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서해안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수도권 지표면 대기오염농도 영향의 분석
Statistically Analyzed Effects of Coal-Fired Power Plants in West Coast on the Surface Air Pollutants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6, 2019년, pp.549 - 560  

주재민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윤대옥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력발전소 배출로 인한 지표면 오염물질 농도의 시·공간적 영향을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배출과 농도 관계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우선 기상 조건과 주변 배출원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의 선택과 관측지점 선정 과정을 제안하였고, 선정된 지표면 시·공간 자료에 K-Z 필터와 경험직교함수(EOF)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2014-2017년 4년의 기간 동안 당진과 태안 화력발전소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농도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한 시간 평균 배출량 자료와 지표면 대기오염농도 측정망 자료이다. 기상 자료로는 최근 배포 중인 ERA5 재분석자료와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소 한 시간 평균 자료가 사용되었다. 발전소만의 영향이 최대한 보이도록 기상 효과와 지리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한 시간대의 선정된 관측소 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표면 대기오염물질의 EOF 첫 번째 모드는 SO2, NO2, PM10 모두에 대해 97% 이상의 변동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지표면 농도장의 EOF 첫 번째 모드의 시계열은 화력발전소 배출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당진화력발전소 SO2, NO2, TSP 시간 당 배출량이 각각 10%가 감소하면, 남서풍 계열의 바람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 서울 수도권 지표면 평균 SO2 농도는 0.468 ppb (R=0.384), NO2는 1.050 ppb (R=0.572), PM10은 2.045 ㎍ m-3 (R=0.343) 정도가 감소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태안화력발전소의 경우, SO2, NO2, TSP 배출량을 각각 시간당 10% 씩 감축하면, SO2는 0.284 ppb (R=0.648), NO2는 0.842 ppb (R=0.683), PM10은 1.230 ㎍ m-3 (R=0.575) 정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태안화력발전소는 당진화력발전소에 비해 수도권지역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작았으나, 상관관계는 더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emissions, as the biggest point source of air pollutants, on spatiotemporal surface air pollution over the remote area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ased on a set of date selection and statistical technique to consider meteorological and geographical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자료 선정 과정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당진과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이 서울 수도권 지역의 지표면 대기오염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측정된 여러 자료들을 활용하여 화력발전소-지표면농도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입지한 당진과 태안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배출과 두 화력발전소로부터 원거리 지역에 위치한 서울 수도권을 포함한 영향지역의 관측소 측정 지표면 오염물질 농도에 미친 발전소의 영향에 따른 변화를 통계적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화하려고 하였다.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자료는 다양한 기상조건과 주변 배출원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강수유무, 풍향, 풍속, 경계층의 높이를 고려하여 발전소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대를 분류하는 자료의 선별과정이 선행되었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영향에 의해 복잡하게 변동하는 대기오염농도의 시·공간자료로부터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측정 자료로부터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높은 시간분해능의 자료가 요구되어 한 시간 평균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현재 사용가능한 상층 기상장 중 1시간 단위의 시간 분해능을 제공하는 자료는 최근 배포 중인 ERA5 재분석자료가 유일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어려움, 즉 분석 시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발전소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원거리지역 지표면 대기오염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 자료로부터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우선 분석 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화력 발전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는 측정소를 선별하였다.
  • 지표면 대기질 측정소의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측정자료에 포함된 다양한 변동성분으로부터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지역 내 선정된 대기질 측정소에서 수집한 오염물질 농도와 기상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체계를 정리하였다. 분석체계는 크게 기상 조건에 따른 자료의 분류 절차 및 통계적 분석 기법의 적용 순으로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공간분포 상 대부분의 지점에서 공간적으로 같은 변동 추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진과 태안 화력발전소 NO2 배출 시계열 변화 경향은 유사하지만 배출량이 크게 차이가 난다.
  • 6의 태안 화력발전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정량적인 값을 도출하여 보았다. 태안 화력발전소의 SO2, NO2, TSP 시간당 배출량을 1 kg 감축하게 된다면 분석 대상인 지역의 공간 평균 농도가 각각 약 0.002 ppb, 약 0.003 ppb, 약 0.154 µg m−3정도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화력발전소 배출저감에 따른 원거리 서울 대도시 지역 오염물질의 농도가 전체적으로 동시에 줄어든 효과는 Table 2에서 보이는 상관계수의 정도 내에서 합리적인 추론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급증하게 된 이유는? 최근 수십 년간 동아시아 지역은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증가 등의 요인으로 에너지의 소비량이 급증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Seo et al. 2018; Shi et al.
TMS 필수 측정 물질은? 당진과 태안 화력발전소의 배출량 자료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 4년 기간의 굴뚝의 굴뚝 자동측정기기(telemonitoring system, TMS)에서 측정한 오염물질 농도자료와 유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 제17조 제5항 및 별표 3 제1호)에 따라 국내 발전시설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TMS 필수 측정 물질인 총부유먼지(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황산화물(SO2), 질산화물(NO2) 배출량이 연구대상 물질이다. Fig.
화력발전소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매커니즘은?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발전원료인 석탄과 냉각수를 공급받기에 용이한 해안가에 입치하고 있으며, 발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높은 굴뚝(연돌, Stack)을 통해 배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높은 굴뚝을 통해 배출된 오염물질은 주변 대기와의 온도 및 압력 차이에 의해 실제 굴뚝의 높이보다 상승된 유효연돌고도(effective stack height)까지 상승하여 확산 및 수송의 과정을 거쳐 전파된다. 이러한 화력발전소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은 해안가 내부경계층의 높이 및 유효연돌고도에서의 바람의 변화를 고려해야 하므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려고 할 때 훈증(Fumigation) 과정과 비선형적 기상 영향 등을 포함하는 복잡성을 내포하고 있다(Simpson,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hakulwisut, P., Mickley, L. J., and Anenberg, S. C., 2018, Drought-sensitivity of fine dust in the US Southwest: Implications for air quality and public health under future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3(5), 054025. 

  2. Cai, W., Li, K., Liao, H., Wang, H., and Wu, L., 2017, Weather conditions conductive to Beijing severe haze more frequent under climate change, National Climate Change, 7, 257-262. 

  3. Cheng, L., Wang, S., Gong, Z., Li, H., Yang, Q., and Wang, Y., 2018, Regionalization based on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 in ground-level ozone concentrations across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67, 179-190. 

  4. Eskridge, R. E., Ku, J. Y., Rao, S. T., Porter, P. S., and Zurbenko, I. G., 1997, Separating different scales of motion in time serie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 1473-1483. 

  5. Hannachi, A., Jolliffie, I. T., and Stephenson, D. B., 2007,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and related techniques in atmospheric science: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7, 1119-1152. 

  6. Kim, J.-H., Kim, M.-K., Ho, C.-H., Park, R. J., Kim, M. J., Lim, J., Kim, S.-Y., and Song, C.-K., 2019, Possible Link Between Arctic Sea Ice and January $PM_{10}$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Atmosphere, 10(10), 619. 

  7. Kim, K.-J., Kim, D.-S., Cho, J., Hong, S.-W., and Lee, Y.-W., 2013, EOF analysis of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a case of inner mongolian reg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 309-319. 

  8. Kim, Y., Seo, J., Kim, J. Y., Lee, J. Y., Kim, H., and Kim, B. M., 2018, Characterization of PM 2.5 and identification of transported secondary and biomass burning contribution in Seoul, Korea, Environment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5, 4330-4343. 

  9. Li, P., Wang, Y., and Dong, Q., 2017,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a new hybrid pollutants forecasting model using modified Kolmogorov-Zurbenko filter,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583, 228-240. 

  10. Mijling, B., van der A. R. J., and Zhang, Q., 2013, Regional nitrogen oxides emission trends in East Asia observed from spac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3, 12003-12012. 

  11. Milanchus, M. L., Rao, S. T., and Zurbenko, I. G., 1998,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Ozone management efforts in the presence of meteorological variability,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8, 201-215. 

  12. Na, J. Y., Han, S. K., Seo, J. W., No, Y. G., and Kang, I. S., 1997,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surface pressur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winds over the East Sea on the Korea (Japan S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0, 188-202. (in Korean) 

  13.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9,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8 (NIER-GP2019-05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South Korea, available at: http://webbook.me.go.kr/DLi-File/NIER/09/024/5683728.pdf (last access: 2 December 2019) 

  14. Rao, S. T. and Zurbenko, I. G., 1994, Detecting and tracking changes in ozone air quality,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4, 1089-1092. 

  15. Rao, S. T., Zurbenko, I. G., Neagu, R., Porter, P. S., Ku, J. Y., and Henry, R. F., 1997, Space and time scales in ambient ozone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 2153-2166. 

  16. Ray, S. and Kim, K.-H., 2014, The pollution status of sulfur dioxide in major urban areas of Korea between 1989 and 2010, Atmospheric Research, 147-148, 101-110. 

  17. Seo, J., Kim, J. Y., Youn, D., Lee, J. Y., Kim, H., Lim, Y. B., Kim, Y., and Jin, H. C., 2017, On the multiday haze in the Asian continental outflow: the important role of synoptic conditions combined with regional and local sourc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7, 9311-9332. 

  18. Seo, J., Park, D.-S. R., Kim, J. Y., Youn, D., Lim, Y. B., and Kim, Y., 2018, Effects of meteorology and emissions on urban air quality: a quantitative statistical approach to long-term records (1999-2016) in Seoul, South Kore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8, 16121-16137. 

  19. Shi, Y., Matsunaga, T., Yamaguchi, Y., Li, Z., Gu, X., and Chen, X., Long-term trends and spatial patterns of satellite retrieved PM2.5 concentration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from 1999 to 2014,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15, 177-186. 

  20. Simpson, J. E., 1994, Sea breeze and local wi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1. Wise, E. K., and Comrie, A. C., 2005, Extending the Kolmogorov-Zurbenko filter: Application to ozone, particulate matter, and meteorological trend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5, 1208-1216. 

  22. Zou, Y., Wang, Y., Zhang, Y., and Koo, J.-H., 2017, Arctic sea ice, Eurasia snow, and extreme winter haze in China, Science Advances, 3, e16027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