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參湯) 투여 후 호전된 과다수면장애 1례 임상 보고
A Case Report: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Hypersomnolence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11 no.1, 2019년, pp.63 - 71  

박재경 (힘찬걸음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case report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hypersomnolence. Methods : A 33-year-old woman complained of hypersomnolence with fatigue and lack of concentration in the daytime. According to the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DPIDS), the p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는 『傷寒論』 辨病診斷體系에 따라 과도한 주간 졸림 증상(EDS)을 호소하는 환자를 白虎加人參湯으로 진단하여 투약 30일 후 호전 반응을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따라서 본 증례는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 환자의 상태를『傷寒論』 辨病診斷體系에 따라 太陽病 結胷 169번 條文으로 진단하여 白虎加人參湯을 투약하여 다른 한의학적, 서양의학적 중재를 동반하지 않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환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전체 수면 시간이 24시간 중 9시간 혹은 그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으로 피곤하고 졸려서 밤에 정상적으로 잠을 잔 이후에도 낮잠을 필요로 한다. 이 환자들은 아침에 깨 것이 힘들고 비틀거린다. 지남력, 기억 그리고 각성에 특이한 문제가 있다.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환자들은 야간에 긴 시간 잠을 자지만 숙면을 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고 종종 호소하기도 한다.
주간 졸림 증상(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이란 무엇인가? 과도한 주간 졸림 증상(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은 임상에서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미국수면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에 따르면 EDS를 '깨어 있으려고 하지만 각성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거나 과도하게 많이 자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1). 과도한 주간 졸림 증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수면 부족이고, 그 외에도 수면-각성을 조절하는 항상성 장애,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수면 관련 운동장애 등이 원인이다2).
과도한 주간 졸림 증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미국수면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에 따르면 EDS를 '깨어 있으려고 하지만 각성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거나 과도하게 많이 자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1). 과도한 주간 졸림 증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수면 부족이고, 그 외에도 수면-각성을 조절하는 항상성 장애,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수면 관련 운동장애 등이 원인이다2). 그 중 7시간 이상 수면 이후에도 낮 시간에 심한 졸림을 호소하거나, 반복적으로 매일 낮잠을 자거나, 온전히 잠에서 깨어 있는 것이 어렵거나, 야간에 9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지만 숙면을 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잠을 자고 나서도 개운하지 않은 상태를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라고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Diagnostic and coding manuall, revised. Rochester (MN). American Sleep Disorder Association. 1997. 

  2. Shin YK, Hong SC.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J Korean Med Assoc. 2008 ; 51(3) : 244-52. 

  3. Morrison James. DSM-5 Made Easy : The clinician's Guide to Diagnosis. Guilford Publications, Inc. 2014 : 308-29. 

  4. Lee DK, Son AH, Kang MJ, Shin HS. Case Report of a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Patient with Hypersomnia Disorder.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6 ; 37(2) : 189-95. 

  5. OH BY, Kim MS, Yu BC, Kim JK, Shim JC, Kim JW, Kim YS, Young C, Seol IC. The Effect of YukMiGiHwang-Tang on Idiopathic Hypersomnia.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4 ; 25(04) : 383-90. 

  6. Moon JJ. Interpretation of Shanghanlun. Korean medicine publish. 2010 : 104-7. 

  7. Kim EH, Park JH. A Study on Building a Database of Prescription and Herbs on the Shanghanron.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2010 ; 35(4) : 17-23. 

  8. Kim Jina, Lee Sungjun. Shanghanlun Diagnostic System : Exploring Value as Narrative Medicine by Analyzing Cases. The Journal of KMediACS. 2014 ; 6(1) : 1-25. 

  9. Joo SJ, Shin C, Kim JK, Yi HR, Ahn YK, Park MK, Kim, JH, Lee SD.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2005 ; 59(4) : 433-40. 

  10. Lee SI. Comparison of Shanghanlun. Seoul : KMediACs publishing house. 2015 : 24,28,203. 

  11. Otsuka G. Explanation of Shanhanlun. Euibang publish. 2004 : 38-9,72-4. 

  12. Park KM, Choi SH. The comparative study of Sanghanron and hwangjenaegyeong through historical study on Gangpyung.Sanghanron. J. Korean Medical Classics. 1995 ; 9 : 263-300. 

  13. Moon K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isinterpretations about Chinese Bronze Characters. Journal of regional culture research. 2013 ; 12 : 181-218. 

  14. Johns MW. A new method of measuring sleepiness :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 ; 14 : 540-5. 

  15. Lee SJ, Kim NG. A Case Report of Psoriasis treated by Bekhogainsam-tang. The Journal of KMediACS. 2015 ; 7(1) : 21-7. 

  16. Hwangbo M, Jeong MJ, Seo HS. A Case Report of Child with Alopecia Areata.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12 ; 26(2) : 47-52. 

  17. Park SG, Jo EH, Choi HG, Hong JE, Park MC.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Baekho-tang and Baekhogainsam-tang through Skin Disease Cas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19 ; 27(2) : 179-87. 

  18. Kim JW, Jeong SH, Jeong SH, Shin GC, Lee WC. Oriental Treated One case of Hydrodipsomania in Elderly Diabetic Patient with Backhogainsam-tang.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2003 ; 4(1) : 79-84. 

  19. Lee SJ, Lim JE.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 : 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20. Ha YS. Hanjaeowonsajeon. Pusan : Doseochulpan3. 2015 : 243,2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