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완부위 최소통증 채혈을 위한 진공 자동 채혈기법
Vacuum Assisted Auto-Lancing Technique for Capillary Blood Sampling on the Forearm with Minimized Pain 원문보기

의공학회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25 no.6 = no.87, 2004년, pp.557 - 563  

박미숙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박경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김경아 ((주)씨케이인터내셔널) ,  전명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태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태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차은종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뇨병 환자의 혈당검사시 통증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진공 자동 채혈기법을 개발하였다. 특별히 고안, 제작된 채혈기구를 사용하여 전완부위에서 채혈침으로 피부를 관통한 직후 자동적으로 -100mmHg의 진공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모세혈액이 흡입되는 자동화된 진공 채혈기법을 구현하였다. 진공 자동 채혈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완부위에서의 채혈용적을 측정하였다. 58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464회의 채혈을 시행한 결과 평균 채혈용적은 약 2.6$\muL$이었고 0.5$\muL$이상의 채혈빈도가 약 86%이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혈당계들은 0.3~0.5$\muL$의 모세혈액으로 혈당검사가 가능하므로 검사성공률 역시 약 86%로 추정되었다. 채혈통증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손가락 및 전완부위 채혈 후 시각상사 통증척도를 사용하여 통증지수를 측정하였다. 전완부위 채혈시 통증은 손가락 채혈의 약 23%에 불과하였으며 거의 무통증 채혈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완부위 진공 자동채혈기법은 전통적인 손가락 채혈에 비해 채혈통증이 25%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하지만 검사실패율이 14%로써 경우에 따라 재채혈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매일 수 차례 채혈해야 하는 만성 당뇨환자의 경우 검사기피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vacuum assisted auto-lancing technique is proposed to minimize pain. Specially designed lancing device was introduced, which applied -100mmHg right after skin puncture on the forearm. Sampled blood volumes were measured in 58 normal females. Mean volume of 464 samples was approximately 2.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통과 진공흡입이 자동적으로 연속 수행되며 손가락 및 대체부위 채혈이 모두 가능한 새로운 진공 자동 채혈기법을 제안하였다. 단순한 push-button식 의 스위치 동작으로 일관성 있는 채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lOOmmHg의 낮은 진공압력을 인가하여 피부통증을 방지하였으며 10초 동안 흡입함으로써 성공적인 채혈이 가 능하였기에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반면 길이를 짧게 하여 팽창율 이 낮아지면 진공압력도 따라서 작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상반되는 제약점 사이에서 비교적 휴대가 용이한 길이를 유지하며 가능한 큰 진공압력을 얻고자 하였다. 일 반적 인 펜의 최대 길이가 약 15~16cm이므로 그 이상■으 로 기구가 길어지면 휴대가 불편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통과 진공흡입이 자동적으로 연속 수행되며 손가락 및 대체부위 채혈이 모두 가능한 새로운 진공 자동 채혈기법을 제안하였다. 단순한 push-button식 의 스위치 동작으로 일관성 있는 채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lOOmmHg의 낮은 진공압력을 인가하여 피부통증을 방지하였으며 10초 동안 흡입함으로써 성공적인 채혈이 가 능하였기에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전완부위 모세혈액 채혈 시 얻어지는 미량의 혈액을 가는 유리 모세관으로 흡인시켜 그 용적을 측정한 연구가 있 으나[8, 12], 본 연구팀의 경험에 의하면[12] 혈 액량이 매우 작을 때에는 유리 모세관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부정확하였다. 이에 본 연구팀에서는 실험용 배지를 사용하여 미량의 모세혈액을 측정하는 기법을 개발, 발표한 바 있다[13]. 이를 아래에 간략히 설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D. Baum, 'Home monitoring of diabetic control', Arch Dis Children, Vol. 56, pp. 897-899, 1981 

  2. J. H. Baumer, A. D. Edelsten, B. C. Howlett, C. Owens, C. A. Pennock, D. C. L. Savage, 'Impact of home blood glucose monitoring on childhood diabetes', Arch Dis Children, Vol. 57, pp. 195-199, 1982 

  3. R. M. Cowett, L. D'Amico, 'Capillary(Heelstick) versus venous blood sampling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neonate', BioI Neonate, Vol. 62, pp 32-36, 1992 

  4. D. P. Barker, N Rutter, 'Exposure to invasive procedur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Arch Dis Childhood, Vol. 72, pp. F48-F49, 1995 

  5. N. Mclntosh, L. van Veen, H. Brameyer, 'Alleviation of the pain of heel prick in preterm infants', Arch Dis Childhood, Vol. 70, pp. FI77-F181, 1994 

  6. M. E. Loveland, S. D. Carley, N. Cranfield, V. F. Hiller, K. Mackway-Jones, ' Assessment of the pain of blood sugar test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Vol. 354, pp. 921, 1999 

  7. 김현식, 김경아, 전병희, 김태임, 정용현, 이태수, 차은종, '피부관통시 통증을 최소화하는 일회용 자동 모세혈액채취기구', 의공학회지, 제 23권, 제 4호, pp. 323-327, 2002 

  8. D. D. Cunningham, T. P. Henning, E. B. Shain, D. F. Young, T. A. Elstrom, E. J. Taylor, S. M. Schroder, P. M. Gatcomb, and W. V. Tamborlane, 'Vacuum-assisted lancing of the forearm: an effective and less painful approach to blood glucose monitoring',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Vol. 2, pp. 541-548, 2000 

  9. A. J. Brenneman, D. G. Purcell, 'Vacuum assisted lancing device', U. S. Patent No. 6,152,942, 2000 

  10. G. McGarraugh, D. Price, S. Schwartz, and R. Weinstein, 'Physiological influen ces on off-finger glucose testing',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Vol. 3, pp. 367-376, 2001 

  11. 차은종, 박미숙, 최강, 담학현, 차근식, 'Vacuum assisted auto-lancing device', PCT/KR2004/j000351, 2004 

  12. 박미숙, 박경순, 김태임, 전병희, 이태수, 차은종, '당뇨환자 혈당검사를 위한 부위별 모세혈액 채혈량 비교', 제 28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춘계학술대회, P-104, 2003 

  13. 박미숙, 박경순, 김경아, 이재헌, 전명희, 김태임, 이태수, 차은종, '실험용 배지를 사용한 미량의 모세혈액 측정기법', 제 29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P-33, 2003 

  14.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cute pain management in adults: operative procedures', Quick reference guide for clinicians No. 1a, AHCPR Publication No. 92-0019, Public Health Service, U. 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3 

  15. T. M. Blumenfeld, G. K. Turi, W. A. Blanc, 'Recommended site and depth of newborn heel skin punctures based on anatomical measurements and histopathology', Lancet, Vol. 334, pp. 230-233, 1979 

  16. G. McGarraugh, S. Schwartz, and R. Weinstein, 'Glucose measurements using blood extracted from the forearm and the finger', Techincal Report ART01022 Rev. c., TheraSense Inc.,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