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가 선형공원의 녹지계획 사례연구
Case Study of Green Space Planning in Elevated Linear Park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2, 2019년, pp.267 - 276  

박청인 (국립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이주영 (국립한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vated linear parks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the ecological stability, city amenity, cultural opportunity, and health benefits of urban dwellers; these are increasing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 space, linear parks need to be pl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로7017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녹지계획이라는 측면에서 해외사례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용객이 인지하는 공간스케일에 있어서의 녹지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녹지계획과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서울로7017과 연결되어 있는 17개 길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콘크리트로 뒤덮인 무기적인 공간을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명의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서울역 7017 프로젝트는 서울역 고가 도로를 차량길에서 사람길로 재생함으로써 단절된 서울역 일대를 통합하여 지역을 활성화하고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상부의 녹지공간의 기능과 하부의 상업 활동 기능이 연계되면서 공간이 입체적으로 활용되어 이용객들에게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준다. 초기 식재계획에 있어 식재를 빽빽하게 하여 녹지외부의 도시공간과 분리된 느낌을 주도록 하여 이용객으로 하여금 도심 속의 특별한 위요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녹지의 구조적 형태는 선형을 띠고 있으나 구역별로 식재 패턴이 다양하고 식물의 활용이 다채롭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화된 도시환경에서 나무로 둘러싸인 녹지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국민의 90% 이상이 도시에서 생활을 하게 됨에 따라 도시공간은 시민들의 삶의 질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선진화된 생활공간으로의 역할이 요구된다(Kim, 2016). 인공화된 도시환경은 사람들에게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Lederbogen et al., 2011) 도시에 나무로 둘러싸인 녹지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서울로7017의 궁극적인 목표는? 서울로7017은 서울역 고가도로를 도시민을 위한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고 지역 활성화를 꾀한 대표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기존 도시 공간의 이용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양상을 변화시켜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환경계획의 관점에서 보면, 기존 도시 인프라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선형공간에 있어서의 녹지 디자인의 다변화를 꾀하며 동시에 새로운 녹화 기술의 도입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녹지의 장점은? , 2011) 도시에 나무로 둘러싸인 녹지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녹지는 스트레스 해소와 휴식의 기회를 제공 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시민들의 건강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Lee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nghida, D., Benghida, S., 2017, La creativite dans la rehabilitation urbaine Le Viaduc des Arts a Paris, Assoc. Cultur. France Coreenne, 35, 215-243. 

  2. Cho, E. Y., Kang, C. S., Kim, G. G.,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participation process in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Seoulro 7017' and 'Mapo Culture Tank' cases. Kor. Comp. Gov. Rev., 22(2), 165-189. 

  3. Choung, E., 2018, A Study on urban tourism through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lo 7017, J. Kor. Urban Geograp. Soc., 21(1), 53-64. 

  4. Coutts, C., 2009, Multiple case studies of the influence of land-use type on the distribution of uses along urban river greenways, J. Urban Plan. Devel., 135(1), 31-38. 

  5. Forsyth, A., Krizek, K., 2011, Urban design : Is there a distinctive view from the bicycle?, J Urban Design, 16(4), 531-549. 

  6. Highline, 2019, https://www.thehighline.org. 

  7. Kang, C. S., Cho, E. Y., Kim, G. G., 2018, A Study on public deliberation for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Seoulro7017 project', J. Kor. Region. Devel. Assoc., 30(3), 87-116. 

  8. Kim, E. J., 2016, Concep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health, J. Kor. Urban Managem. Assoc., 29(3), 163-180. 

  9. Kim, J., Park, K., 2013,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urban linear park, J. Kor. Plan. Assoc., 48(6), 89-106. 

  10. Kullman, K., 2011,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infrastructural sites, J. Landsc. Architec., 6(2), 70-81. 

  11. Lederbogen, F., Kirsch, P., Haddad, L., Streit, F., Tost, H., Schuch, P., Wust, S., Pruessner, J. C., Rietschel, M., Deuschle, M., Meyer-Lindenberg, A., 2011, City living and urban upbringing affect neural social stress processing in humans, Nature, 474, 498-501. 

  12. Lee, H., Suh, L., 2014,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of the Highline park in New York, J. Sustainability Res., 5(3), 1-21. 

  13. Lee, J., Park, K. T., Lee, M. S., Park, B. J., Ku, J. H., Lee, J. W., Oh, K. O., An, K. W., Miyazaki, Y., 2011, Evidence-based field research on health benefits of urban green area, J. Kor. Institut. Landsc. Architect., 39(5), 11-118. 

  14. Lee, S. T., 2008, A Study of the city-brand design on the image of the country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about the city-brand design, J. Brand Design Assoc. Kor., 6(1), 51-62. 

  15. McMahon, E. T., 2000, Green infrastructure, Plan. Commissioners J. 37, 4-7. 

  16. Mitchell, R., Popham, F., 2008, Effect of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on health inequalities: an observational population study, Lancet, 372(9650), 1655-1660. 

  17. Park, S. J., Shin, J. O., Jeong, C., 2018, A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 change on walking tourism: focused on Seoullo 7017 project, J. Tourism Sci., 42(2), 121-138. 

  18. Suda, A., Lee, J., Fujii, E., 2007, Experimental study on cerebra-hemodynamics during observation of plants, J. Landsc. Architec. Asia, 3(1), 214-219. 

  19. Takano, T., Nakamura, K., Watanabe, M., 2002,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the importance of walkable green spaces, J. Epidemiol. Commun. Health, 56(12), 913-918. 

  20. Taylor, B. T., Fernando, P., Bauman, A. E., Williamson, A., Craig, J. C., Redman, S., 2011, Measuring the quality of public open space using Google Earth, Am. J. Prev. Med., 40(2), 105-112. 

  21. Yang, Y. J., 2008, A Study on the role of the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as a catalyst for urban regeneration, Urban Design, 9(4), 307-328. 

  22. Yoon, H. Y., 2010,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J. Kor, Instit. Landsc. Architec., 38(1), 84-97. 

  23. Zhou, X., Wang, Y. C., 2011, Spatial-tempor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rapid urbanization and greening policies, Landsc. Urban Plan., 100(3), 268-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