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증기 증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미국산 길초근 정유의 살비효과 및 항균효과
Acaricidal and antibacterial toxicities of Valeriana officinalis oils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2 no.1, 2019년, pp.19 - 23  

최선아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회선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증기증류 추출법에 의한 미국산 길초근(Valeriana officinalis)의 구성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GC-MS 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요 성분이 patchouli alcohol (18.69%) 및 ${\beta}$-gurjunene (15.26%)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길초근 정유의 살비활성 및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작은소피참진드기 및 긴털가루응애에 대하여 접촉독성법을 실시하였고, 식중독균 8 종에 대하여 agar disc diffusion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긴털가루응애 성충에 대하여 $28.01{\mu}g/cm^2$$LD_{50}$값을 나타내었으며, 작은소피참진드기 유충 및 약충에 대하여 각각 178.26 및 $207.98{\mu}g/cm^2$$LD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중독균은 8종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L.monocytogene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수증기증류 추출법에 의한 길초근 정유가 살비제 및 항생제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ssential oil of Valeriana officinalis roots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were analyzed by GC-MS. The 16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in the V. officinalis oil, and the most abundant compounds were patchouli alcohol (18.69%) and ${\beta}$-gurjun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생리활성이 밝혀져 있음에 도 불구하고, 길초근의 해충 및 미생물에 대한 살충활성 및 항 균활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길초근의 작은소피참진드기 및 긴털가루응애에 대한 살비 활성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은소피참진드기란 무엇인가?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참진드기과 (Ixodidae)의 일종으로 주로 동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흡혈성 진드기이다[8]. 이는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 매개 진드기로서 쯔쯔가무시증을 유발하는 리케차 및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바이러스 등을 인간에게 전염시켜[8]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식물체 유래 화합물에 대한 생리활성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도의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가 더욱 발전함에 따라 인류의 삶에 대한 질적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각종 해충 및 병원균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1]. 이들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합성 살충제 및 살균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생태계에 대한 잔류성[2]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 발현[3] 등 불필요한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이를 대체할 방제 전략으로서 식물체 유래 화합물에 대한 생리활성이 주목 받고 있다. 식물은 오랜 시간 진화를 거듭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기작으로 다양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산하였으며, 식물은 고유한 성질과 독특한 생리활성을 지니게 되었다[4].
작은소피참진드기 매개 전염병은 무엇인가?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참진드기과 (Ixodidae)의 일종으로 주로 동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흡혈성 진드기이다[8]. 이는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 매개 진드기로서 쯔쯔가무시증을 유발하는 리케차 및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바이러스 등을 인간에게 전염시켜[8]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특히 SFTS는 2012년에 우리나라에서 첫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약 30%에 달하는 치사율을 보이고 있어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cMichael AJ, Woodruff RE, Hales S (2006)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present and future risks. Lancet 367: 859-869 

  2. Colborn T, Vom Saal FS, Soto AM (2000) Developmental effects of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in wildlife and humans. Environ Health Perspect 101: 378-384 

  3. Hemingway J, Ranson H (2000) Insecticide resistance in insect vectors of human disease. Annu Rev Entomol 45: 371-391 

  4. Akula R, Ravishankar GA (2011) Influence of abiotic stress signals on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6: 1720-1731 

  5. Figueiredo AC, Barroso JG, Pedro LG, Scheffer JJC (2008) Factors affecting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in plants: volatile components and essential oils. Flavour Frag J 23: 213-226 

  6. Enan E (2001)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ctopaminergic sites of action. Comp Biochem Physiol C-Toxicol Pharmacol 130: 325-337 

  7. Wink M (1988) Plant breeding: importance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for protection against pathogens and herbivores. Theor Appl Genet 75: 225-233 

  8. Boldbaatar D, Sikasunge CS, Battsetseg B, Xuan X, Fujisaki K (2006)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n aspartic protease from the har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Insect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36: 25-36 

  9. Kim KH, Yi JY, Kim GY, Choi SJ, Jun KI, Kim NH, Choe PG, Kim NJ, Lee JK, Oh MD (2013)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outh Korea, 2012. Emerg Infect Dis 19: 1892-1894 

  10. Hughes AM (1976) The Mites of Stored Food and Houses. H. M. S. O., London 

  11. Heide S, Niemeijer NR, Hovenga H, Monchy JGR, Dubois AEJ, Kauffman HF (1998) Prevalence of sensitization to the storage mites Acarus siro,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Lepidoglyphus destructor in allergic patients with different degrees of sensitization to the house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Allergy 53: 426-430 

  12. Collins DA (2006) A review of alternatives to organophosphorus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storage mites. J Stored Prod Res 42: 395-426 

  13. Lee CH, Sung BK, Lee HS (2006) Acaricidal activity of fennel seed oils and their main components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a storedfood mite. J Stored Prod Res 42: 8-14 

  14. Newell DG, Koopmans M, Verhoef L, Duizer E, Aidara-Kane A, Sprong H, Opsteegh M, Langelaar M, Threfall J, Scheutz F, Giessen J, Kruse H (2010) Food-borne diseases-The challenges of 20 years ago still persist while new ones continue to emerge. Int J Food Microbiol 139: S3-S15 

  15. Chung JK, Lee JC, Ha DR (2014)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J Food Hyg Saf 29: 376-382 

  16. Bos R, Hendriks H, Scheffer JJC, Woerdenbag HJ (1998) Cytotoxic potential of valerian constituents and valerian tinctures. Phytomedicine 5: 219-225 

  17. Leuschner J, Muller J, Rudmann M (1993) Characterisation of the central nervous depressant activity of a commercially available valerian root extract. Arzneimittelforschung 43: 638-641 

  18. Leathwood PD, Chauffard F, Heck E, Munoz-Box R (1982) Aqueous extract of valerian root (Valeriana officinalis L.) improves sleep quality in man. Pharmacol Biochem Behav 17: 65-71 

  19. Mejlon HA, Jaenson TGT (1993) Seasonal prevalence of Borrelia burgdorferi in Ixodes ricinus in different vegetation types in Sweden. Scand J Infect Dis 25: 449-456 

  20. Yamaguti N, Tipton VJ, Keegan HI, Toshioka S (1971) Ticks of Japan, Korea and the Ryukyu Islands. Brigham Young Univ Sci Bull 15:1-226 

  21. Yang JY, Kim MG, Park JH, Hong ST, Lee HS (2014) Evaluation of benzaldehyde derivatives from Morinda officinalis as anti-mite agents with dual function as acaricide and mite indicator. Sci rep 4: 7149-7155 

  22. Wang J, Zhao J, Liu H, Zhou L, Liu Z, Wang J, Han J, Yu Z, Yang F (2010) Chemical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Two Valerianaceous Species from China: Nardostachys chinensis and Valeriana officinalis. Molecules 15: 6411-6422 

  23. Pavlovic M, Kovacevic N, Tzakou O, Couladis M (2004) The Essential Oil of Valeriana officinalis L. s.l. Growing Wild in Western Serbia. J. Essent Oil Res 16: 397-399 

  24. Huang B, Qin L, Chu Q, Zhang Q, Gao L, Zheng H (2008) Comparison of Headspace SPME with Hydrodistillation and SFE for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the Roots of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Chromatographia 69: 489-496 

  25. Maddonni GA, Urricariet S, Ghersa CM, Lavado RS (1999) Assessing soil quality in the Rolling Pampa, using soil properties and maize characteristics. Agron J 91: 280-287 

  26. Pavela R (2011) Screening of Eurasian plants for insecticidal an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podoptera littoralis larvae. Afr J Agric Res 6: 2895-2907 

  27. Dua VK, Alam MF, Pandey AC, Rai S, Chopra AK, Kaul VK, Dash AP (2008) Insecticidal activity of Valeriana jatamansi (Valerianaceae) against mosquitoes. J Am Mosq Control Assoc 24: 315-318 

  28. Jeong EY, Lee MJ, Kang MS, Lee HS (2018) Antimicrobial agents of 4-methoxysalicylaldehyde isolated from Periploca sepium oil against foodborne bacteria: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ppl Biol Chem 61: 397-4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