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MS를 이용한 신선편의 샐러드 중 dichloroacetic acid와 trichloroacetic acid의 분석
Determination of dichloroacetic acid and trichloroacetic acid in fresh-cut salad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1, 2019년, pp.12 - 17  

김희갑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  이성균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윤아현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제지공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GC-MS를 사용하여 신선편의 채소류 중 DCAA 및 TCAA를 포함한 haloacetic acids를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분석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일부 시중에서 유통 중인 시료를 분석한 결과, 외국의 수준보다 높아 $19-75{\mu}g/k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위해 평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유통 중인 신선편의 채소류의 섭취에 따른 초과 발암 위해도가 허용 수준을 초과하여, 향후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chloroacetic acid (DCAA) and trichloroacetic acid (TCAA) in fresh-cut salads available from the market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target compounds in 3 g of acidified homogenates were extracted with 20 mL of methyl t-butyl ether (MTBE). The extract was co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선편의 채소류, 특히 샐러드 중 두 종류의 대표적인 DBPs 중 HAAs에 대해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한 가지의 채소(양상추)를 선택하여 HAAs에 대한 분석 방법을 확립하고, 실험실에서 생성 실험을 통해 HAAs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 후, 시중에서 채취한 신선편의 샐러드 시료를 HAAs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소계 살균제의 특징은? 게다가 염소계 살균제는 강한 산화력을 갖기 때문에 수돗물의 원수로 사용되는 지표수에 함유된 유기물(특히 펄빅산)과 반응하여 소위 염소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s, DBPs)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iq와 Rodriguez, 2004). 그 중에서도 가장 흔히 생성되는 DBPs는 chloroform을 비롯한 trihalomethanes(THMs)와 dichloroacetic acid (DCAA) 및 trichloroacetic acid (TCAA)를 비롯한 haloacetic acids (HAAs)이다.
신선편의식품 중 미생물 제거를 위해 염소계 살균제 함유 세척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특히, 즉석식품류의 소비가 급증하면서 즉석섭취식품 및 신선편의식품이 세균 중에서도 병원성 대장균으로 오염된 사례들이 보고되었다(Jo 등, 2011; Kang등, 2011; Kim 등, 2011). 이 중 신선편의 샐러드 및 새싹채소는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에 미생물을 없애는 가열 처리가 없고, 세척 과정에서 미생물들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로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살균제를 이용한 신선 편의 식품 세척과정에서 chlorite나 chlorate의 잔류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유는? ” 고만 명시되어 있고 살균제 및 부산물에 대한 식품 잔류 기준이 없다. 따라서 과일류 및 채소류를 세척수에 담가 놓는 동안 식품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물로 충분히 헹구지 않을 경우 살균제의 산화 생성물인 chlorite나 chlorate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Jung 등, 2017; Kim 등,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ieber TI, Trehy ML. Dihaloacetonitriles in chlorinated natural waters. Vol. 4, pp. 85-96. In: Water Chlorination-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 Jolley RJ, Brungs WA, Cotruvo JA, Cumming RB, Mattice JS, Jacobs VA (ed.) Ann Arbor Science Publisher, Ann Arbor, MI, USA (1983) 

  2. Cardador MJ, Gallego M. Effect of the chlorinated washing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on the generation of haloacetic acids. J. Agr. Food Chem. 60: 7326-7332 (2012) 

  3. Cardador MJ, Gallego M.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rihalomethanes and haloacetic acids in canned vegetables. J. Chromatogr. A 1454: 9-14 (2016) 

  4. Coroneo V, Carraro V, Marras B, Marrucci A, Succa S, Meloni B, Pinna A, Angioni A, Sanna A, Schintu M. Presence of trihalomethanes in ready-to-eat vegetables disinfected with chlorine. Food Addit. Contam. Part A 34: 2111-2117 (2017) 

  5. Huang AT, Batterman S. Sorption of trihalomethanes in foods. Environ. Int. 36: 754-762 (2010) 

  6. Jo MJ, Jeong A-R, Kim HJ, Lee N, Oh SW, Kim YJ, Chun HS, Koo M.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salads. Kor.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7. Jung S, Kim D, Lee G, Yun SS, Lim HS, Jung YR, Kim H. Evalu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hlorite and chlorate in fresh-cut vegetables using ion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591-598 (2017) 

  8.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9. Kim DS, Jung S, Lee G, Yun SS, Lim HS, Kim H. Ion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chlorite and chlorate in chlorinated food using a hydroxide eluent. Anal. Sci. Technol. 30: 57-67 (2017) 

  10. Kim HY, Oh SW, Chung SY, Choi SH, Lee JW, Yang JW, Seo EC, Kim YH, Park HO, Yang CY, Ha SC, Shin IS.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produc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9-44 (2011) 

  1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Suggestion of Safety Management for Residual Chlorine Products in Fresh-Cut-Foods. Osong, Korea (2008)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for the Validation of Test Methods for Pharmaceuticals, etc. Osong, Korea (2012)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loacetic Acids-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ES05552.1a, Sejong, Korea (2012a)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loacetic Acids-Gas Chromatography. ES05552.2a, Sejong, Korea (2012b)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n Food Additives Codex-5. Usage Criteria by Item.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pdf/2/2-5.pdf. Accessed Dec. 11, 2018 

  16. Olmez H, Kretzschmar U. Potential alternative disinfection methods for organic fresh-cut industry for minimizing water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LWT Food Sci. Technol. 42: 686-693 (2009) 

  17. Rivier L. Criteria for the identification of compound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liquid chromatography-multiple mass spectrometry in forensic toxicology and doping analysis. Anal. Chim. Acta 492: 69-82 (2003) 

  18. Sadiq R, Rodriguez MJ.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drinking water and predictive models for their occurrence: a review. Sci. Total Environ. 321: 21-46 (2004) 

  19. Schony R. Disinfection by-products: a question of balance. Environ. Health Persp. 118: A466-467 (2010) 

  20. Tan H, Sen AC, Wheeler WB, Cornell JA, Wei CI. A kinetic study of the reaction of aqueous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with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J. Food Sci. 52: 1706-1711 (1987) 

  2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Determination of Haloacetic Acids and Dalapon in Drinking Water by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Derivatization, and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ion. EPA 815-B-03-002, Washington DC, USA (2003) 

  2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Available from: https://cfpub.epa.gov/ncea/iris2/chemicalLanding.cfm?substance_nmbr654. Accessed Dec. 11 (2018a) 

  2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Available from: https://cfpub.epa.gov/ncea/iris2/chemicalLanding.cfm?substance_nmbr655. Accessed Dec. 11 (2018b)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