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 의생명 과목 수업에서의 PBL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pplicability of PBL-Based Instruction of Integrated Medicine and Lifescience Class in School of Dentistr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3, 2019년, pp.342 - 362  

박봉수 (부산대학교) ,  김현철 (부산대학교) ,  조봉혜 (부산대학교) ,  박혜련 (부산대학교) ,  오희진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학부 단계 교육에 PBL 수업을 도입하기 위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배경지식의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통합 의생명 학습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PBL 모듈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습의 결과 및 PBL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수자의 인식을 분석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 대학교 학·석사 통합과정 1학년 12명이며, 튜터로는 치의학을 전공하고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수 4인이 참여하였다. PBL 수업 결과 학생들의 유전자와 및 형질 발현에 관한 개념 및 지식의 확장되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인식하고 협력 학습의 중요성을 경험하였다. 교수자들은 치의학 교육에서 PBL 수업의 교육적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의학 교육에서 통합 의생명 수업을 위한 모형으로 PBL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BL classes in undergraduate education at a School of Dentistry. To do this study, PBL module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tu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 knowledge to easily learn Integrated Medicine and Lifescience classes. Participants were 1...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의 장점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은 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습득하게 하는 방식으로 전형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에 속한다(APA, 200; Barows, 1986). 또한 그 과정에서 문제해결에 필요한 태도를 배우게 되고 유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우게 되며, 집단으로 학습하게 되므로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에 대한 훈련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Jang, 208; Walton & Mathew, 1989).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PBL의 공통적 특징은 첫째, 실재하는 비구조적 문제를 다루어 이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하고 둘째,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학습자와 학습자 혹은 학습자와 안내자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협동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넷째, 학습자에게 정보 재생과 지식 활용을 촉진시켜 추리능력을 계발할 기회를 제공하고 다섯째,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설명하고 있다(Joo & Kang, 201).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은 무엇인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은 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습득하게 하는 방식으로 전형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에 속한다(APA, 200; Barows, 1986). 또한 그 과정에서 문제해결에 필요한 태도를 배우게 되고 유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우게 되며, 집단으로 학습하게 되므로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에 대한 훈련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Jang, 208; Walton & Mathew, 1989).
4차 산업 혁명의 세 가지 특징은? 학자마다 4차 산업 시대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지만,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자동차, 3D 프린팅,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정보기술, 인지과학, 신소재공학, 에너지 저장기술, 양자 컴퓨터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약진으로 집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4차 산업 혁명의 특징을 초융합성, 초연결성, 초지능성으로 정리하고 초융합성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첨단 과학기술들이 동시 발생적으로 융합하면서 경계를 허물고 있는 특징이며, 초연결성은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를 빠른 속도로 확산시키는 특징이고, 초지능성은 빅데이터(Big Data)와 딥러닝(Dep learning)으로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특징을 말한다(Paek, 2017). 때문에 4차 산업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인류는 과거에 비해 짧은 시간 내에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의 빅뱅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발견된 이론과 법칙은 영속성을 담보할 수 없을 만큼 지식의 수명은 짧아지고 지식 변화의 폭이 매우 크고 빠른 것을 경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997).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A framework for school reform and redesign. Washington, DC: Author. 

  2. Barrows, H., & Tamblyn, R. (1980). Problem-based learning PS. New York, NY: Springer-Verlag. 

  3. Barrows, H.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 Barrows, H. (1986).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20, 481-486. 

  5. Barrows, H., & Myers, A. (1994).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Spring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6. Blumberg, P., & Michael, J. A. (1992).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s in a partially teacherdirected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4(1), 3-8. 

  7. Busse, R. (1996). Problem-based learning in a social medicine course: a concept for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and practice relevance. Gesundheitswesen, 58, 406-410. 

  8. Cho, E., Yoo, P., & Yang, Y. (2004). The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and interactions based on learning motivational strategies of tutor in corporate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4), 215-239. 

  9. Choi, S., & Kim, J. (2016).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learner centered PBL (LC PBL) model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2), 353-376. 

  10. Dolmans, D., Gijselaers, W. H., Moust, J. H., De Grave, W. S., Wolfhagen, I. H., & Van Der Vleuten, C. P. (2002). Trends in research on the tutor in problem-based learn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research. Medical Teacher, 24(2), 173-180. 

  11. Grave, W. S., Dolmans, D. H., & Vleuten, C. P. (1999). Profiles of effective tutors in problem-based learning: Scaffolding student learning. Medical Education, 33, 901-906. 

  12. House, J. D. (2000). Academic background and self-beliefs as predictors of student grade performance in science, 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27(2), 207-220. 

  13. Jang, K. (2008). Study of the change in self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8(2), 1-25. 

  14. Jang, S., Park, I., & Ki, C. (2010). An Analysis of reflection level in terms of the reflection style and the grades in PBL(problem-based learning) of medical school: Focused on critical refle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145-184. 

  15. Joo, H., & Kang, I. (2011).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learner centered PBL (LC PBL) model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419-448. 

  16.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UNU]. (2015). 2015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자체평가보고서 [2015 Jeonbu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seld-assessment report]. Jeonbukg, Korea: Author. 

  17. Kang, M., Kang, J., Choi, H., & Um, S. (2008). The effects of learners' perceived poles of a tutor on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eome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1-25. 

  18. Kim, M., Park, K., Seo, D., & Ihm, J.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graduate students' MBTI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6(4), 291-297. 

  19. Lee, Y. (2004). The effects of grouping methods based on learning style and differentiating of task style in cooperative learning.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16(2), 80-99. 

  20. McCombs, B. L., & Whisler, J. S. (1997). The learner centered classroom and school: Strategies for increasing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2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0). 의.치의학 교육제도 개선 계획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plan]. Sejong, Korea: Author. Retrieved from https://ncic.go.kr 

  22. Nandi, L., Chan, N., & Chan, P. (2000).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mparison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ventional teaching. Hong Kong Medical Journal, 6(3), 301-306. 

  23. Needham, D. R., & Begg, I. M. (1991). Problem-oriented training promotes spontaneous analogical transfer: Memory-oriented training promotes memory for training. Memory & Cognition, 19(6), 543-557. 

  24. Onyura, B., Baker, L., Cameron, B., Friesen F., & Leslie, K. (2016). Evidence fo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design approach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 umbrellareview. Med Teach, 38(2), 150-161. 

  25. Park, E. (2003). A study on the tutor role in problem-based learning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6. Park, H. (2016). Developing PBL courses strategy for background knowledge levels learners (Unpublished ACE Education Innovation Research). Pusan, Korea: Author. 

  27. Paek, S. (2017). Search for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13-51. 

  28. Sadler, P. M., & Tai, R. H. (2001). Success in introductory college physics: The role of high school preparation. Science Education, 85(2), 111-136. 

  29. Schmidt, H., & Moust, J. (1995). What makes a tutor effective?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pproach to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Academic Medicine, 70, 708-714. 

  30. Silver, M., & Wilkerson, L. A. (1991). Effects of tutors with subject expertise on the problem-based tutorial process. Academic Medicine, 66(5), 298-300. 

  31. Torp, L., & Sage, S. (1998). Problems and possibilities problem 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2. Walton, J., & Mathews, B. (1989). Essentials of problem bas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23(6), 542-5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