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의 타당도 평가
Evaluation of Valid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1, 2019년, pp.26 - 35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옥종선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안수영 (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used data from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for 2016. The KTAS disposition and emergency treatment results for emergency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TAS의 응급환자 분류의 타당성을 검정하고자 하겠다. 즉 대상자의 최초 중증도 분류 결과(KTAS 분류 결과)에 따른 응급진료 결과(응급실 내 사망, 중환자실 입원, 병실 입원, 귀가)를 분석하여 민감도, 특이도 등의 예측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KTAS 분류결과에 따른 응급실 재실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전국의 권역 및 지역 응급의료센터급 이상의 기관에 2016년 1년 동안 내원한 성인 환자 사례 전수를 대상으로 KTAS의 예측타당도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권역 및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의무 적으로 KTAS를 사용한 시점인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국가응급진료 정보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을 통해 관련 자료가 공개된 1년 간 의 응급실 내원 사례 전체를 대상으로 KTAS의 예측타당도를 비롯한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KTAS 이용 및 분류 결과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응급진료 결과는 환자의 응급도 외에도 응급실 혼잡도, 자원 이용률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에서 가장 대표적인 간접지표로 사용되고 있다[22]. 이에 응급진료 결과를 이용하여 분류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CTAS를 이용하여 성인 응급환자 23,099명의 응급도를 분류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Jiménez 등[23]의 연구결과, 입원율(병실 입원과 중환자실 입원을 구분하지 않음)은 레벨 1, 2, 3, 4, 5 순으로 각각 5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환자 분류(Triage)이란 무엇인가? 응급환자 분류(Triage)는 응급실의 제한된 공간과 자원 안에서 정확한 선별을 통해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해주는 방법의 하나로서[4]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응급환자를 확인하기 위한 의사결정과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분류를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응급환자 분류 도구로 오스트리아의 Australian Triage Scale (ATS), 캐나다의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CTAS), 미국의 Emergency Severity Index (ESI), 영국의 Manchester Triage Scale (MTS) 등이 있다.
만 15세 이상을 기준으로 대상을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9%)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 15세 이상을 기준으로 대상 사례를 선정한 것은, 성인용 KTAS를 만 15세 이상의 응급실 방문자에게 적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개발 당시 소아 환자에 대한 델파이조사에서 소아의 해부생리학적 특성과 발달단계, 심리·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아 구분을 위한 연령 기준을 15세로 결정한 것[21]에 근거한 것이다.
응급실 과밀화 예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0개소(2016년)로 감소하였다[1]. 응급의료기관의 감소 및 응급실 이용자 수의 증가는 응급실 대기시간을 증가시키고 이용 가능한 의료자원의 적절한 이용을 저해함으로써 진료의 질을 저하시키며 나아가 환자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친다[2]. 따라서 응급실 과밀화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응급환자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Annual report of Korean emergency medicine.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7 Oct. Report No.: 11-1352000-001248-10. 

  2. Carter EJ, Pouch SM, Larson EL.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pati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4;46(2):106-115. https://doi.org/10.1111/jnu.12055 

  3. Fitzgerald G, Jelinek GA, Scott D, Gerdtz MF. Republished paper: Emergency department triage revisited.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10;86(1018):502-508. https://doi.org/10.1136/pgmj.2009.077081rep 

  4. Fernandes CM, Tanabe P, Gilboy N, Johnson LA, McNair RS, Rosenau AM, et al. Five-level triage: A report from the ACEP/ENA Five-level Triage Task Forc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5;31(1):39-50. https://doi.org/10.1016/j.jen.2004.11.002 

  5.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Emergency triage education kit [Internet].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3 [cited 2018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health.gov.au/internet/main/publishing.nsf/content/casemix-ed-triage+review+fact+sheet+documents 

  6. Beveridge R, Ducharme J, Janes L, Beaulieu S, Walter S. Reliability of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 Interrater agree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1999;34(2):155-159. https://doi.org/10.1016/S0196-0644(99)70223-4 

  7. Tanabe P, Travers D, Gilboy N, Rosenau A, Sierzega G, Rupp V, et al. Refining Emergency Severity Index triage criteria.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5;12(6):497-501. https://doi.org/10.1197/j.aem.2004.12.015 

  8. Mackway-Jones K, Marsden J, Windle J. Emergency triage: Manchester triage group. 3rd ed. Oxford: John Wiley & Sons; 2013. p. 185. 

  9.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statistics annual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7 Jul. Report No.:11-B552657-000007-10. 

  10.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enforcement regulations): Article 18-3 [Internet]. Sejong: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c2016-2018 [cited 2018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법령/응급의료에%20관한%20법률%20시행규칙. 

  11. Park J, Choi H, Kang B, Kim C, Kang H, Lim T.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ystems and scales; A first step towards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4;25(5):499-508.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adult/child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manual version 1.0 [Internet]. Sejong: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c2014 [cited 2018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1&research_id1351000-201400241&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한국형+중증%. 

  13. Lee I, Kim O, Kim C, Oh J, Lim T, Lee J, et al. Validity analysis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8;29(1):13-20. 

  14. Iserson KV, Moskop JC. Triage in medicine, part I: Concept, history, and type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7;49(3):275-281.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6.05.019 

  15. Bullard MJ, Musgrave E, Warren D, Unger B, Skeldon T, Grierson R, et al. Revisions to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 (CTAS) guidelines 2016. Canadian Jo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7;19(S2):S18-S27. https://doi.org/10.1017/cem.2017.365 

  16. Oh J. How do I us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Questionnaire survey for classification person in 1 year after Project. Paper presented at: 2017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Spring Conference; 2017 Apr 20-21; Gwangju, Korea. 

  17. Aeimchanbanjong K, Pandee U. Validation of different pediatric triage system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orld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7;8(3):223-227. https://doi.org/10.5847/wjem.j.1920-8642.2017.03.010 

  18. Zachariasse JM, Seiger N, Rood PPM, Alves CF, Freitas P, Smit FJ, et al. Validity of the Manchester Triage System in emergency car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PLoS One. 2017;12(2):e017081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0811 

  19. Lee JY, Oh SH, Peck EH, Lee JM, Park KN, Kim SH, et al. The validity of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predicting resource utilization and the need for immediate life-saving interventions in elderly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Scandinavian Journal of Trauma, Resuscitation and Emergency Medicine. 2011;19:68. https://doi.org/10.1186/1757-7241-19-68 

  20. Kim JH, Kim JW, Kim SY, Hong DY, Park SO, Baek KJ,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compare to triage by emergency severity index for emergency adult patient: Preliminary study in a tertiary hospital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6;27(5):436-441. 

  21. Shin JW, Lee SH, Lee DS, Kim HB, Jo YM, Bae BG, et al.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Five Level Pediatric Triage System implemented in a children’s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7;28(6):557-563. 

  22. Kuriyama A, Urushidani S, Nakayama T. Five-level Emergency Triage Systems: Variation in assessment of validity.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17;34(11):703-710. https://doi.org/10.1136/emermed-2016-206295 

  23. Jimenez JG, Murray MJ, Beveridge R, Pons JP, Cortes EA, Garrigos JBF, et al. Implementation of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 (CTAS) in the principality of Andorra: Can triage parameters serve as emergency department quality indicators?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03;5(5):315-322. 

  24. Eitel DR, Travers DA, Rosenau AM, Gilboy N, Wuerz RC.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triage algorithm version 2 is reliable and valid.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3;10(10):1070-1080. https://doi.org/10.1197/S1069-6563(03)00350-6 

  25. Martins HMG, Cuna LM, Freitas P. Is Manchester (MTS) more than a triage system? A study of its association with mortality and admission to a large Portuguese hospital.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09;26(3):183-186. https://doi.org/10.1136/emj.2008.060780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ndardization study of Emergency Triage System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c2012 [cited 2018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3&research_id1351000-201300160&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EC%9D%91%EA%B8%89&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pageUnit10&cond_order3. 

  27. Kennedy K, Aghababian RV, Gans L, Lewis CP. Triage: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decisionmaking.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1996;28(2):136-144. https://doi.org/10.1016/S0196-0644(96)70053-7 

  28.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enforcement regulations): Article 9 [Internet]. Sejong: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c2016-2018 [cited 2018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법령/응급의료에%20관한%20법률%20시행규칙. 

  29. Lim CY, Park SY, Park KH, Park HY, Kim JE. The predictive factors for hospitalization of nonurgent patients visiting an emergency department in an urban area: A single center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8;29(2):152-15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