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
Serum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as a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Adults Me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1, 2019년, pp.42 - 49  

김명수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신경아 (신성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요산과 비교하여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수도권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남성 14,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의 기준에 따라 5가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 대사증후군을 평가하였으며, 이 중 복부비만은 WHO 서태평양지역의 기준에 따랐다. 이 연구결과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은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ROC 분석 결과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은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에 있어 혈청 요산치보다 더 유용한 지표는 아니었으며(AUC, 0.554 vs 0.566), 요산치보다 낮은 민감도와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한 결과 대사증후군 위험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지표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보조적인 표지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utility of the serum uric acid/creatinine ratio with that of uric acid as a risk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From November 2016 to October 2018, 14,190 adult men under the age of 20 years, who underwent a comprehensive health checkup at a general hospital in their met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이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은 4사분위수가 1사분위수보다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요산과 비교하여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수도권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남성 14,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곡선 분석을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요산과 비교하여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Data are mean±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 분석으로 알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곡선 분석을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인자로서 요산과 비교하여 혈청 요산/크레아티닌 비율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혈청 요산 증가와 비슷하게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혈청 크레아티닌은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의 변화를 발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초기 만성 콩팥질환을 진단하는 생리적 지표이다[12]. 또한 크레아티닌 증가는 심혈관 질환, 비만 및 고혈압, 대사증후군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다[13, 14]. 유사하게, 혈청 요산 증가는 콩팥기능의 감소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15, 16].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 위험도 증가, 심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대사 이상을 의미하며,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에는 복부비만, 고중성지방 혈증 및 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HDL-C)혈증을 포함한 이상지질혈증, 혈압상승, 공복 혈당장애 가 포함된다[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의 Adult Treatment Panel (ATP) III, 국제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및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제안한 대사증후군의 정의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인슐린 저항성과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 발병 진행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Donato KA,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120:1640-1645.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644. 

  2.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285:2486-2497. 

  3. Alberti KG, Zimmet P, Shaw J, IDF Epidemiology Task Force Consensus Group. The metabolic syndrome-a new worldwide definition. Lancet. 2005;366:1059-1062. 

  4. Alberti KG, Zimmet PZ.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Part 1: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rovisional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Diabet Med. 1998;15:539-553. https://doi.org/10.1002/(SICI)1096-9136(199807)15:7 3.0.CO;2-S. 

  5. Alberti KG, Zimmet P, Shaw J. Metabolic syndrome-a new world-wide definition.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 Med. 2006;23:469-480. https://doi.org/10.1111/j.1464-5491.2006.01858.x. 

  6. Shin KA.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exercise capacity and heart rate recovery after treadmill exercise test. J Exp Biomed Sci. 2011;17:305-311. 

  7. Shin KA. Association between resting heart rat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5;10: 305-316. 

  8. Shin KA.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ulmonary function in nonsmoker mal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 313-321. http://doi.org/10.5392/JKCA.2014.14.12.313. 

  9. Shin KA.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in abdominal obesity elderly women. Korean J Clin Lab Sci. 2017;49:121-127.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2.121. 

  10. Thomas G, Sehgal AR, Kashyap SR, Srinivas TR, Kirwan JP, Navaneethan SD. Metabolic syndrome and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J Am Soc Nephrol. 2011;6:2364-2373. https://doi.org/10.2215/CJN.02180311. 

  11. Al-Daghri NM, Al-Attas OS, Wani K, Sabico S, Alokail MS. Serum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audi type 2 diabetic patients. Sci Rep. 2017;7:12104. https://doi.org/10.1038/s41598-017-12085-0. 

  12. Dalton RN. Serum creatinin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perception and reality. Clin Chem. 2010;56:687-689. https://doi.org/10.1373/clinchem.2010.144261. 

  13. Muntner P, He J, Hamm L, Loria C, Whelton PK. Renal insufficiency and subsequent death resulting from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J Am Soc Nephrol. 2002;13:745-753. 

  14. Chang IH, Han JH, Myung SC, Kwak KW, Kim TH, Park SW,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Korean population. Nephrology (Carlton). 2009;14:321-326. https://doi.org/10.1111/j.1440-1797.2009.01091.x. 

  15. Johnson RJ, Feig DI, Herrera-Acosta J, Kang DH. Resurrection of uric acid as a causal risk factor in essential hypertension. Hypertension. 2005;45:18-20. https://doi.org/10.1161/01.HYP.0000150785.39055.e8. 

  16. Nakagawa T, Hu H, Zharikov S, Tuttle KR, Short RA, Glushakova O, et al. A causal role for uric acid in fructose-induced metabolic syndrome. Am J Physiol Renal Physiol. 2006;290:F625-F631. https://doi.org/10.1152/ajprenal.00140.2005. 

  17. Johnson RJ, Kang DH, Feig D, Kivlighn S, Kanellis J, Watanabe S, et al. Is there a pathogenetic role for uric acid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and renal disease? Hypertension. 2003;41:1183-1190. https://doi.org/10.1161/01.HYP.0000069700.62727.C5. 

  18. Quinones Galvan A, Natali A, Baldi S, Frascerra S, Sanna G, Ciociaro D, et al. Effect of insulin on uric acid excretion in humans. Am J Physiol. 1995;268(1 Pt 1):E1-5. https://doi.org/10.1152/ajpendo.1995.268.1.E1. 

  19. Gu L, Huang L, Wu H, Lou Q, Bian R. Serum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A predictor of incident chronic kidney diseas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preserved kidney function. Diab Vasc Dis Res. 2017;14:221-225. https://doi.org/10.1177/1479164116680318. 

  20. Shin SR, Han AL.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Korean J Health Promot. 2018;18:113-118. https://doi.org/10.15384/kjhp.2018.18.3.113. 

  21.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112:2735-2752.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5.169404.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International Diabetes Institut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e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cited 2019 February 16].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docs/Redefiningobesity.pdf. 

  23. Rathmann W, Funkhouser E, Dyer AR, Roseman JM. Relations of hyperuricemia with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young black and white adults: the CARDIA study.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Ann Epidemiol. 1998;8:250-261. 

  24. Conen D, Wietlisbach V, Bovet P, Shamlaye C, Riesen W, Paccaud F, et al. Prevalence of hyperuricemia and relation of serum uric aci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 developing country. BMC Public Health. 2004;4:9. https://doi.org/10.1186/1471-2458-4-9. 

  25. Kodama S, Saito K, Yachi Y, Asumi M, Sugawara A, Totsuka K, et al. Associ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9;32:1737-1742. https://doi.org/10.2337/dc09-0288. 

  26. Zhang L, Wang F, Wang X, Liu L, Wang H.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uric acid and renal function decline in a Chinese population-based cohort. Nephrol Dial Transplant. 2012;27:1836-1839. https://doi.org/10.1093/ndt/gfr597. 

  27. Zoppini G, Targher G, Chonchol M, Ortalda V, Abaterusso C, Pichiri I, et al. Serum uric acid levels and incident chronic kidney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preserved kidney function. Diabetes Care. 2012;35:99-104. https://doi.org/10.2337/dc11-1346. 

  28. Goicoechea M, de Vinuesa SG, Verdalles U, Ruiz-Caro C, Ampuero J, Rincon A, et al. Effect of allopurinol in chronic kidney disease progression and cardiovascular risk. Clin J Am Soc Nephrol. 2010;5:1388-1393. https://doi.org/10.2215/CJN.01580210. 

  29. Madero M, Sarnak MJ, Wang X, Greene T, Beck GJ, Kusek JW, et al. Uric acid and long-term outcomes in CKD. Am J Kidney Dis. 2009;53:796-803. https://doi.org/10.1053/j.ajkd.2008.12.021. 

  30. Sturm G, Kollerits B, Neyer U, Ritz E, Kronenberg F; MMKD Study Group. Uric acid as a risk factor for progression of non-diabetic chronic kidney disease? the Mild to Moderate Kidney Disease (MMKD) Study. Exp Gerontol. 2008;43:347-352. https://doi.org/10.1016/j.exger.2008.01.006. 

  31. Jalal DI, Chonchol M, Chen W, Targher G. Uric acid as a target of therapy in CKD. Am J Kidney Dis. 2013;61:134-146. https://doi.org/10.1053/j.ajkd.2012.07.021. 

  32. Jalal DI, Maahs DM, Hovind P, Nakagawa T. Uric acid as a mediator of diabetic nephropathy. Semin Nephrol. 2011;31:459-465. https://doi.org/10.1016/j.semnephrol.2011.08.011. 

  33. Facchini F, Chen YD, Hollenbeck CB, Reaven GM.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insulin-mediated glucose uptake, urinary uric acid clearance, and plasma uric acid concentration. JAMA. 1991;266:3008-3011. 

  34. Li M, Gu L, Yang J, Lou Q. Serum uric acid to creatinine ratio correlates with ${\beta}$ -cell function in type 2 diabetes. Diabetes Metab Res Rev. 2018;34:e3001. https://doi.org/10.1002/dmrr.3001. 

  35. Shin KA.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uric acid and resting heart rate in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Biomed Sci Letters. 2017;23:118-127. https://doi.org/10.15616/BSL.2017.23.2.118. 

  36. Lee CH, Sung NY. The prevalence and features of Korean gout patients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atabase. J Rheum Dis. 2011;18:94-100. https://doi.org/10.4078/jrd.2011.18.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