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 인력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Manpower Esti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Workload of Medical Technologis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4, 2019년, pp.495 - 503  

최세묵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양병선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윤식 (동강대학교 임상병리과) ,  임용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오연숙 (충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배도희 (경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최병호 (아주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초록

본 연구는 채혈실의 적정인력에 대한 표준산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인력 규모를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표준산출모형을 위한 채혈 관련 주요 인자를 선정하고 국내현황조사, 인자의 병원 간 분석, 표준채혈시간을 제시하여 채혈 적정인력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소아와 노인을 제외한 20세 이상~60세 미만의 성인 외래채혈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14단계 표준채혈시간은 4분 8초이었다. 하루 8시간 기계적 채혈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명의 임상병리사가 채혈 할 수 있는 최대건수는 100건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채혈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의 1일 적정채혈 환자 건수는 100건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정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채혈적정인력은(채혈업무 100% 비중)=연간적정건수/((1일 근로시간/건당 소요시간)×연간 근무일수)이므로 채혈 적정인력(채혈업무 100%비중)=연간적정건수/(100×연간 근무일수)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appropriate size of the workforce according to the assessment of the workload of medical technologists (also called medical and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and medical and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in order to present a standard pro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채혈실의 적정인력에 대한 표준산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인력 규모를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기관의 임상병리사 채혈 분야 업무량 및 적정인력 산정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도출하고자 관련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인력 산출을 위한 모형 및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적정인력 산정을 위한 조사방안 수립과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인력 산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 국내 연구를 조사해 보았다. 적정 인력산정을 위한 국내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시험ㆍ검사기관 적정검사 건수 산정 가이드 개발이 있으며, 적정인력의 주요 인자로는 1일 근로시간, 건당 소요시간, 항목별 검사원 담당 비중, 연간근무 일수이며 연간적정건수=(1일 근로시간/건당 소요시간)×항목별 검사원 담당 비중×연간근무 일수의 식으로 연간적정건수를 제시하였으며, 연간최대검사건수=연간적정건수×초과근무비율의 식으로 제시하였다[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단검사의학은 무엇인가? 진단검사의학은 의학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체외검사를 시행하는 근거중심의학에 기반을 둔 학문이다. 진단검사의학의 검체검사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체 의료비의 5% 미만이지만, 그 검사 결과는 전체 의료비의 70%의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
채혈서비스의 소요시간과 난이도 등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정확한 진단 정보를 얻기 위해 혈액을 시료로 검체검사를 시행하는 모든 환자는 채혈서비스가 필수적이다. 채혈은 정상성인, 장기입원 환자, 소아과 환자, 환자 당 채혈 필요 용기의 개수 등 환자 상태와 요건에 따라 소요시간 및 난이도 등에 적지 않은 차이가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신경손상, 실신(기절), 지속적인 출혈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채혈교육을 받은 임상병리사의 전문업무이며, 미국이나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경우는 채혈사(phlebotomy technician, phlebotomist) 직업이 별도로 있는 실정이다.
진단검사의학검사(diagnostic laboratory testing)이 현대화 진료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진단검사의학의 검체검사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체 의료비의 5% 미만이지만, 그 검사 결과는 전체 의료비의 70%의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 이처럼 진단검사의학검사(diagnostic laboratory testing)은 국민의 건강관리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현대화된 진료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확한 진단 정보를 얻기 위해 혈액을 시료로 검체검사를 시행하는 모든 환자는 채혈서비스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Forsman RW. Why is the laboratory an afterthought for managed care organizations? Clin Chem. 1996;42:813-816. 

  2. Choi SK. A study on the secondary job analysis of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 Research report.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2. 

  3. Naz S, Mumtaz A, Sadaruddin A. Preanalytical errors and their impact on tests in clinical laboratory practice. Pak J Med Res. 2012;51:27-30. 

  4. Donabedian A.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Chicago: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80. p163. 

  5. Donabedian A. Evaluat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Milbank Memorial Fund Q. 1966;44:166-203. 

  6. Kim KO, Park MJ, Lee IK, Park KS, Son HS, Kim KA, et al. Mathematical model for in-ward nursing staffing optimization based o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J Biomed Eng Res. 2016;37:75-83. 

  7. Shin HS, Hong SY. The supply and demand for dentists in Korea. J Health Soc Sci. 2007;27:81-102. 

  8. Kim SH, Lim YM. A proposal to control system and the problems of the report about supply and demand for medical technicians and management polic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25-30. 

  9. Heffler S, Smith S, Keehan S. Clemens MK, Won G, Zezza M. Health spending projections for 2002-2012. Health Aff (Millwood). 2003;3:54-65. 

  10. Kim JH, Kim DE, Yoon JS, Lee JS, Park TW.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the medical test count. Korean J Clin Lab Sci. 2019;51:93-104. 

  11. Kim DH.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physician manpower in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0;6.7:221-239. 

  12. Lim DJ, Kim SH, Sin JS.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and employment structure of national licenses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2014;14:147-167. 

  13. Choi KH, Cho JK. Analysis on working force supply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489-495. 

  14. Lee JS, Kim HS, Kwak MJ, Park HJ, Kim YS, Lee YW, et al. Measurement of the nursing activities hours and estimation of the appropriate nursing personnel demands in a tertiary hospital. J Korean Clin Nurs Res. 2003;8:61-75. 

  15. Lee CH, You SW, Lee JD. Reaserch on working environment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electrophysiologic laboratory. Korean J Clin Lab Sci. 2002;34:210-219. 

  16.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Laboratory Medicine Foundation. A checklist for examination of new certification by the superior laboratory, laboratory operation. 2019. 

  17.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tandard preventive guideline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2017.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evelopment of the calculation guide for the optimum number of inspection cases in testing and inspection agencies. 2016.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ublication of midto long-term estimation results of health care personnel. 2015. 

  20. Park YS, Song RY. Estimation of nurse staffing based on nursing workload with reference to a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a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Crit Care Nurs. 2017;1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