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보호법에서 자연유산 분야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재 조경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Natural Heritage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 Focused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in Cultural Heritage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127 - 133  

진상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재 보호제도의 체계 속에서 문화재 조경의 제도 개선을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기념물 및 명승을 포함하는 문화재 조경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여야 한다. 가능하다면 조경에 관련된 천연기념물 및 명승법을 분법하여 제정하는 것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자연유산은 '개체' 중심의 보호에서 누락될 수 있는 문화적 산물과 주변 경관을 포함하기 위해 '공간' 중심의 보존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도적으로 관계 법령의 중복성과 상호 관계를 검토하여 업무 범위를 명확하게 분담하여야 한다. 셋째, 자연유산의 보호·관리를 위해 문화재청에 문화재 조경을 독립적이거나 주도적으로 전담할 부서를 신설하여야 한다. 넷째, 문화재보호법에 문화재위원의 위촉 자격에 조경 분야를 명시하고, 현행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조경수리기술자'와 '식물보호기술자'의 역할을 확대하는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system impro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system, which is changing continuous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cultural heritage, including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ite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유산에는 조경의 대상이 다수 포함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승과 천연기념물로 지칭되는 자연유산의 개념에서 조경 대상을 파악하고 그 범위와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 마지막으로 국외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법에서 문화재 조경의 위상 제고 및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조직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재 보호제도의 체계 속에서 문화재 조경의 제도 개선을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행 문화재보호법에서 자연유산의 개념 정립과 보호·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유산이 공간 중심의 보존이 이루어 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능하다면 조경에 관련된 천연기념물 및 명승법을 분법하여 제정하는 것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자연유산은 '개체' 중심의 보호에서 누락될 수 있는 문화적 산물과 주변 경관을 포함하기 위해 '공간' 중심의 보존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도적으로 관계 법령의 중복성과 상호 관계를 검토하여 업무 범위를 명확하게 분담하여야 한다.
천연기념물의 정의는 무엇인가? 천연기념물은 과거에 “자연 가운데 학술적, 자연사적, 지리학적으로 중요하거나 또는 그것이 가진 희귀성, 고유성, 심미성 때문에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여 법률로 규정한 개체물이나 특이 현상과 그 개체나 특이 현상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일정 주변구역”으로 정의되다가 1982년과 1999년에 걸친 문화재보호법의 개정을 통해서 “노거수나 희귀식물 자생지, 희귀한 동식물류, 광물 화석, 저명한 동굴이나 특이한 지형 지질 및 천연보호구역 등 자연의 역사와 가치를 내포한 자연유산으로서 오랜 역사 속에서 민족의 삶과 풍속 관습 사상 신앙 및 문화 활동이 얽혀져 있는 인류 문화 환경의 일부로서”로 정의가 확대되었다[9]. 천연보호종의 서식지 보호 및 복원, 노거수의 치유, 천연기념물의 보호 환경 구축 등 근대부터 천연기념물의 보호와 복원, 관리를 위한 주된 행위 중의 하나는 조경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4).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Support Management Pla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5). Class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8). Classification and Designa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 Kim, H. S.(2009). Category and Change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oncept. Architectural Research. 53(11):16-19. 

  5.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of Cultural Heritage(2010).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ovable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of Cultural Heritage.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1). A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ural Heritage Law.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7.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tiy of Cultural Heritage(2011). A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ural Heritage Law.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8. Yu, C. M., Park, D. S., Kwon, O. B. and Lee, J. G.(2004). A Study on the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Method of Landscape; Focusing on Ceremony Standard of The Government Employee and Citiz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1):102-109.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3). A White Book of Natural Monu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0. Yi, S.(2009). Korea's Natural Heritage-History of Natural Monuments and the Their Stories. Seoul; Suryu sanbang. 

  11.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of Inha University(2010). Collect, translate, and analyz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in Major Countri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2. http://www.xinhuanet.com/politics/2018lh/2018-03/13/c_137035413.htm 

  13. http://zwgk.mct.gov.cn/auto255/201811/t20181101_835720.html?keywords 

  14. 旅游景區質量等級的?分?評定(GB/T17775 - 2003) 

  15. Yi, S.(2007). Designation History of Natural Monuments in Korea and Foreign Cases. Natural Heritage Conservation Seminar and Staff Training in 200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6. http://www.gesetze-im-internet.de/ 

  17. Registered Parks & Gardens Archived 4 April 2015 at the Wayback Machine page on Historic England. Retrieved 23 December 2010. 

  18. http://www.forestry.gov.cn 

  1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5). A Study on the Norms and Contents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anagement in Developed Countries - Natural Propert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otion. 

  20. Yao, Z., Kim, D. P. and Moon, H. G.(2015). Study on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China's Natural Reserv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9(3): 474-484. 

  21. Kim, C. K.(2012).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Dongbangmunhawsa. 

  22. Jo, H. S.(2013). Basic concept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o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uthenticity and integrity. Master's Thesis of Hannam University. 

  23. Kim, H. S.(2014). Eine Studie uber die Begriffsbestimmung des Naturerbes als die Konzeption des nationalen Erbes, 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15(1): 505-532. 

  24.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2002). A Study on Maintenance of Law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