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속수증기증류추출법에 의한 오렌지와 자몽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확인
Determin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ange and grapefruit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1, 2016년, pp.63 - 73  

홍영신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렌지와 자몽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각각 SDE 방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였다. 오렌지의 과육 및 과피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각각 120.55 및 4,510.81 mg/kg이며, 자몽의 과육과 과피는 195.60 및 4,223.68 mg/kg으로 확인되었다. 오렌지와 자몽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된 성분은 monoterpene류인 limonene으로 과육은 65.32 및 105.00 mg/kg으로 과피는 3,008.10 및 1,870.24 mg/kg으로 정량되었다. Limonene, sabinene, ${\alpha}$-pinene, ${\beta}$-myrcene, linalool, (Z)-limonene oxide, (E)-limonene oxide 등은 오렌지와 자몽의 공통적인 주요 향기로 확인되었다. 오렌지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은 valencene이며, 자몽은 (E)-caryophyllene 및 nootkatone으로 확인되었다. $\delta$-3-Carene, ${\alpha}$-terpinolene, borneol, citronellyl acetate, piperitone 및 ${\beta}$-copaene 등은 오렌지에서만 확인된 화합물이며, ${\beta}$-pinene, ${\alpha}$-terpinyl acetate, bicyclogermacrene, nootkatol, ${\beta}$-cubebene 및 sesquisabinene는 자몽에서만 확인되었다. Phenylacetal dehyde, camphor, limona ketone, (Z)-caryophyllene은 과육에서 확인되었으며, ${\alpha}$-thujene, citronellal, citronellol, ${\alpha}$-sinensal, ${\gamma}$-muurolene, germacrene D 등은 과피에서만 확인된 성분이다. 본 연구결과 오렌지 및 자몽의 과육과 과피의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과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ulp and peel of orange (Citrus sinensis)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i)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using a solvent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다소비되고 있는 citrus속 과일 중 오렌지와 자몽에 대해 과육과 과피의 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휘발성 화합물 조성을 비교하였다. 오렌지와 자몽의 향기특성을 파악하여 두 과일을 이용한 식품 착향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또한 응용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다소비되고 있는 citrus속 과일 중 오렌지와 자몽에 대해 과육과 과피의 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휘발성 화합물 조성을 비교하였다. 오렌지와 자몽의 향기특성을 파악하여 두 과일을 이용한 식품 착향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또한 응용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렌지 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오렌지는 어디에서 생산되었는가? 오렌지(Citrus sinensis)는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와 플로리다 주에서 생산된 오렌지가 국내에서 소비되는 오렌지의 98%를 차지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는 단맛이 강한 navel 품종으로 주로 생과일로 소비되고 있으며, 플로리다 산 오렌지는 대부분 주스 및 여러 가지 가공용으로 이용되고 있다(2).
Citrus속 나무의 과일은 어떤 용도로 이용되는가? Citrus속 나무는 분류학상으로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즙이 많고 구연산 함량이 높아 특유의 신맛과 향을 가진 열매를 만든다. Citrus속 과일은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일작물로 특별한 맛과 영양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생과일, 주스 및 여러 가지 가공 형태로 소비될 뿐만 아니라 향수, 세제, 화장품, 정유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원료로 광범 위하게 이용되고 있다(1). Citrus속 과일의 종류는 오렌지 (orange), 자몽(grapefruit), 유자(citron), 감귤(mandarine), 레몬(lemon), 라임(lime) 및 금귤(kumquat)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Citrus속 과일의 종류는 무엇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 Citrus속 과일은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일작물로 특별한 맛과 영양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생과일, 주스 및 여러 가지 가공 형태로 소비될 뿐만 아니라 향수, 세제, 화장품, 정유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원료로 광범 위하게 이용되고 있다(1). Citrus속 과일의 종류는 오렌지 (orange), 자몽(grapefruit), 유자(citron), 감귤(mandarine), 레몬(lemon), 라임(lime) 및 금귤(kumquat)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iu Y, Heying E, Tanumihardjo, S (2012) History, global distribution, and nutritional importance of citrus fruits.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11, 530-545 

  2. Lee YS (2004) The Status and prospects of orange/grape industries in the united states. J Rural Develop, 191-254 

  3. FTA (2015) Item Trade returns of Orange. http://fta.customs.go.kr 

  4. KCS (2015) Korea Customs Service Iimport-Export Trade Statistic, http://www.customs.go.kr/kcsweb/user.tdf?auser.r 

  5. Nisperos-Carriedo MO, Shaw PE (199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and processed orange juices. Food Technol, 44, 134-139 

  6. Tan CT, Wu HJ (1988) Stability of beverage flavor emulsions. Perfum Flavorist, 13, 23-41 

  7. Fisher K, Phillips C (2008) Potential antimicrobial uses of essential oils in food: is citrus the answer. J Food Sci Technol, 19, 156-164 

  8. Svoboda KP, Greenaway RI (2003) Lemon scented plants. Int J Aromather, 13, 23-32 

  9. Mirhosseini H, Salmah Y, Nazimah SAH, Tan CP (2007)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headspace analysis of key volatile compounds in orange beverage emulsion. Food Chem, 105, 1659-1670 

  10. Moshonas MG, Shaw PE (1971)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from grapefruit essence. J Agric Food Chem, 19, 119-120 

  11. Nunez AJ, Maarse H, Bemelmans JMH (1985) Volatile flavour components of grapefruit juice (Citrus paradisi Macfadyen). J Sci Food Agric, 36, 757-763 

  12. Dugo G, Cotroneo A, Verzera A, Bonaccorsi I (2002) In: Dugo G, Di Gaicomo A (Ed.). Citrus: The Genus Citrus, USA, p 201 

  13. Schultz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Sci Food Agric, 25, 446-449 

  14. Davies NW (1990) Gas chromatographic retention indic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on methyl silicone and Carbowax 20M phases. J Chromato, 503, 1-24 

  15. Sadtler Research Laboratories (1986) The sadtler standard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index library. Sadtler, USA 

  16. Jeong JW, Lee YC, Lee KM, Kim IH, Lee MS (1998) Manufacture Condition of Oleoresin using Citron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9-145 

  17. Furusawa Mai, Toshihiro Hashimoto, Yoshiaki Noma, Yoshinori Asakawa (2005) "Highly Efficient Production of Nootkatone, the Grapefruit Aroma from Valencene, by Biotransformation". Chem Pharm Bull, 53, 1513-1514 

  18. Nisperos-Carriedo MO, Shaw PE (1990)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fresh and processed orange juices. J Agric Food Chem, 38, 1048-1052 

  19.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Aroma Chemicals). S. Arctander, Montclair, New Jersey, p 2348-2354 

  20. Shaw PE, Moshonas MG (1997) Quantification of volatile constituent in orange juice drinks and its use for comparison with pure juices by multivariate analysis. Lebensmittel-Wissenschaft und Technol, 30, 497-501 

  21. Erdtman H, Hirose Y (1962) The chemistry of natural order cupressales. 46: The structure of nootkatone. Acta Chem Scand, 16, 1311-1314 

  22. Shaw PE, Ammons JM, Braman RS (1980)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fresh orange and grapefruit juices: identification, quantitation, and possible importance to juice flavor. J Agric Food Chem, 28, 778-781 

  23. Wilson CW, Shaw PE (1981) Analysis of cold-pressed grapefruit oil by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9, 494 

  24. Alexander J, Macleod GM, Subramanian G (1988) Volatile aroma constituents of orange. Phycochemistry, 7, 2185-2188 

  25. Lee HY, Hawer WD, Shin DH, Chung DH (1987) Analysis of the aroma constituents of korean mandarin (Citrus reticula) and orange juices by capillary GC and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46-3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