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호흡물리치료에 대한 효과 -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Effect of Cardiopulmonary Physiotherapy on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1, 2019년, pp.63 - 73  

강나윤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범석 (을지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민희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physiotherapy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metabolism, inflammatory mark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Electronic bibliographic data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자 중 PCI 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운동기반의 심장호흡물리치료를 중점으로 환자의 심폐기능, 혈중지질, 염증 표식자,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의 PCI환자에게 적용된 심장호흡물리치료가 심폐기능, 혈중지질, 염증 표식자,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I 시술 이후 나타나는 문제점은? 하지만 PCI 시술 이후에도 관상동맥질환자의 사망률이 높다. PCI 시술 이후 일반인보다 돌연사의 위험이 4-6배 높고, 치료 이후에 재협착을 포함한 심질환 재발이 시술 환자의 약 30~50%에서 발생된다[2]. 심질환이 다시 재발하는 경우 사망률이 60~85%로 훨씬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금연, 콜레스테롤 혈당 조절, 운동 등 생활 습관 개선과 경구 항혈소판 요법과 같은 약물적 요법 중 더 유효한 것은? 관상동맥 질환자에게 적용되는 비침습적 치료로는 금연, 콜레스테롤 혈당 조절, 운동 등 생활 습관 개선과 경구 항혈소판 요법과 같은 약물적 요법 등이 있다[4]. 여러 연구에서 심장재활에서 스타틴(statin)계열의 약물 사용보다 운동프로그램이 염증의 물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6]. 최근 관상동맥질환의 모든 과정이 최근에는 염증으로부터 기인된다고 알려져 있다[7].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방법의 종류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줄어든 신체 활동 및 스트레스의 증가로 심혈관 질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한국의 10대 사망원인 중 3위이며,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방법에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과 관상동맥 우회로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ABG)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관상동맥 시술건수를 보면 PCI 시술이 CABG 시술보다 약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EH. Patient's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est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aster's Degree. Hanyang University. 2015. 

  2. Son YJ.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integrated symptom management program for prevention of recurrent cardiac ev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aehan Kanho Hakhoe Chi. 2008;38(2): 217-28. 

  3. Brorsson B, Bernstein SJ, Brook RH, et al.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stable angina before and four years after coronary revascularisation compared with a normal population. Heart. 2002;87(2):140-5. 

  4. Jung DY. The Impact of Pharmacist-initiated Interventions in Improving patient care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2015. 

  5. Goldhammer E, Tanchilevitch A, Maor I, et al. Exercise training modulates cytokines activ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Int J Cardiol. 2005;100(1): 93-9. 

  6. Konig D, Deibert P, Winkler K, et al. Association between LDL-cholesterol, statin therapy, physical activity and inflammatory markers in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heart disease. Exerc Immunol Rev. 2005;11:97-107. 

  7. Libby P. Inflammation in atherosclerosis. Nature. 2002;420(6917):868-74. 

  8. Ridker PM.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potential adjunct for global risk assessment i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1;103(13):1813-8. 

  9. Kavanagh T, Mertens DJ, Hamm LF, et al. Peak oxygen intake and cardiac mortality in women referred for cardiac rehabilitation. J Am Coll Cardiol. 2003;42(12): 2139-43. 

  10. Taylor RS, Brown A, Ebrahim S, et al. Exercise-based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Med. 2004;116(10):682-92. 

  11. Dugmore LD, Tipson RJ, Phillips MH, et al. Changes in cardiorespiratory fitness, psychologic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vocational status following a 12 month cardiac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me. Heart. 1999;81(4):359-66. 

  12. Banz WJ, Maher MA, Thompson WG, et al. Effects of resistance versus aerobic training on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factors. Exp Biol Med (Maywood). 2003;228(4): 434-40. 

  13. Yu NH, Kim SS. The Effect of the Aerobic Training on Performance and Blood Chemistry in Patients with Heart Disease. The Journal of Sports Science. 2001;19:103-11. 

  14. Aldana SG, Whitmer WR, Greenlaw R, et al. Effect of intense lifestyle modification and cardiac rehabilitation on psychosoci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Behav Modif. 2006;30(4):507-25. 

  15. Kotseva K, Wood D, Backer GD, et al. EUROASPIRE III: a survey on the lifestyle, risk factors and use of cardioprotective drug therapies in coronary patients from 22 Eur J Prev Cardiol. 2009;16(2):121-37. 

  16. Kim C, Lim HS, Ahn JK, et al. The reasons that cardiac patients did not participate in and drop out from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J Korean Acad Rehabil Med. 2002;26(6):790-6. 

  17. Byun W, Ozemek C, Riggin K, et al. Correlates of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in cardiac patients. Cardiovasc Diagn Ther. 2014;4(5):406-10. 

  18. Halewijn G, Deckers J, Tay HY, et al. Lessons from contemporary trials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Cardiol. 2017;232:294-303. 

  1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20. Aro A, Soimakallio S, Voutilainen E, et al. Serum lipoprotein lipid and apoprotein levels as indicators of the severity of angiographically assessed coronary artery disease. Atherosclerosis. 1986;62(3):219-25. 

  21. Leon AS, Franklin BA, Costa F, et al. Cardiac rehabilitation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Subcommittee on Exercise, Cardiac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and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Subcommittee on Physical Activ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Circulation. 2005;111(3):369-76. 

  22. Haskell WL.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human plasma. Exerc Sport Sci Rev. 1984;12(1):205-44. 

  23. Bickel C, Rupprecht HJ, Blankenberg S, et al. Relation of markers of inflammation (C-reactive protein, fibrinogen, von Willebrand factor, and leukocyte count) and statin therapy to long-term mortality in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2002;89(8):901-8. 

  24. Goldberg L, Elliot DL, Schutz RW, et al. Changes in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after weight training. Jama. 1984;252(4):504-6. 

  25. Ridker PM, Rifai N, Pfeffer MA, et al. Long-term effects of pravastatin on plasma concentration of C-reactive protein. CARE Investigators. Circulation. 1999; 100(3):230-5. 

  26. Geffken DF, Cushman M, Burke GL, et al.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arkers of inflammation in a healthy elderly population. Am J Epidemiol. 2001;153(3):242-50. 

  27. Testa MA, DC Simonson. Assessment of quality-of-life outcomes. N Engl J Med. 1996;334(13):835-40. 

  28. Rosenwinkel ET, Bloomfield DM, Arwady MA, et al. Exercise and autonomic function in heal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l Clin. 2001;19(3):369-87. 

  29. Stewart KJ, Turner KL, Bacher AC, et al. Are fitness, activity, and fatnes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od in older persons? J Cardiopulm Rehabil. 2003;23(2):115-21. 

  30. Moldover JR, J Stein Cardiopulmonary physiology-The physiologic basi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nd: Stonhem: Butterworth-Heinemann. 1994. 

  31. Foss ML, Steven JK. Fox's physiological basis for exercise and sport: William C. Brown. 19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