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Productive Struggle(생산적인 애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ve Struggle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2 no.3, 2019년, pp.329 - 350  

김소민 (인하대학교)

초록

Productive struggle(생산적인 애씀)이란 쉽게 풀리지는 않지만 호기심과 과제 집착을 가져올 수 있는 도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해결 전략을 궁리하며 문제의 기저를 이루는 수학적 개념의 이해와 문제 해결을 향해가는 학생의 노력 과정이다. 즉, 수학적 개념을 깊게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끈질기게 궁리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ductive struggle이 학생들의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학 학습의 핵심요소로 떠오르면서,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NCTM(2014)의 행동 원리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학생의 productive struggle에 집중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들이 비정형적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productive struggle에 초점을 맞추었다.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를 분석틀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각 단계별로 예비 수학 교사가 어떤 productive struggle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새로운 유형의 문제를 접했을 때, 예비 수학 교사들의 제한된 선행지식이 문제의 이해부터 계획수립 및 실행 단계까지 productive struggle을 야기하며 문제해결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예비 수학 교사들이 productive struggle을 겪으며 문제를 해결해봄으로써 고군분투 끝에 얻게 되는 학습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경험은 미래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위해 productive struggle을 지원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productive struggle를 통해 수학 학습에 몰두해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예비 수학 교사들이 미래의 수학교육전문가로서의 직업적 전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ductive struggle is a student's persevering effort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solve challenging problems that are not easily solved, but the problem can lead to curiosity. Productive struggle is a key component of students' learning mathematics with a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대학과 B대학의 예비 수학 교사들의 활동지 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한 후,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인 문제에 대한 이해, 계획의 작성, 계획의 실행, 반성, 각 단계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이 보인 productive struggle를 비슷한 유형끼리 분류하였다. 그 다음 각 유형의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자료를 선별하여 예비 수학 교사의 productive struggle의 예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분에서는 Warshauer(2011)의 productive struggle의 정의를 바탕으로 productive struggle과 struggle을 구별하여 사용하였는데, struggle은 문제 해결에서 겪는 일반적인 당혹감 또는 어려움을 의미하고, productive struggle은 이러한 struggle을 통해 수학적 이해나 문제 해결에서 생산적인 방향으로 진전을 보일 때의 struggle을 의미한다.
  •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의 개선과 교사전문성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김응환(2017)과 김상미(2018)의 논문들처럼 productive struggle을 언급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해당 주제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productive struggle의 개념이나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oductive struggle이 무엇인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소개하고,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의 productive struggle의 과정을 가까이서 관찰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단계에서 productive struggle에 대한 특징들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의 개선과 교사전문성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게다가 이 문제는 두 양과 관련된 구체적인 수치 또는 양의 크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예비 수학 교사들은 두 양의 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머릿속으로 구성해야 한다(Matthews & Ellis, 2018). 따라서 이 문제는 예비 수학 교사들이 기존에 다뤄왔던 공변(covariation)의 양상과 그래프에 대한 통념을 깰 것을 요구하며, 동시에 변하는 두양의 관계에 대한 본질을 탐구하고 이해하도록 요구하는 문제이다. 또한, 오산 둘레 돌아가기 문제는 Smith & Stein(1998)이 제시한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표 Ⅲ-1>) 중 높은 인지적 요구 수준인 doing mathematics(수학 행하기) 과제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예비 수학 교사들의 productive struggle을 야기하기에 적합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비정형적인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이 겪는 productive struggle을 자세히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 대상은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수도권 소재 A대학 수학교육과 3, 4학년 학생 20명과 중부지방 소재 B대학의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 22명이다.
  • 본 연구에서는 NCTM(2014)에서 제시한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행동 원리 중 하나인 productive struggle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국내 연구가 미비한 분야인 예비 수학 교사들의 productive struggle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수학 교사들이 생소하고 비정형적인 수학 문제를 접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궁리하고 노력하는 productive struggle 과정을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에 입각하여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예비 수학 교사들이 productive struggle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것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약지반 상에 구조물을 건설할 때, 공학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는 지반조사 두 가지는? 연약지반 상에 구조물을 건설할 때, 공학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는 지반조사는 시추과정에서 채취된 불교란 시료로 각종 실내시험을 실시해서 필요한 지반특성을 얻는 방법과 원위치에서 직접적으로 변형 및 응력을 가해서 지반특성을 파악하는 원위치 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 항만 공사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지역에 대한 지반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국내 항만 공사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지역에 대한 지반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남해안에 위치한 부산 및 광양지역과 같이 점토질 성분이 우세한 고소성 점토지반과 서해안의 인천 및 군산 지역과 같이 실트질 성분이 많은 저소성 지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 항만 공사인 안벽 케이슨 구조물 설치를 위한 하부기초 지반 처리 및 컨테이너 야적장으로 이용되는 배후부지의 지반 개량을 수행하는 과정은 전체 공사비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Productive struggle의 의미는? Productive struggle(생산적인 애씀)이란 쉽게 풀리지는 않지만 호기심과 과제 집착을 가져올 수 있는 도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해결 전략을 궁리하며 문제의 기저를 이루는 수학적 개념의 이해와 문제 해결을 향해가는 학생의 노력 과정이다. 즉, 수학적 개념을 깊게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끈질기게 궁리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ductive struggle이 학생들의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학 학습의 핵심요소로 떠오르면서,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NCTM(2014)의 행동 원리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2017).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2. 김상미 (2018).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C-초등수학교육, 21(3), 309-327. 

  3. 김선희, 김수민 (2018).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이용한 최근 수학교육 연구 동향 탐색 - 2017년 국제수학교육 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학교수학, 20(4), 591-608. 

  4. 김응환 (2017).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 영재교육의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369-385. 

  5. Dewey, J. (1910, 1933). How we think. Boston: Heath. 

  6.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Evanston, IL: Row, Peterson. 

  7. Granberg, C. (2016). Discovering and addressing errors during mathematics problem-solving-A productive struggle?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42, 33-48. 

  8. Hatano, G. (1988). Social and motivational bases for mathematical understanding.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41, 55-70. 

  9. Hiebert, J., & Grouws, D. A. (2007). The effects of classroom mathematics teaching on students' learning. In J. Frank & K. Lester (Eds.),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371-404). Charlotte: Information Age. 

  10. Hiebert, J., & Wearne, D. (2003). Developing understanding through problem solving. In H. L. Schoen & R. I. Charles (Eds.), Teaching mathematics through problem solving: Grades (pp. 6-12). Reston, VA: NCTM. 

  11. Jackson, R. R., & Lambert, C. (2010). How to Support Struggling Students. Mastering the Principles of Great Teaching series. VA: ASCD.. 

  12. Kahan, J. A., & Schoen, H. L. (2009). Visions of problems and problems of vision: Embracing the messiness of mathematics in the world.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2), p. 168-178. 

  13. Kapur, M. (2014). Productive failure in learning math. Cognitive Science, 38(5), 1008-1022. 

  14. Kapur, M., & Bielaczyc, K. (2012). Designing for productive failur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1), 45-83. 

  15. Kim, S. (2016).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Class on Their Technology-related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9(4), 459-478. 

  16. Livy, S., Muir, T., & Sullivan, P. (2018). Challenging tasks lead to productive struggl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23(1), 19-24. 

  17. Loibl, K., & Rummel, N. (2014). Knowing what you don't know makes failure produ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34, 74-85. 

  18. Mason, J., & Johnston-Wilder, S. (2004). 수학 과제의 설계와 활용 (권오남 외 11명 역). 서울: 경문사 

  19. Matthews, P. G., & Ellis, A. B. (2018). Natural alternatives to natural number: The case of ratio. Journal of Numerical Cognition, 4(1), 19-58.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14). Principles to action: Ensuring mathematical success for all. Reston, VA: NCTM. 

  21.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22. Paoletti, T. (2015). Students' reasoning when constructing quantitatively rich situ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18th Meeting of the MAA Special Interest Group on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Pittsburgh, PA. 

  23. Piaget, J. (1960).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Garden City, NY: Littlefield, Adams Publishing. 

  24.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2nd ed.). Garden City, NY: Doubleday Anchor Books. 

  25. Reinhart, S. C. (2000). Never Say Anything a Kid Can Say!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5(8), 478-83. 

  26. Renkl, A., & Atkinson, R. K. (2007).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Contemporary issues and trends.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EducationalPsychology Review, 19(3), 235-238. 

  27. Richardson, V. (2003). Preservice teachers' beliefs. In J. Raths & A. C. McAninch (Eds.), Teacher beliefs and classroom performance: The impact of teacher education (pp. 1-22).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28.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 Academic press. 

  29. Smith, M. S., & Stein, M. K. (1998). Selecting and creating mathematical tasks: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 344-350. 

  30. Stein, M. K., & Lane, S. (1996). Instructional task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 capacity to think and reas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a reform mathematics projec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2(1), 50-80. 

  31.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Silver, E. A. (2009).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2. Sherman, H. J., Richardson, L. I., & Yard, G. J. (2009). Teaching Learners who Struggle with Mathematics: Systematic Intervention and Remediation (2nd ed.). New Jersey: Allyn & Bacon. 

  33. Stevens, I. E., Paoletti, T., Moore, K. C., Liang, B., & Hardison, H. (2017). Principles for designing tasks that promote covariational reasoning. In A. Weinberg, C. Rasmusssen, J. Rabin, M. Wawro, & S. Brown (Eds.), Proceedings of the 20th Annual Conference on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pp. 928-936). San Diego, CA. 

  34. Thompson, P. W., Hatfield, N. J., Yoon, H., Joshua, S., & Byerley, C. (2017). Covariational reasoning among US and South Korea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48, 95-111. 

  35. Townsend, C., Slavit, D., & McDuffie, A. R. (2018). Supporting all learners in productive struggl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23(4), 216-224. 

  36. Warshauer, H. K. (2015). Productive struggle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4), 375-400. 

  37. Warshauer, H. K. (2011). The role of productive struggle in teaching and learn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X. 

  38. Zaslavsky, O. (2005). Seizing the opportunity to create uncertainty in learning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0(3), 297-321. 

  39. Zeybek, Z. (2016). Productive struggle in a geometry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2(2), 396-4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