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이 인지기능 회복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Recovery and CNS Plasticity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2, 2019년, pp.23 - 31  

김석범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동현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로 인지기능중추신경계 가소성의 한 지표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치매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하지 않은 실험군I과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한 실험군II으로 구성하였다. 과제지향 훈련은 앞발의 뻗기, 잡기, 옮기기를 적용하였고 장애물 보행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기억력의 측정에 정량화된 수동회피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변화는 아세틸콜린의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을 실시한 후 4일부터 인지 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00). 둘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 적용한 과제지향 훈련은 아세틸콜린 함량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00).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중재 중 임상에서 노인성 치매환자에게 많이 수행하고 있는 과제지향 훈련을 치매모델 쥐에게 수행함으로서 기억력 개선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아세틸콜린의 함량 증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eatedly conduct task-oriented training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and as a result observe changes in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a marker of cognitive function and central nervous system plasticity, to identify the improvement effect of de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중재에서 경증 치매환자에게 적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과제지향 훈련을 통한 과제수행이 기억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억력 행동검사인 수동회피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중추신경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뇌조직의 아세틸콜린 함량 변화를 통하여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모델 쥐에게 작업치료 중재인 과제수행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로 인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한 지표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치매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바닥 앞뇌(basal forebrain)와 뇌줄기에서 상행하는 콜린성 체계의 기능부전과 대뇌겉질에서의 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소실은 인지기능 감소의 기본으로 제안된다(Bartus, Dean, Beer, 198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콜린성 체계의 기능회복과 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통한 중추신경계 가소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뇌조직의 아세틸콜린 함량 변화를 검사하였다. 그리고 작업치료의 과제지향 훈련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노인성 치매의 경우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가 있지만 그 효과는 과학적 입증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중재 중 임상에서 노인성 치매환자에게 많이 수행하고 있는 과제지향 훈련의 과제수행을 치매모델 쥐에게 수행함으로서 기억력 개선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아세틸콜린의 함량 증가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자료는 향후 치매의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과학적 근거마련과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로 인지기능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한 지표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치매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하지 않은 실험군I과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한 실험군II으로 구성하였다.
한국의 고령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한국의 고령화는 타국보다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중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86.7%로 나타났다(Kim, Lee, Lee, Lee, Lee, 2019). 이 중 정신질환에 속하는 치매의 유병률은 2018년 기준으로 노인인구의 10%를 넘겼고 그 수는 75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뇌에 콜린아세틸트렌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와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소실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더욱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플라크의 증가와 인지감소가 콜린아세틸트렌스퍼라제 활성의 감소와 관계가 있다고 밝혀졌다(Perry, Tomlinson, Blessed, 1978).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은 기억과 인지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지 손상 정도에 따라 9%에서 33% 범위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의 감소가 있었으며 콜린성 체계의 장애는 일화 기억보다는 작업기억과 집중에 관련 있다(Kadir, Almkvist, Wal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Arlington, U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 Arya, K. N., Verma, R., Garg, R. K., Sharma, V. P., Agarwal, M., & Aggarwal, G. G. (2012). Meaningful task-specific training(MTST) for stroke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9(3), 193-211. 

  3. Bartus, R. T., Dean, R. L., Beer, B., & Lippa, A.S. (1982).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geriatric memory dysfunction. Science, 217, 408-414. 

  4. Bass-Haugen, J., Mathiowetz, V., & Flinn, N. (2008). Optimizing motor behavior using the occupational therapy task-oriented approach. In M. V. Radomski & C. A. Trombly Latham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 pp. 598-617).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Boer, C., Pel, J. M., Steen, J., & Mattace-Raso, F. (2015) Delays in manual reaching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functional abilities in early dementia patients. Dementia Geriatr Cogn Disord., 40, 63-71. 

  6. Connolly, N. K., & Williams, M. E. (1993). Plaques and tangles in approaching dementia. Gerontologist, 33, 133-135. 

  7. Dick, M. B. (1992). Motor and procedural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In L. Backman(Ed). Memory functioning in dementia. 135-152. Amsterdam: North-Holland. 

  8. Fan, Y., Hu, J., Li, J., Yang, Z., Xin, X., Wang, J., Ding, J., & Geng, M. (2005). Effect of acidic loigosaccharide sugar chain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and its related mechanisms. Neurosci. Lett., 374, 222-226 

  9. Ferri, C. P., et al. (2005).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a Delphi consensus study. Lancet, 366, 2112-2117. 

  10. Franssen, E. H., Reisberg, B., Kluger, A., Sinaiko, E., & Boja, C. (1991). Cognition-independent neurologic symptoms in normal aging and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rch Neurol., 48, 148-154. 

  11. Giovannini, M. G., Casamenti, F., & Bartolini, L. (1997). The brain cholinergic system as a target of cognition enhancers. Behav. Brain Res., 83, 1-5. 

  12. Gitlin, L. N., Corcoran, M., Winter, L., Boyce, A., & Hauck, W. W. (2001). A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home environmental intervention effect on efficacy and upset incaregivers and on daily function of person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41(1), 4-14. 

  13. Hestrin, S. (1949). Thereaction of acetylcholine and other carboxylic and derivatives with hydroxylamine and its analytical application. J. Biol Chem., 180, 249-261. 

  14. Howes, M. J. R., & Perry, E. (2011). The role of phytochemical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Drugs Aging, 28(6), 439-468. 

  15. Jacobs, J. I., Van Boxtel, M. P., Jolles, J., Verhey, F. R., & Uylings, H. B. (2012) Parietal cortex matters in Alzheimer's disease: an overview of structural, functional and metabolic findings. Neurosci Biobehav Rev., 36, 297-309. 

  16. Kadir, A., Almkvist, O., & Wall, A. (2006). PET imaging of cortical 11C-nicotine binding correlates with the cognitive function of attention in Alzheimer’s disease. Psychopharmacology, 188, 509-520. 

  17. Karch, C. M., Jeng, A. T., Nowotny, P., Cady, J., Cruchaga, C., & Goate, A. M. (2012). Expression of novel Alzheimer’s disease risk genes in control and Alzheimer’s disease brains. PloS one, 7(11), e50976. 

  18. Kielhofner, G. (1992). Conceptual foundation of occupational therapy(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o. 

  19. Kim, D. R., Lee, S. Y., Lee, S. H., Lee, Y. J., & Lee, Y. J. (2019).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older adults with demetia: focusing on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ageism.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373-381. 

  20. Kovacs, G. G., Alafuzoff, I., Al-Sarraj, S., et al. (2008). Mixed brain pathologiesin dementia: The BrainNet Europeconsortium experience. Dement Geriatr Cogn Disord., 26(4), 343-350. 

  21. Land, M. F. (2006). Eye movements and the control of actions in everyday life. Prog Retin Eye Res., 25, 296-324. 

  22. Mathew, A., yoshida, Y., Maekawa, T., & Sakthi Kumar, D. (2011). Alzheimer's disease: Cholesterol a menace? Brain Res Bull., 86, 1-12. 

  23. Murphy, S. L., Williams, C. S., & Gill, T. M. (2002).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fear of falling and activity restriction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s. J Am Geriatr Soc., 50, 516-520. 

  24. Perry R. J., Hodges J. R. (1999). Attention and executive deficits in Alzheimer’s disease: a critical review. Brain, 122, 383-404. 

  25. Perry, E. K. (1986). The cholinergic hypothesis - ten years on. Br Med Bull, 42, 63-69. 

  26. Perry, E. K., Tomlinson, B. E., & Blessed, G. (1978). Correlation of cholinergic abnormalities with senile plaques and mental test scores in senile dementia. Br Med J., 2, 1457-1459. 

  27. Pettersson, A. F., Engardt, M., & Wahlund, L. O. (2002). Activity level and balance in subjec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ord., 13, 213-216. 

  28. Pierrot-Deseilligny, C., Milea, D., & Muri, R. M. (2004). Eye movement control by the cerebral cortex. Curr Opin Neurol., 17, 17-25. 

  29. Richards C. L., Malouin F., Wood-Dauphinee S., Williams J. I., Bouchard J. P., Brunet D. (1993). Task-specific physical therapy for optimization of gait recovery in acute stroke patients. Am Congr Rehabil Med Am Acad Phys Med Rehabil., 74, 612-620. 

  30. Schliebs, R., & Arendt, T. (2011). The cholinergic system in agingand neuronal degeneration. Behav Brain Res., 221, 555-563. 

  31. Selkoe, D. J. (2001). Alzheimer's disease: genes, proteins, and therapy. Physiol. Rew., 81, 741-766. 

  32. Thomas, V. S. (2001). Excess functional disability among demented subjects? Finding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Dement Geriatr Cogn Disord., 12, 206-210. 

  33. Van der Zee, E. A., Biemans, B. A. M., Gerkema, M. P. & Daan, S. (2004). Habituation to a test apparatus during as sociative learning is sufficient to enhance muscarinic acethylcholine receptor immuno reactivity in rat supra chiasmatic nucleus. J. Meuro. sci. Res, 78, 508-519. 

  34. Winstein, C. J., Rose, D. K., Tan, S. M., Lewthwaite, R., Chui, H. C., Azen, S. P. (2004).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of upperextremity rehabilitation strategies in acute stroke; a pilot study of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Arch. Phys. Med. Rehabil., 85, 620-63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