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하수 모델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 유동특성 및 수리전도도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Characterstics and Hydraulic Conductivity in Jeju Island Using Groundwater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12, 2019년, pp.1157 - 1169  

김민철 (제주연구원) ,  양성기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used numerical models to reliably analyze the groundwater flow and hydraulic conductivity on Jeju Island. To increase reliability, improvements were made to model application factors such as hydraulic watershed classification, groundwater recharge calculation by precipitation, hydraulic condu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16)은 관측지점에 대해서만 검증을 할 경우, 소유역 내 지하수 흐름에 대한 검증은 어려워 지하수 방향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관측수위와 분석 수위간의 잔차와 지하수 흐름방향의 검증을 실시하여 모델 결과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지하수 흐름을 보다 현실적으로 도식화하고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하수 모델에 입력되는 지하수 소유역 경계와 지하수 함양량, 지하수위 관측지점, 수리전도도 적용방법을 개선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모델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 전역의 수리전도도 분포 특성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수리전도도 분포를 지하수위 특성과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지하수 흐름을 보다 현실적으로 도식화하고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하수 모델에 입력되는 지하수 소유역 경계와 지하수 함양량, 지하수위 관측지점, 수리전도도 적용방법을 개선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모델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 전역의 수리전도도 분포 특성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수리전도도 분포를 지하수위 특성과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고찰하였다.
  • 제주도를 8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지하수 유동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델분석 결과의 검증은 실제 관측된 지하수위자료와 모델에서 분석된 수위자료를 비교하여 잔차를 산정하고, 수위 차이에 따라 모의된 결과를 평가한다.
  • 제주도의 수직적인 지층을 구성하기 위해 1 layer는 현무암층, 2 layer는 저투수층 2개의 layer로 구분하였으며, 1 layer의 표면은 1:5,000의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생성한 수치표고자료(DEM)를 interpolation하여 소유역별로 실제 수직적인 층을 적용하였다.
  • 제주지역의 지하수 흐름특성을 보다 신뢰성 있게 분석하기 위해 수치모델 적용인자를 개선하여 지하수 유동 특성 및 수리전도도를 분석·검토하고, 모델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의 분포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지하수 모델 입력인자 중 유역경계는 지표수 유역으로 구분된 16개의 소유역으로 적용되며(Jejudo, 2003), 지하수 함양량은 2013년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서 물수지 분석을 통해 산정된 20년(1992∼2011년)평균값을 입력하고 있다. 지하수위 자료는 도내 133개소의 지하수위 관측망 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며, 수리전도도는 지하수 관정 개발당시 산정된 결과를 모델에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모델에 입력되는 단일 인자들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처리

  • Table 7은 본 연구에서 산출된 수리전도도 결과로 동부(표선-성산, 구좌유역), 서부(대정-안덕, 한림-한경유역), 남부(남원, 서귀유역), 북부(동제주, 서제주유역)지역으로 구분하여 2003년에 분석된 수리전도도와 비교하였다.
  • 소유역별 정상류 상태의 지하수 흐름분석 결과에 대하여 관측수위와 계산수위의 잔차, RMSE (Root Mean Square Error)를 분석하였다. 표선-성산유역의 관측수위는 0.
  • 소유역별로 분석된 지하수 유동방향을 앞에서 분석된 지하수 등수위선과 비교하여 모델링 결과를 평가하였다. 표선-성산유역은 동남방향으로 지하수 흐름이 발생되었으며, Y축 기준 등수위선은 약 14°, 분석결과는 약 15°로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이론/모형

  • 7∼2,400 m/day로 수리전도도의 편차는 매우 큰 특징을 나타낸다(Jejudo, 2003). 이 연구에서의 수리전도도 적용은 해석모델의 보정 방법 중 Regularization(정규화)라고 불리는 Pilot point 기법을 적용하였다. 정규화방법은 균일한 제한을 통해 interpolation되는 인자의 값에 조밀한 데이터로 적용되어야 하는 객체 함수로부터의 적절한 영향을 보이는 값이 부재한다면, 인근의 Pilot point들로부터 평균값을 제한하도록 하여 모델 자동보정의 과정을 더욱 안정하게 하도록 유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는 무엇에 의해 형성된 섬인가? 제주도는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지표수를 활용한 수자원 확보는 어렵지만, 지하수 함양량은 수문 총량의 40.6%로 전체 수자원의 90% 이상을 지하수로 이용하고 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8).
제주도의 지하수 유역은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제주도의 지하수 유역은 4개의 중유역과 16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2003년 제주도와 수자원공사에서는 수문지질학적 특성에 의거하여 지하수 관리유역 구분을 시도하였으나, 지하수 분수령을 세분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1:5,000 수치지형도의 지형, 하천, 지표분수령 등 지표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16개의 소유역을 지하수유역으로 제시하였다(Fig.
제주지역의 지하수 흐름특성을 보다 신뢰성 있게 분석하기 위해 수치모델 적용인자를 개선하여 지하수 유동 특성 및 수리전도도를 분석·검토하고, 모델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의 분포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1) 제주도 지하수 수치모델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리학적 유역구분, 강수특성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Pilot point기법을 적용한 수리전도도 산정, 상세한 모델 검‧보정을 위하여 관측 지하수위 자료 확장 등 모델 적용인자를 개선하였다. 2) 지하수 유동분석 결과, 관측수위와 계산된 수위는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서귀와 서제주유역에서는 국부적으로 잔차가 크게 산정되었다. 해당 지역은 지하지질의 대수층 구조 특성에 따라 상‧하류 지역의 수두차가 크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판단되며, 모델 분석 시 수리전도도 분포를 세분화하여 분석되어야 한다. 3) 소유역간의 지하수 흐름 방향성을 검토한 결과, 지하수 등수위선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하수 유동해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 제주도 전역의 지하수 유동모의 결과로부터 수리전도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해안지역은 100 m/d 이상, 상류지역은 1 ~ 45 m/d로 나타났다. 특히, 동부지역 저지대에서는 500 m/d 이상의 수리전도도를 보였으며, 북부와 남부 일부지역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지하수 등수위선 분포와 부존형태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quaveo, 2015, MODFLOW-USG, Manual. 

  2. Choi, B, S., 1999, Determination of aqnifer characteristics from specific capacity data of wells in Cheju Island, J. Groundwater Environment, 6, 180-187. 

  3. Franke, O. L., Reilly, T. E., 1987, The effects of boundary conditions on the steady-state response of three hypothetical ground-water systems-Results and implications of numerical experiments,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315. 

  4. Franke, O. L., Reilly, T. E., Bennett, G. D., 1987, Definition of boundary and initial conditions in the analysis of saturated ground-water flow systems - An introduction. 

  5. Jejudo, 2003, Comperhensive survey of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Jeju Island(III), 173-179. 

  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Water resources management master plan. 

  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8, Water resources management master plan. 

  8. Jung, W. Y., 2013, The estimation of parametric runoff characteristics and flood discharge based on riverine in-situ measurements in Jeju Islan, Ph. D. Jeju National Univercity, Korea. 

  9. Kim, K. J., 1999,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applying groundwater flow medels to EIAs in Korea, J. Korean Society Groundwater Environment, 6(2), 66-75. 

  10. Kim, M. C., Yang, S. K., 2019, Hydraulic watersh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n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 28(4), 423-433. 

  11. Kim, M. C., Yang, S. K., Oh, S. T., 2015, Analysis on groundwater flow according to low permeable layer structure over Seongsan Watershed of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 24(4), 449-459. 

  12. Kim, M. C., Yang, S. K., Lee, J. H., Lee, G. B., 2016, Assessment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according to hydraulic conductivity zonation in Jeju Island,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s, 25(1), 163 

  13. Ko, J. W., 2016, Groundwater flow analysis of Middle-Seogwi watershed area based on monitored filed data, Ph. D. Jeju National Univercity, Korea. 

  14. Koh, G. W., Kang, B. R., Moon, D. C., 2006, Hydrogeological and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of Jeju Island, Jeju.Hawaii Water Forum, 134-166. 

  15. Na, H. N., Koo, M. H., Cha, J. H., Kim, Y. J., 2007, Sensitivity analysis of groundwater model predictions associated with uncertainty of boundary conditions: A Case study, J. Groundwater Soil and Environment, 12(3), 53-65. 

  16. Park, J. K., Kim, M. C., Yang, S. K,. Lee, J. H., Kim, Y. S., 2016, Assessment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according to hydraulic conductivity zonation in the Dae-j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 25(12), 1727-1738. 

  17. Yun, S. W., Jo, Y. J., Lee, J. Y., 2009,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s estimated by waterlevel fluctuation and hydrograph separation in Haean basin of Yanggu, J.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4), 391-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