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덤포레스트와 서포트벡터머신 기법을 적용한 포인트 클라우드와 실감정사영상을 이용한 객체분류
Object Classification Using Point Cloud and True Ortho-image by Applying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7 no.6, 2019년, pp.405 - 416  

서홍덕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  김의명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데이터의 생산과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하기 위해,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는 인터넷과 공간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머신러닝은 영상, 포인트 클라우드 등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 또는 인식하는 것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수치지도 버전 1.0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수동으로 구축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영상과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도로, 건물, 식생을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RGB 밴드만을 갖고 있는 실감정사영상을 사용하였을 경우 색상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도로, 건물, 식생의 분류가 가능하였지만 색상이 유사한 경우에는 분류가 잘 되지 않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감정사영상과 정규수치표면모델을 밴드 퓨전한 후 랜덤포레스트와 서포트벡터머신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85%이상의 정확도로 도로, 건물, 식생을 분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speed of data is getting faster. To classify objects using machine learning, which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required for training can be easily collec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도로, 건물, 식생을 분류하기 위해 드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와 실감정사영상(true ortho-image)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객체 분류를 위해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고, 학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1:5,000 축척의 수치지도 버전 1.0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밴드 퓨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감정사영상과 NDSM의 공간해상도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Daneshtalab and Rastiveis, 2017). 기존 실감정사영상은 RGB 3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지만, Fig.
  • 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수치지도와 객체분류에 사용할 포인트 클라우드와 실감정사영상 데이터는 시간 해상도가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머신러닝이란?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데이터와 이 데이터로부터 기대되는 해답을 입력하여 규칙을 알아내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정보 분야에서 머신러닝은 영상,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등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 또는 인식하는 것에 적용되고 있다(Liu, 2015; Hong, 2017; Lee and Yom, 2018)
RGB 밴드 기반의 객체 분류 연구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19) 등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RGB 밴드에 의존하여 객체를 분류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 조건 및 환경으로 인하여 오분류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Liu and Xia, 2010). 또한, 개별 화소를 객체분류의 기본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민감하고, RGB (Red, Green, Blue) 밴드 기반 분류를 수행할 시 동일한 분류 내에서 큰 변동성을 발생시켜 낮은 분류정확도를 갖는 한계가 존재하였다(Schöpfer et al., 2010; Liu and Xia, 2010).
공간정보 분야에서 머신러닝은 어떻게 적용되나?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데이터와 이 데이터로부터 기대되는 해답을 입력하여 규칙을 알아내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정보 분야에서 머신러닝은 영상,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등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 또는 인식하는 것에 적용되고 있다(Liu, 2015; Hong, 2017; Lee and Yom,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iamonte, J., Wittek, P., Pancotti, N., Rebentrost, P., Wiebe, N., and Lloyd, S. (2017), Quantum machine learning. Nature. Vol. 549, pp. 195-202. 

  2. Cho, D.Y. and Kim, E.M. (2010), Extrac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tree using LIDAR data in urban a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8, No. 4, pp. 1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S.P., Yang, I.T., and Cong, J.H. (2002), Evaluation of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of facilities in digital map.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0, No. 4, pp. 95-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aneshtalab, S. and Rastiveis, H. (2017), Decision level fusion of orthophoto and LIDAR data using confusion matrix information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ume XLII-4/W4, 2017 Tehran's Joint ISPRS Conferences of GI Research, SMPR and EOEC 2017, 7-10 October, Tehran, Iran, pp. 59-64. 

  5. Feng, Q., Liu, J., and Gong, J. (2015), UAV remote sensing for urban vegetation mapping using random forest and texture. Remote Sensing, Vol. 7, No. 1, pp. 1074-1094. 

  6. Han, S.H. (2016), Introduction to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Goomibook, Seoul. 

  7. Hong, I.Y. (2017), Land use classification using LBSN(Location-Based Social Network) data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Vol. 17, No. 3, pp. 59-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ong, S.P. and Kim, E.M. (2018), Classification of 3D road objects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6, pp. 535-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g, D.H. and Jeong, W.T. (2019), Prediction of rolling noise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 using rail surface roughness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2. No. 3, pp. 209-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o, W.H., Lim, Y.H., and Park, K.H. (2019), Deep learning 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54, No. 1, pp.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onsson, Sigurbjorn. (2019), RGB and multispectral UAV image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fields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ster's thesis, Lund University, Lund, Sweden, 88p. 

  12. Jung, I.G., Sung, J.H., Lee, C.K., Kim, S.C., and Lee, Y.B. (2004), The prediction of spatial variability for soil information in Paddy field,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Vol. 29, No. 1, pp. 6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G.M. and Choi, J.W. (2018), Detection of cropland in reservoir area by using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UAV imagery based on GLC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6, pp. 433-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E.M., Cho, H.S., and Park, J.H. (2017),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orthophoto using 3D mesh on aerial image with large file siz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3, pp. 155-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K., Lee, K.B., and Hong, S.G. (2017), ECG-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random forest.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4, No. 6, pp. 100-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on, S.K., Lee, Y.S., Kim, D.S., and Jung, H.S. (2019), Classification of forest vertical structure us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2, pp.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G.W. and Yom, J.H. (201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automatic preprocessing system of remote sensing imagery for machine learning model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6, No. 1, pp. 6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iu, D. and Xia, F. (2010), Assessing object-based classification: advantages and limitations, Remote Sensing, Vol. 1, No. 4, pp. 187-194. 

  19. Liu, P. (2015), A survey of remote-sensing big data. Frontiers in Environmental Science, Vol. 3, No. 45, pp. 1-6. 

  20. Park, G.M. and Bae, Y.C. (2019), Performance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in the various kind of predi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4, No. 1, pp. 169-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H.K. and Lee, D.K. (2019), Disaster prediction and policy simulation for evaluating mitigation effects using machine learning and system dynamics: case study of seasonal drought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1, pp. 4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S., Kim, K.J., Lee, J.S., and Lee, S.R. (2011), Red tide prediction using neural network and SVM,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Signal Processing, Vol. 48. No. 5, pp. 39-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chonberger, J.L. and Frahm, J.M. (2016), Structure-from-motion revisited.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7-30 June, Las Vegas, USA, pp. 4104-4113. 

  24. Schopfer, E., Lang, S., and Strobl, J. (2010), Segmentation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Remote sensing of urban and suburban areas, Vol. 10, pp. 181-192. 

  25. Wang, C. and Li, Z. (2016), Weed recognition using SVM model with fusion height and monocular image features. Transactions of the Chinese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32, No. 15, pp. 181-192. 

  26. Wikipedia. (2019), Random forest, Wikimedia Foundation, Inc., URL: https://en.wikipedia.org/wiki/Random_forest(last date accessed: 26 June 2019). 

  27. Yamamoto, K., Guo, W., Yoshioka, Y., and Ninomiya, S. (2014). On plant detection of intact tomato fruits using imag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Sensors, Vol. 14, No. 7, pp. 12191-12206. 

  28. Yu, B.H., P, H.C., and Lee, S.M. (2019), Improvement of randomforest OBIA algorithm for tree anomaly detection in UAV imagery: Focused on the Birobong-Peak Area of Sobaeksan National Park.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April, Wonju, Korea, pp. 54-54. 

  29. Yun, T.G. and Yi, G.S. (2008), Application of random forest algorithm for the decision support system of medical diagnosis with the selection of significan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6, pp. 1058-10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Zhang, W., Qi, J., Wan, P., Wang, H., Xie, D., Wang, X., and Yan, G. (2016), An easy-to-use airborne LiDAR data filtering method based on cloth simulation, Remote Sensing, Vol. 8, No. 6, pp. 5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