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7, 2014년, pp.647 - 655  

전성수 (회원초등학교) ,  박종호 (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eaching insights for improving scientific literac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and logical thin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participants are 64, sixth 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논리적 사고력과 같은 과학적 능력이 학습자의 성취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과학적 능력들 간의 구조적인 영향과 과학적 능력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 유형에 따른 과학적 능력이 영향을 주는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아래 각각의 능력들의 하위 영역과 기능별로 세부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러한 과학적 능력들이 과학 교과나 전체 교과의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향후 과학 교육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능력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논리적 사고력과 같은 과학적 능력이 학습자의 성취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과학적 능력들 간의 구조적인 영향과 과학적 능력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 유형에 따른 과학적 능력이 영향을 주는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아래 각각의 능력들의 하위 영역과 기능별로 세부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러한 과학적 능력들이 과학 교과나 전체 교과의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향후 과학 교육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능력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 탐구능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아래 각각의 과학적 능력들의 관계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러한 과학적 능력이 과학 교과와 전체 교과의 학업 성취 수준과 평가 유형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과학 탐구능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모두 실시한 초등학생 6학년 64명의 과학 성취도 평가, 과학 서술형 평가, 전체 교과의 성취도 평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은 범위를 어떻게 확대하고 있는가? 변화되는 사회에 대비한 교육의 역할로서 과학적인 소양을 갖춘 미래 시민을 육성하는 일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과학적 소양은 단순히 ‘과학 내용을 이해하는 기능과 지식(Koelsche, 1965)’ 에서 ‘일상생활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구성하는 데 요구되는 넓은 의미의 능력’과 ‘과학적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Yore, Bisanz, & Hand, 2003).
과학 교과에서의 학습자가 '기본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 교과에서의 학습자가 ‘기본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기존의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과학 개념을 형성화하고 구조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과학 개념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적 사실을 검토하여 사고와 추론을 통해서 유의미한 아이디어와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문명 발달 과정에서 교육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현대 사회의 괄목할 문명 발달은 인류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안겨주었고, 이는 의심할 바 없이 과학과 기술 분야의 발달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발달 과정에서 교육은 학습자에게 축적된 지식을 전수할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의 다양한 요구 속에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Soh & Woo,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2. Akerson, V. L., & Hanuscin, D. L. (2007). Teaching nature of science through inquiry: Results of a 3-yea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5), 653-680. 

  3. Bang, M. (2010).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Choi, W., Choi, B., & Lee, W. (1985).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gical thinking skills I.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5(1), 1-9. 

  5. Gagne, R. (1965). The psychological bases of science - a process approach.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6. Garvey, W. D., & Griffith, B. C. (1972).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scientific disciplines: Empirical findings for psycholog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8(3), 123-136. 

  7. Go, Y., & Yeo, S. (2011). Comparison of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Korea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624-633. 

  8. Holbrook, J., & Rannikmae, M. (2007).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1), 1347-1362. 

  9. Jeon, S. (2013). Develop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Jeon, S. (2014). A comparison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1), 149-164. 

  11. Kang, C. (2012).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science based on the 6th grader'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Kang, S., & Woo, J. (1995). A study on the cognitive levels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based on the cognitive style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4), 404-416. 

  13.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14. Kim, H.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the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Dealing with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5. Kim, K. (1999). A descriptive study on full and short version GALT.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Kim, Y., & Kim, S. (2009). A meta-analysis on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Meta-analysis of the researches between 1980 and 2000.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4), 437-499. 

  17. Kim, Y., & Lee,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thinking level and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of school science high achiever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4), 677-688. 

  18. Koelsche, C. L. (1965). Scientific literacy as related to the media of mass communic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65(8), 719-725. 

  19. Koh, S.-O.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the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Dealing with the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 Kwon, D., & Kwon, S. (2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uoyance related with cognitive levels. Journal of Korea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1), 131-143. 

  21. Kwon, J.-S., & Kim, B.-K.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4(3), 251-264. 

  22. Lee, J., & Kim, B.-K. (1996). Structural analysis among science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perception toward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3), 249-259. 

  23. Lee, M. (2007). An analysis 6th grade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 and understanding of data expression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Lee, Y. (1991).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thinking patterns and physics academic achievement of junior students in high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5.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55 Chestnut Street, Norwood, NJ 07648 (hardback: ISBN-0-89391-565-3; paperback: ISBN-0-89391-566-1)..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7. Okey, J. R. (1972). Goals for the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NASSP Bulletin, 56(360), 57-68. 

  28.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29. Osborne, J. (2007). Science education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3(3), 173-184. 

  30. Padilla, M. J., Okey J. R., & Dillashaw F. G.(1981).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 and formal thinking abilities. A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nnual Meeting. ERIC NO. ED 201 488. 

  31. Soh, W.-J., & Woo, J.-O. (1994).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gical thinking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4(3), 312-320. 

  32. Witkin, H. A. (1973). The Role of Cognitive Style in Academic Performance and in Teacher-Student Relations. Research Bullentin, Educational Testing Service, Princeton, NJ, 73-101. 

  33. Yore, L., Bisanz, G. L., & Hand, B. M. (2003). Examin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25 years of language arts and scienc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89-7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