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및 팀효능감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nd Team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grated Simulation Training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1, 2019년, pp.1 - 8  

지은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간호학과) ,  박수진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손미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nd team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simulation training co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24 nursing students from the two different schools. Data were collec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의사소통 및 팀효능감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팀효능감 정도 및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팀효능감은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의사소통은 중간 수준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및 팀효능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간호대학 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간호대 학생의 팀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 레이션 통합 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성원간 협력 시 중요한 요인인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및 팀효능감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통해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및 팀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방법 중 하나로 확인되었으나, 이들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및 팀효능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이를 증진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효능감이란? 팀효능감은 목표로 정해진 팀의 성과 달성을 위해 필요한 행위들을 조직화 및 실행하기 위한 연합된 능력에 있어서의 팀의 공유된 믿음이다9). 간호사는 동료간호사 및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해야 하므로 팀효능감은 간호사에게 중요한 요소이며10),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에게도 필요한 요소이다.
셀프리더십은 간호사의 무엇을 향상시키는 요인인가? 셀프리더십은 팀 구성원들에게 자기방향성과 자기동기유발을 갖도록 하여 팀에 협력하도록 한다2). 셀프리더십은 간호사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유도하여 간호업무성과,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3,4), 시뮬레이션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중 셀프리더십이 높은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문제해결능력, 수행자신감, 비판적 사고능력이 향상됨이 보고되었다5). 따라서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개개인이 조직을 대표할 수 있는 리더로서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조직 내 협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제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간호대학에서 시행하는 방법은? 그러나 간호사의 조직 내 협력과 의사소통 능력은 임상실습과 교내실습으로 교육하기 어렵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도 매우 제한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간호대학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간호대학생의 팀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통합 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성원간 협력 시 중요한 요인인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및 팀효능감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ang SY, Kwon HK, Cho MR.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2):881-9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81 

  2. Neck CP, Manz C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6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2012. p. 192. 

  3. Im SI, Park J, Kim HS.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74-82. 

  4. Song HJ, Lee SM.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20-9.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 

  5. Lee KE, Choi EH. Differences of pre-post simulation training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degree of self-leadershi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23(1):66-75. https://doi.org/10.5977/jkasne.2017.23.1.66 

  6. Leonard MW, Frankel AS. Rol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delivering safe, high­quality care.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A Journal of Translational and Personalized Medicine. 2011;78(6):820-6. https://doi.org/10.1002/msj.20295 

  7. Bak YG, Kim TK.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6):437-47. 

  8. Bak YG.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y,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1):181-92. 

  9.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orth Publishers; 1997. p. 604. 

  10. Hong CM. The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team 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3):397-405. 

  11. Kim HR, Choi EY, Kang HY. Simulation module development and team competen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92-400. 

  12. Ahn JH, Lim JY.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mwork in cooperative learning of capstone desig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8;11(4):109-14. https://doi.org/10.18108/jeer.2008.11.4.109 

  13. Kang HY, Choi EY, Kim HR. Nursing students’ team capability and performance in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 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013;1(1):29-41. 

  14. Suh EY.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tilizing human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 18(2):206-19.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06 

  15. Bland AJ, Topping A, Wood B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11;31(7):664-70. 

  16. Kim BY, Lee ES. Effects of a simulation practicu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diabetic car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8;24(2):91-100. 

  17.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p. 115. 

  18. Kim HS.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2. pp. 1-83. 

  19. Larson LM, Suzuki LA, Gillespie KN, Potenza MT, Bechtel MA, Toulouse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92;39(1):105-20. https://doi.org/10.1037//0022-0167.39.1.105 

  20. Park HJ. Counseling self-efficacy and empathic ability of the psychiatric nurs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2. pp. 1-71. 

  21. Kwon EM.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pp. 1-82. 

  22. Kim JH, Park MK.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482-90.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4823 

  23. Yang NY, Moon SY.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216-25.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216 

  24. Neck CP, Stewart GL, Manz CC.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995;31(3):278-302. https://doi.org/10.1177/0021886395313004 

  25. Jung GH, Shin SH. Affecting factors of nurses’ communicatio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1;17(2):164-70. 

  26. Hwang HJ, Lim MR. The mediating effects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have on their profession and psychological-wellbe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10):215-27. https://doi.org/10.14257/ajmahs.2017.10.17 

  27. Choi Y. A theory of self-leadership. Hongik Faculty Journal. 2002;12:917-30. 

  28. Kim MJ, Kim KJ. The influence of nurses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2):333-44. https://doi.org/10.14400/jdc.2016.14.2.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