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 NCS 패션분야 중심으로 -
Educaction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capstone design for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in the fashion field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1 no.4, 2019년, pp.195 - 211  

김신우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Capstone Design Education Program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nd recommended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armed with practical competences and real cooperative capabilities. In this era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the fashion world needs human resources with coopera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패션분야에서 실무 역량과 실질적인 협업능력을 가진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 또한 심층 면접 결과를 토대로 캡스톤 디자인이 패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과 융합패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함으 로써 그 효과성을 규명하였다.
  • 이 연구는 NCS 학습모듈의 보완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패션과 기술이 융합된 교육프로그램을 배우게 한 후 그 효과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실무 능력 배양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의 변화를 측 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례분석과 심층면접, 실험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여 융합 패션 디자인 교수학습법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NCS패션디자인 학습모듈 기반으로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융합디자인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NCS 패션디자인분야 학습모 듈 체계를 고찰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융 합패션디자인 교육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 각 학교에서 비중을 두고 구성하는 상위개념의 교육목표를 비교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는 패션 교육과정 중에 패션디자인, 패션마케팅, 패션머천 다이징 등 패션산업관련 과목들을 나열한 후 기존 패션제품 라이프 사이클 관리계획 프로세스 맞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분류해 각 학교마다 중점적으 로 다루는 핵심교육 목표에 대해 분석했다.
  • 융합인재 육성이라 는 노력의 궁극적 목적은 기존 학습방법을 통해 달성되기 어려우며 새로운 학습방법의 검증을 통 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패 션분야 융합프로그램 학습모형을 개발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글로벌 융합 확산추세에 따라 융합형 신제품 개발 및 시장개척 등을 위한 융합형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나 이종 기술간 융합 코디네이팅, 융합사업화 아이템의 발 굴, 기획 등 산업현장의 융합화를 선도해 나갈 인 력 공급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 그 이유는 글로벌 융합 확산추세에 따라 융합형 신제품 개발 및 시장개척 등을 위한 융합형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나 이종 기술간 융합 코디네이팅, 융합사업화 아이템의 발 굴, 기획 등 산업현장의 융합화를 선도해 나갈 인 력 공급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모형을 통하여 인문학 적 상상력과 패션디자인 전공, 그리고 IT와 전자기 술의 융합으로 산업현장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핵 심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
  • 셋째. 패션분야에서 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실무능력과 협업능력을 신장시켜주는 캡스톤 디자 인을 적용한 융합패션디자인 학습 모형을 개발하 여 제안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직무능력표준(NCS)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능력 중심사회에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확보와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국가 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체 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발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분별, 수준별로 도출하여 표 준화한 것이다(법률 제 14397호, 자격기본법 제 2 조). 국가 정책의 핵심방향은 학벌이나 배경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역량과 성장 가능성을 우선시 하는 사회를 구현하는데 있다.
Convergence(융합)에 대한 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는 무엇인가? 융합(融合)의 사전적 의미는 ‘다 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 로 합하여지는 것’을 뜻한다. 학자들마다 사용 하는 용어와 개념적 정의, 방법 등에 관한 견해 가 매우 다양하나 공통된 견해는 “단일분야의 전문지식이나 학문적 배경으로 해결하기 어려 운 복잡하고 다양한 연구 문제에 대해 서로 다 른 전문지식 또는 학문 분야의 배경을 갖고 있 는 둘 이상의 연구자들이 대화와 협력을 통해 이론과 개념, 방법론 등을 융합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복잡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캡스톤디자인이 패션디자인 교육부분에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캡스톤디자인이 패션디자인 교육부분에서 필요한 이유는 순수예술과는 다르게 기능성을 담아내는 형태와 구현방법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때문이다. 장남경(2015)은 패션 디자인 과정은 주어진 문제를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사고과정을 거쳐 해 결하고 산업체의 요구분석의 결과물을 제시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캡스톤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서술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순희. (2015). 능력중심사회 조성을 위한 NCS의 과제. Public Administration Focus, 11(12), 12-15. 

  2. 김선영. (2013). 디자인교육과 창의성-융합과 집중. 서울: 집문당. 

  3. 김세희. (2016). 패션 기획 분야 국가 직무 능력표준(NCS)의 개발.보완 현황 고찰 및 도입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0(1), 69-80. 

  4. 김소한.(2013. 12. 19). NCS가 교육현장에 정착 되려면. 한국교육신문, 자료출처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43078 

  5. 김승인, 전수정. (2013). 융합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 13(2), 128-136. 

  6. 김영석.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따른 디자인 계열의 특성화 전략 -M.E. Porter의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12, 395-408. 

  7. 김영채. (2007).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주희. (2016). NCS기반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칠순, 장영수. (2014). 창의성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독일의 교육 시스템 및 포르츠하임 조형대학과 베를린 예술디자인대학 교과과정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5), 745-755. 

  10. 김필수. (2016. 9. 12). 자동차 분야의 대학교육,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무분별하고 획일적인 적용으로 부작용 심각하다. 한국경제, 자료출처 https://www.hankyung.com/thepen/article/58178 

  11. 김현정. (2014). 융합인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상호보완적 디자인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박훈. (2014). 패션디자인과 ICT 융복합 활성화를 통한 패션의류산업의 신성장 전략. 산업연구원, 14(2), 15-25. 

  13. 백재은.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국가역량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호주의 패션디자인 교육시스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3), 309-322. 

  14. 성은모, 오헌석, 김윤영. (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3), 543-580. 

  15. 송지영, 김선화. (2016).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183-192. 

  16. 신창범, 권오성. (2013).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 인터랙션 디자인 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33-42. 

  17. 안성로.(2013. 11. 12).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현황과 과제. 신구학보, 자료출처 http://news.shingu.ac.kr/print_paper.php?number252&news_articlenm_news_article&targetprint_paper 

  18. 오수진. (2015). 융합형 패션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및 시장 동향. (2015. 2).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26. 자료출처 https://www.bioin.or.kr 

  20. 윤명한. (2012). 디자인분야의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 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111-118. 

  21. 이윤진. (2016. 10). 패션 테크(Fashion Tech)의 글로벌 트렌트 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16(10). 자료출처 http://tradenavi.or.kr 

  22. 이지연. (2015).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다학제적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이.(2014),디자인 산업융합전략과 캡스톤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 12(2), 68-72. 

  24. 임마리.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집행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탐색.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남경. (2015).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1), 1-14. 

  26. 조준동. (2015). 창의융합프로젝트 아이디어북. 서울: 한빛아카데미. 

  27. 최경희. (2012). 창조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미국, 유럽, 한국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6(1), 68-83. 

  28. 최경희. (2013). 패션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한.미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원 교과과정 개설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지, 14(4), 517-529. 

  29. 최동선. (2013). 직업교육 강화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방향. 교육정책포럼, 246, 13-17. 

  30. 하승연,(2011) 뉴욕파슨스(Parson The New School for Design)의 패션디자인 교육과 패션산업 인턴쉽, 패션정보와 기술, 6(8), 20-25. 

  31. 한연희. (2014). 캡스톤 디자인 모형에 따른 여성 시니어 의류개발 - 평화시장 여성복 트렌드를 중심으로 -. 패션과 니트지, 12(3), 64-71. 

  32. 한경순, 이진화, (2016), 한국의 패션전문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1), 81-99. 

  33. Barron, F.,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1), 439-476. 

  34. Barron, F. (1953). Complexity-simplicity as a personality dimensio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8(2), 163. 

  35. Dellas, M. & Gaier, E. L. (1970).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Bulletin, 73(1), 55-73. 

  36. Kushinke, K. P. (2001). Why hrd is not an academy disciplin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4(3), 291-294. 

  37. McLagan, P. A.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43(9), 49-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