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검사건수에 따른 임상병리사의 인원편성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the Medical Test Cou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1, 2019년, pp.93 - 104  

김정현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대은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윤중수 (경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정수 (현진해내과의원) ,  박태화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의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현황 및 인력배치현황과 검사 건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지역별, 규모별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41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TATA (version 12.0)를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hi-square test,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병원 규모별 임상병리사 분포는 의원급 5.8명, 병원급 14.9명, 종합병원 25.8명, 대학병원 45.4명으로 나타났다. 부서별검사건수, 1인 1일 검사건수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병리사의 1일 검사건수와 1일 적정 검사건수의 차이는 상급병원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도관리는 상급병원의 부서별 정도관리 평균 시간은 2시간 이내로 나타났다. 급여만족도, 근무환경만족도, 검사성취도, 복지제도측면에서 의원, 병원급에서 불만족도 다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진국형 의료 수준에 맞는 신뢰성 있는 검사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 병리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근무의 만족도와 임상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임상병리사의 처우개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the medical test count. Data was obtained from 441 medical technologists in a hospital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student's t-test, ANOVA o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연구는 의사, 간호사 및 보건의료인직종 중심으로 공급 및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미래의 적정 인력 수급을 추계하는 연구[13-16]와 업무량 분석[17, 18]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병원별 임상병리사의 인력배치 및 검사건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임상실무 건수와 인원편성 계획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현황 및 인력배치현황과 검사의 종류 및 건수를 알 수 있도록 대한 임상병리사협회에 가입되어 있는 지역별 규모별로 면허자격제도에 의한 전문직으로의 면허를 받아 전문 고유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37문항으로 진단검사의학과에 관한 사항 23문항, 정도 관리 1문항,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1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정확하게 진단검사의학과를 판단하고 그 인력의 적정성을 판별하려면 검사실의 규모 및 업무의 복잡성을 고려해야 한다[23-25]. 본 연구는 진단검사의학의 시설 및 제반 사항과 검사인력의 개인정보에 대한 설문을 이용하여 진단검사의학과의 효율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의 구성이 대한민국 진단검사의학과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아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검사의 난이도나 직원의 경력 등을 판단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 인력 수요의 결정 요소는? 의료환경은 여러 방면의 다각적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국민들의 의료서비스 대한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보건의료 인력 수요는 인구집단의 의료서비스 수요와 보건의료 인력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1]. 국민소득과 교육수준 및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의 연장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는 전반적으로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로 증가되고 있다[2-4].
임상병리사의 역할은? 최근의 임상병리사의 역할은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검사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엄격한 테스트 선택 및 결과 해석이 필요로 요구되고 있다. 임상병리사들은 실시간 진단검사의 결과 보고 및 검사의 효과, 임상 컨설팅의 역할, 치료의 결정 참여, 질병의 예방 노력, 케어에서 증거 기반 의학으로의 역할과 의무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McGaghie는 의료서비스 질의 향상, 임상 결과 향상, 공동 임상 및 진단검사의학의 연구 프로젝트 수행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의 임상병리사의 새로운 역할은 그에 따른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라고 강조하였다[11].
진단검사의학과의 적정한 인력규모의 활용은 대단히 중요한 이유는? 진단검사의학과의 적정한 인력규모의 활용은 대단히 중요하다. 병원내의 임상병리사 인력의 과잉은 병원 및 기관의 경영악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반대로 열악한 인력운용은 모든 검사의 질 저하를 반드시 수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판단하는 기준을 확립하는 일은 매우 복잡하고 아직 표준화된 지침은 갖춘 나라는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reenberg L, Cultice JM. Forecasting the need for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The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s physician requirements model. Health Serv Res. 1997;31:723-737. 

  2. Kim IS, Kim SY.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CIT. 2016;6:107-114. 

  3. Kim SY.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i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decision attitude. JCIT. 2016;6:115-122. 

  4. Park S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ing workforce supp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KJCH. 2018;6:21-25. 

  5. Kim SY, Kim SJ, Shin YI. Models of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world. J Korean Med Assoc. 2017;60:875-884. https://doi.org/10.5124/jkma.2017.60.11.875. 

  6. Oh YH. The 2006 Survey on national health care resources: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Heath and Social Welfare Forum. 2007;11:88-102. 

  7. Jung YH, Ko SJ. Policy for medical workforce planning: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Australia and U.K. Heath and Social Welfare Forum. 2005;6:98-109. 

  8. Park SH, Lee KS. 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distribu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16;51:401-420. 

  9. Ha YJ.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nurses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on job str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69-78. 

  10. Heffler S, Smith S, Keehan S. Clemens MK, Won G, Zezza M. Health spending projections for 2002-2012. Health Aff (Millwood). 2003;3:54-65. https://doi.org/10.1377/hlthaff.W3.54. 

  11. Valdez AP. Competencies of career-entry medical technology graduates of Lyceum of Batangas: Basis for enhancement of the internship training program. JPAIR Multidisciplinary Journal. 2010;4:16-33. http://doi.org/10.7719/jpair.v4i1.98. 

  12. Harmening DM, Castleberry BM. Defining the roles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medical laboratory technicians. Lab Med. 1996;26:175-178. https://doi.org/10.1093/labmed/26.3.175. 

  13. Kim DH.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physician manpower in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0;6.7:221-239. 

  14. Jung MY, Cha YJ.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KSOT. 2009;17:113-127. 

  15. Choi KH, Cho JK. Analysis on Working Force Supply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489-495. 

  16. Park G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behavior therapy 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placement and service offerings. JEBD. 2014;30:1-27. 

  17. Jun EK. Nursing time use in a Newborn Intensive Care Unit (NICU). JKANA. 2000;6:55-81. 

  18. Lee CH, You SW, Lee JD. Reaserch on working environment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Electrophysiologic laboratory. Korean J Clin Lab Sci. 2002;34:210-219. 

  19. Van GM, Batenburg R, Van der, Velden Lud LF. Ten years of health workforce planning in the Netherland: a tentative evaluation of GP planning as an example. Hum Resour Health. 2012;10:21. 

  20. Van GM, Batenburg R, Van der, Velden Lud LF. The accuracy of general practitioner workforce projections. Hum Resour Health. 2013;11:31. 

  21. Batenburg R. Health workforce planning as a balancing act-the Dutch case. EHMA Health Workforce Meeting; 2012 November 28; Budapest, Hungary. 

  22. Aki EA, Mustafa R, Bdair F, Schunemann HJ. The United States physician workforce and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trends and characterisics. J Gen Intern Med. 2007;22:264-268. 

  23. Wood J. The rol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technologists in the clinical laboratory. Clin Chim Acta. 2002;319:127-132. 

  24. Ward-Cook K, Tatum DS, Jones G. Medical technologist core job tasks still reign. Lab Medicine. 2000;31:375-379. https://doi.org/10.1309/3L3E-8CNP-RQL8-H154. 

  25. Blau G, Surges Tatum D, Ward-Cook K, Guiles HJ. Correlates of fundamental skills versus complex skills for medical technologists. J Allied Health. 2003;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