장경화 외, 2012; 조혜진 외, 2011; Gunel et. al.
과학 학습에서 글쓰기가 조명 받게 된 이유는? 과학교과는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과학 글쓰기는 과학 학습에 있어서 지식과 개념을 배우는 것을 넘어, 그 지식을 생활환경과 사회문제에 연관시켜 생각하는데 매우 타당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과학적 소양을 촉진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까닭으로 오늘날 과학 학습에서 글쓰기가 조명 받고 있으며, 2007 개정 과학과 교과서에서 과학 기술의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하며 과학 글쓰기가 신설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고상훈(2019). '과학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교과 융합적 쓰기 방안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상훈, 신애경, 고아라, 전제응(2019).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과 비판적 고찰-초등학교 5.6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0(4), 25-39. 

  3.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과학 4-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과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11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6.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7. 교육부(2015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미래엔. 

  8. 교육부(2018). 초등학교 실험관찰 3-1. 서울: (주)비상교육. 

  9. 교육부(2019a). 초등학교 실험관찰 6-2. 서울: (주)비상교육. 

  10. 교육부(2019b). 초등학교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비상교육. 

  11. 김성수(역)(2006). 과학 글쓰기 핸드북: 이공계를 위한 글쓰기 10계명. 서울: 사이언스북스. 

  12.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13. 김은혜, 박재근(2017).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6(4). 346-355. 

  14. 김정자(2004). 쓰기 과제 구성에 대한 연구. 한말연구, 15, 93-120. 

  15. 김창원(2014).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과제. 청람어문교육, 51, 7-37. 

  16. 박길순, 강유진, 김지나(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344-355. 

  17. 서수현(2008). 쓰기 과제 구성 요소의 설정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3, 449-472. 

  18. 서정수, 신동수, 권성규, 노승백, 이병수, 임문혁, 주홍택(2008). 과학기술문 작성법. 서울: 두양사. 

  19. 송윤미(2012). 과학 글쓰기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신선경(2008). 과학 탐구와 과학 글쓰기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24, 75-99. 

  21. 이병승(2008). 쓰기 평가 과제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7, 275-304. 

  22. 이상헌(2007).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 교과 구성을 위한 모색: 카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2007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7-48. 

  23. 이은아, 김용권(2014).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54-63. 

  24. 이호진(2005).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선행개념 및 오개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임옥기, 김효남(2017).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3(1), 37-52. 

  26. 임재춘(2006).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서울: 북코리아. 

  27. 장경화, 남정희, 최애란(2012).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099-1108. 

  28. 전제응((2017). 범교과 쓰기에 대한 관점과 '통합교과 쓰기' 탐구: 국어교과와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 451-467. 

  29.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역)(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30. 조윤옥(2006). 쓰기 수행 과제 분석 연구: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혜진, 이형철, 김은진(2011).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66-176. 

  32.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Gunel, M., Hand, B., & McDermott, M. A. (2009). Writing for different audiences: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iology. Learning and Instruction, 19(4), 354-367. 

  34.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35.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