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공간의 정치 양극화는 심화될 것인가?: 선거 기사 댓글에 대한 경험적 분석
Is Political Polarization Reinforced in the Online World?: Empirical Findings of Comments about News Articles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8 no.4, 2021년, pp.19 - 35  

엄기홍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대식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공간의 속성을 규명하고, 이러한 속성이 민주주의 운영에 미칠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4월 7일 치러진 서울시장 및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관한 언론 기사와 댓글을 수집하여 온라인 공간의 속성과 정치 양극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보궐선거에 나타난 언론 보도의 다양성을 측정하였으며,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기사 댓글에 비친 온라인 여론을 측정하였다. 이후 언론이 가장 주목한 보도가 온라인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단절적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온라인 여론의 견고성을 검증하는 시도로써 정치 양극화의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언론은 보궐선거 지역과 후보에 따라 선거 관심도와 주제가 달랐다. 둘째, 언론 보도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기사 댓글에 나타난 온라인 여론은 높은 부정 여론, 낮은 긍정 여론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거일에 즈음할수록 양극화의 수준은 더욱 분명했다. 셋째, 단절적 시계열 분석 결과를 보면, 선거 관심도에 따라 정치 양극화의 변화 가능성이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공간을 통한 정치참여가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에서 재현되는 정치 양극화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the online world and to analyze their influence on democracy. The research focuses on the mayoral by-elections that were held in Seoul and Busan, South Korea, on April 4, 2021. The stud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pac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5)

  1. Kang, W. (2007). "How Does the Internet Transform Party Politics?" Informatization Policy, 14(2), 101-114. 

  2. Kim, K. & Kim, K. (2006). "On Disputes over Political Participation Contributed by Electronic Democracy."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2), 43-75. 

  3. Na, E., Lee, G. & Kim, H. (2009). "Social Implication of Reading/Writing Online Comments(Replies) in Representative Democracy: Internet News Comments(Replies), Political Trust, Media Trust, and Political Knowledg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109-132. 

  4. Norris, P. (2000). A Virtue Circle: Political Communic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Seo, J. & Kim, Y. (2014).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Parties in an Era of Social Media Income Inequality and the Occupy Movement in US." Korean Party Studies Review, 13(2), 101-129. 

  6. Yang, S. (2008). "Case Study on Electronic Democracy in South Korea to Implement Democratic Electronic-Gover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1(3), 31-54. 

  7. Eom, K. (2007). "Partisan Polarization, Electorate Polariz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Korea and World Politics, 23(1), 121-152. 

  8. Eom, K. (2018). Python for Political Science.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9. Eom, K. (2020). "Whose Opinions are Represented in the Online World?" Journal of Future Politics, 10(1), 99-122. 

  10. Eom, K. & Kim, D. (2021). Automated Classification Model for Online Public Opinions in a Political Arena: KoBERT based Sentiment Analysis. Paper presented at Korean Association of Party Studies, July 8. 

  11. Yoon, S. (2002). "A Critical Review of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Studies." Infomatization Policy, 15(3), 3-20. 

  12. Yoon, S. & Chang, W. (2007).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S. Korea: Their Experience of the Netizen-Initiated Bottom up Model." Informatization Policy, 14(4), 82-101. 

  13. Cho, S. & Chung, Y. (2006). "Cybercommunity, Information Acc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Political Effects of Internet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Korea and World Politics, 22(2), 29-62. 

  14. Jho, W. (2012).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Local Governance and Communicative Administration through SNS." Monthly Public Policy, 75, February 2012, 24-26. 

  15. Jhee, B., Shin, D. & Eom, K. (2013). "Exposure to Conservative Media and Issue Priority." Journal of Contemporary Politics, 6(2), 127-155. 

  16. Hahn, K., Park. J., Lee, D. & Lee, H. (2013). "A Test of Representattiveness and Polarization in Twitter Followership: A Cross-national Assessment of Legislators Twitter Followers in the U.S. and South Korea."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ciety, 30(1), 295-336. 

  17. Blei, D. (2012a).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 of the ACM, 55(4),77-84. 

  18. Blei, D. (2012b). "Topic Modeling and Digital Humanities."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 2(1), 8-11. 

  19. Fiorina, M., Abrams, S. & Pope, J. (2005). Culture War?: The Myth of a Polarized America. New York: Longman. 

  20. Grimmer, J. & Stewart, B. (2013). "Text as Data: The Promise and Pitfalls of Automatic Content Analysis Methods for Political Texts." Political Analysis, 21, 267-297. 

  21. Kim, D. (2020). "How to Utilize Online Texts for Understanding Political Landscape - Method and Application of Online Public Opinion from Twitter".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2. Linden, A. (2015). "Conducting interrupted time-series analysis forsingle- and multiple-group comparisons." Stata Journal, 15(2), 480-500. 

  23. Newman, D., Han Lau, J., Grieser, C. & Baldwin, T. (2010). "Automatic Evaluation of Topic Coherence." Paper presented at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CL, 100-108, Los Angeles, California. 

  24. Park, Y., Jang, S., Lee, H. & Yang, G. (2018). "Divide in Ferguson: Social Media, Social Context, and Division." Social Media and Society. 4(3), 1-13. 

  25. Yun, J. & Eom. K. (2015).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Political Attitude: An Experiment Using Facebook." 21st century Political Science Review, 25(3), 161-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