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ugok Stream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a's 『Wuyi-Gugok Painti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62 - 82  

정조하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강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봉·석의 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 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 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釣臺/태(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眞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B·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king the three Wuyi-Gugok Drawings, 『A Picture Showing the Boundary Between Mountains and Rivers: A』,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B』 and 『Eighteen Sceneries of Wuyi Mountain: C』, which were produced in the mid-Qing Dynasty as the re...

주제어

표/그림 (2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연구들로 밝혀진, 조선시대에 무이구곡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후 조선시대 『무이구곡도』에서 연원한 구곡 문화와 함께 미술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한 바 있다[8][9][10]. 이들 연구 결과의 공통점은 조선시대 『무이구곡도』가 비록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성리학적 이념을 배경으로 하는 조선의 사회 속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목적이나 시대에 따라 재해석되고 도상이 선별되며 화가에 따라 화풍이 다양하게 전개되었음을 지적하였다. 한편 개별구곡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도 최근 들어 눈에 띈다.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은 경물풍부도 측면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는가?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 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무이산 문화경관의 핵심요소는 무엇인가? 많은 신화와 전설들이 역사적 사실과 함께 인문경관 구축의 기반이 되었다. 무이산 문화경관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황탄부경(荒诞不经)하고 믿을 수 없는 무이군(武夷君)과 골모(圣姥)의 신화이고, 다른 하나는 주자 성리학이다[4][5]. 본 연구는 자연환경과 전설과 신화 등 인문배경이 무이의 산수에 투영되어 각각 어떠한 경관이미지를 형성하는가, 또 이러한 심상이 어떠한 시공간적 변화를 일으켰는가? 더불어 국부(局部)부터 전체로 변화한 무이산 경관의 심상을 반영한 『무이구곡도』에서는 어떠한 역사문화경관의 형성 및 인지 특징이 내포되었고 또 그 함의는 무엇이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Fujian provincial local Chronicles compilation committee(2004). Local Chronicles in Fujian Province . Muisanji(武夷山志). Fangzhi Publishing House. 

  2. Zheng, C.(2014). Harmony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of Wuyi Mountain(天人合一武夷山). Straits Literature and Art Publishing House. 

  3. Niu, L. Y. and Jin, Y. Z.(2014). South Korea's Gugok Painting Expression and Its Model Research. Journal of Yangtze University (Social Science Edition). 37(9): 189-191. 

  4. Liu, J. J.(2008). Fujian Culture and Wuyi Mountain(?文化?武夷山). Xiamen University Press. 

  5. Wuyi Mountain Loc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2007). Muisanji(武夷山志). Fangzhi Publishing House: Vol.1, Vol.4-Vol.24. 

  6. Yu, J. Y.(1981). A Study on the Occurrence and Origin of Ggokdo.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151(-): 1-20. 

  7. Yun C. Y.(1997). A Sudy on the Gugokdo in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es The Academy of The Graduate of Korean Studies. 

  8. Kang, S. A.(2004). A Sudy on the Muigugokdo in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es of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9. Kang S. A.(2007). The Origin and Iconography of Muigugokdo in th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54(-): 5-40. 

  10. Chung K. S.(2015). Study on Wuyi Nine Bent Stream Paintings. Doctoral thesis of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1. Chung, K. S.(2016). An Article on the Chae Yongshin"s 10 piece-folding screen painting of Nine-bend in Mt. Wuyi in 1915. Art History & Cultural Heritages. 5(-): 183-210. 

  12. http://digitalatlas.ascdc.sinica.edu.tw/map_detail.jsp?idA104000040 

  13. http://digitalatlas.ascdc.sinica.edu.tw/map_detail.jsp?idA104000041 

  14. https://blog.naver.com/sky0sj/130177504820 

  15. Rho, J. H., Choi, Y. H and Kim, S. B.(2018).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omponents of Gugokwonlim Created by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3): 37-47. 

  16. Jin, Y. Z.(2013). Gugokdoga(武夷棹歌) and Korean Gugok Culture. Tongji university press. 

  17. Zhu, P. A.(2008). Wuyi Mountain Cliff Stone Carving and Wuyi Culture Study. Xiamen university press. 

  18. Wuyi Mountain Local Chronicles compilation committee(2007). Wuyi Mountain Cliff Carvings. Popular Literature and Art Publishing House. 

  19. Gim, M. G. and Gang, J. S.(2008). Gugok Cultur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Gyeongsangbuk-do Provi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oegye Research Institute. 

  20. Cheng, Z. X., Rho, J. H. and Jiang, C.(2019).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Perception of Wuyi-Gugok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a's Wuyi-Gugok Painting. 2019 General Meeting and Spring Conference. pp.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