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626 - 634  

문선희 (광주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간호학과) ,  심재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중증도 분류 정확도는 응급실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결과와 전문가의 true-triage결과와의 일치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따라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이 분석되었고, KTAS 등급과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의 연관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등급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weighted kappa=.77). 중증도 분류 불일치의 원인 중 활력징후 결과를 KTAS 알고리즘 기준에 잘 못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n=13). KTAS 1,2 등급과 같이 중증도가 높을수록 퇴원이 적었다(${\chi}=43.25$, p<.001). 연령을 보정했을 때 KTAS 등급에 따라 체류시간(F=12.39, p<.001)과 진료비(F=11.78, p<.001)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KTAS는 국내 응급실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새로 개발된 중증도 분류 도구가 국내 응급실에 잘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trospective study investigates the accuracy of triage procedures for pediatric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s (ED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The study includes 250 randomly selected initial nursing records and clinical outcomes of pediatric patients who visited on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간호사 의무기록의 법적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22], 간호초진기록지는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중증도 분류를 결정한 근거가 충분히 의무기록에 반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의무기록 분석의 방법을 선택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KTAS를 사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한 후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 같은 타당성 평가 지표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와의 중증도 분류 일치도는 excellent의 기준에 속하였고[19],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은 활력징후를 KTAS 알고리즘에 잘 못 적용한 오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전문가가 간호초진기록지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으로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환자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오류의 원인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응급간호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예측하기 힘든 일들이 자주 발생하는 응급실에서 내려진 의사결정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판단함으로 응급실 현장에서 이루어진 의사결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ld standard를 정하기 위해 실제 환자를 검진한 것이 아니라 의무기록을 분석했다는 단점이 있었다.
  • 한국에서 개발된 KTAS는 개발과 적용 기간이 다른 도구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아직 충분한 연구가 시행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KTAS를 적용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결과를 전문가 집단이 평가하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임상결과와 비교함으로 국내 응급실에서 소아 KTAS 적용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KTAS를 사용하고 있는 응급실에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과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선한다면 중증도가 높은 소아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처치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기존 신뢰도 연구에서는 단순히 두 평가가 간의 일치를 보았고, 두 평가자의 결과 중 하나를 gold standard로 정하기 위한 검증의 과정이 없었으므로 정확성에 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없었다[2,17]. 본 연구에서는 gold standard를 정하기 위해 엄격한 기준으로 전문가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전문가 간의 중증도 분류 결과에 관한 일치도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gold standard를 정함으로 응급실 간호사와 전문가의 중증도 분류 일치도로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정확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는지의 평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전문가가 간호초진기록지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으로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환자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오류의 원인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응급간호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응급실에 방문한 소아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gold standard를 정하기 위해 엄격한 기준으로 전문가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전문가 간의 중증도 분류 결과에 관한 일치도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gold standard를 정함으로 응급실 간호사와 전문가의 중증도 분류 일치도로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해 조사연구의 연구자료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 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 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소아의 경우 중증도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중증도 분류 정확성과 함께 중증도 분 류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소아의 경우 가장 빈번한 원인은 활력징후의 적용의 오류였다. 소아의 경우 같은 체온이라 하더라고 개월에 따라 중증도 분류 기준이 다 르고, 면역억제상태, 외양 판단에 등의 추가 내용을 고려 하여 중증도를 결정해야 한다[11]. 또한 혈압, 호흡수, 맥박의 정상범위가 연령별로 상이하여 도구 적용 시 오 류가 많았을 것이다.
정확한 중 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는지의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33 11.78 c>d Abbreviations: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ore, £: Adjusted by age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631 4. 논의 응급실에서 중증도 분류는 국내외적으로 대부분 간호 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의 위급함 정도를 신 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간호사의 의사결정이 환자의 안전을 좌우하게 된다[4,6,10,12,20]. 따라서 정확한 중 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는지의 평가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Mohiuddin, J Busby, J Savovic, A Richards, K Northstone, W Hollingworth, JL Donovan, C Vasilakis, "Patient flow within UK emergency departmen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use of computer simulation modelling methods", BMJ Open, Vol.7, No.5 pp. e015007, 2017. DOI: https://doi.org/10.1136/bmjopen-2016-015007 

  2. M Christ., F Grossmann., D Winter, R Bingisser, E Platz, "Modern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Vol.107, No.50 pp. 892-8, 2010. DOI: https://doi.org/10.3238/arztebl.2010.0892 

  3. EF Lahdet, BO Suserud, A Jonsson, L Lundberg, "Analysis of triage worldwide", Emergency Nurse, Vol.17, No.4 pp. 16-19, 2009. 

  4. SH Moon, YH Park, "Concept Analysis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ing",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10, No.3 pp. 41-52, 2017. 

  5. A Mirhaghi, A Heydari, R Mazlom, M Ebrahimi, "The reliability of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meta-analysis", North Americ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7, No.7 pp. 299-305, 2015. DOI: https://doi.org/10.4103/1947-2714.161243 

  6. JB Park, HJ Choi, BS Kang, CS Kim, HG Kang, TH Lim,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ystems and scales: A first step towards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25, No.5 pp. 499-508, 2014. 

  7.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alidity and Reliability Report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Available from: http://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research_id1351000-201400241 (accessed Apr., 1, 2018) 

  8. JS Kim, "Main contents of improvement of emergency medical system",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ilcy Brief, Vol.9, No.4 pp. 11-16, 2015. 

  9. N Farrohknia, M Castren, M Ehrenberg, L Lind, S Oredsson, H Jonsson, K Asplund, KE Goransso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cales and their componen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 Scandinavian Journal of Trauma, Resuscitation and Emergency Medicine, Vol.19, No.1 pp. 42, 2011. DOI: https://doi.org/10.1186/1757-7241-19-42 

  10. RW Derlet, RM McNamara, AA Kazzi, JR Richards,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loss of medical licensure: a new risk of patient care in hallways",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15, No.2 pp. 137, 2014. DOI: https://doi.org/10.5811/westjem.2013.11.18645 

  11.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Committe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manual Version 1.0 [Internet]. Seoul: KTAS National Working Group, 2014,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1&research_id1351000-201400241&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EC%A4%91%EC%A6%9D%EB%8F%84+%EB%B6%84%EB%A5%98&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pageUnit10&cond_order3 (accessed Jun, 1, 2018) 

  12. T Horeczko, B Enriquez, B, NE McGrath, M Gausche-Hill, RJ Lewis, "The Pediatric Assessment Triangle: accuracy of its application by nurses in the triage of children",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39, No.2 pp. 182-189, 2013. DOI: https://doi.org/10.1016/j.jen.2011.12.020 

  13. J Gravel, S Manzano, M Arsenault, "Validity of the Canadian Paediatric Triage and Acuity Scale in a tertiary care hospital",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11, No.1 pp. 23-28, 2009. DOI: https://doi.org/10.1017/s1481803500010885 

  14. W Ma, A Gafni, RD Goldman, "Correlation of the Canadian pediatric emergency triage and acuity scale to ED resource utiliz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26, No.8 pp.893-897, 2008. DOI: https://doi.org/10.1016/j.ajem.2008.02.024 

  15. S Gouin, J Gravel, DK Amre, S Bergeron, "Evaluation of the Paediatric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a pediatric ED",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23, No.3 pp. 243-247, 2005. DOI: https://doi.org/10.1016/j.ajem.2004.02.046 

  16. JW Shin, SH Lee, DS Lee, HB Kim, YM Jo, BG Bae, IJ Wang, MR Park,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Five Level Pediatric Triage System Implemented in a Children's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28, No.6 pp. 557-563, 2017. 

  17. JY Kim, DY Hong, SY Kim, JW Kim, SO Park, KR Lee, KJ Baek, "Reliability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based Triage System as a Severity Index in Emergency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28, No.6 pp. 552-56, 2017. 

  18. KS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pp. 1-201, 2000. 

  19. DV Cicchetti, "Guidelines, criteria, and rules of thumb for evaluating normed and standardized assessment instruments in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Vol.6, No.4 pp. 284-90, 1994. DOI: https://doi.org/10.1037/1040-3590.6.4.284 

  20.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Triage qualifications [Internet]. Des Plaines (I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c2011, Available from: https://www.ena.org/docs/default-source/resource-library/practice-resources/position-statements/triagequalificationscompetency.pdf?sfvrsna0bbc268_8, (accessed Jun, 10, 2018) 

  21. ES Lang, BH Rowe. Evidence-Based Emergency Medicine. p.58-65, Chichester: BMJ Books, 2011. 

  22. M Hongxiang, Y Zhicai, "Law Problems One Should Pay Attention to in Writing Nursing Document After the Regulations for Handling Medical Treatment Accidents", Put Into Effect, Vol.3, 200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